기본분류

福島第1原発事故で、東京電力は19日午前10時すぎ、2号機タービン建屋地下などにたまった高濃度の放射能汚染水を、敷地内の集中廃棄物処理施設に移送する作業を始めた。約2万5000トンの汚染水のうち、約1万トンを5月中旬までに移す計画。時事通信が同日、報じた。
 
東電によると、同施設は約3万トンの水が入るが、地下水の流入で外にあふれ出る危険性を考慮し、移送を1万トンにとどめた。残りの約1万5000トンは、仮設タンクなどへの移送を検討する。
 
移送によりタービン建屋内の水位低下が期待されるが、建屋の壁などに付着した放射性物質が乾燥して飛び散る恐れがある。このため建屋内に排風機を設置し、放射性物質をフィルターで除去する作業も行う。
 
同施設の止水工事は18日に完了。水漏れがないかを確認し、同日深夜、経済産業省原子力安全・保安院に報告した。保安院は移送を「やむを得ないが必要な措置」と了解した上で、汚染水管理の徹底と漏えい時の対策をあらかじめ検討するよう指示した。
 
2号機タービン建屋と処理施設をつなぐホースは途中にある3、4号機のタービン建屋内を経由。移送距離が約800メートルと長く、ポンプの能力などから1日約480トンのペースで進められる。
 
東電は移送後の汚染水が地下水へ漏出しないか確認した上、タービン建屋に水がたまった経路の調査と対策を検討する。6月までに汚染水の放射能を低減させた上、計画的に処理、貯水するシステムを構築し、7月には汚染水を原子炉冷却に再利用する方針。



한국어

도쿄전력은 19일 오전 10시경, 후쿠시마 제1원전 2호기 터널에 고여있던 고농도 방사능 오염수의 이송작업을 시작했다. 오염수는 시설내 집중폐기물 처리 시설로 옮겨진다. 약 2만5천톤의 오염수 중, 약 1만톤을 5월 중순까지 옮길 계획.

도쿄전력에 의하면, 이 시설에는 약 3만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지만, 지하수의 유입으로 밖으로 넘칠 위험성을 고려하여 1만톤만 이송하기로 했다. 남은 1만5천톤은 가설 탱크 등으로 이송할 것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송작업으로 인해 터빈 건물 내의 수위저하가 기대되고 있지만, 건물 벽 등에 부착된 방사성물질이 건조되어 대기중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건물 내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방사성물질을 필터로 제거하는 작업도 행해질 예정이다. 

도쿄전력은 이송된 오염수가 지하수로 누출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터빈 건물에 물이 고이게 된 경로를 조사하고 대책을 검토할 방침이다. 6월까지 오염수의 방사능을 저하시키고, 계획적으로 처리 및 저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7월에는 오염수를 원자로 냉각에 재사용 할 계획이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②] 빨래방·오디오북 명과 암
[KJtimes=김승훈 기자]“소유에서 공유로 시대정신이 바뀌고 있다. 특히 IT 발달로 소유보다 더 편리한 공유의 시대가 오고 있다. 기존의 사회가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으로 인한 소유의 시대였다면 미래는 재화와 서비스를 필요한 시간만큼 이용하는 공유의 시대가 될 것이다.” 공유경제제연구소 이계원 대표는 지난달 25일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21 제1회 공유경제 학교’ 초청 강연에서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공유경제의 현주소와 미래를 이 같이 전망했다. 이 대표는 요즘 핫한 공유경제의 사례로 ‘빨래방’과 ‘오디오북’ 시장의 현 상황과 향후 진화 방향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저는 집에 세탁기나 건조기가 있지만 운동화를 빨기 위해 빨래방을 이용한다”고 운을 뗀 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가구는 30%를 넘어섰다. 이들의 상당수는 좁은 원룸에서 사는데 집도 좁은데 세탁기, 건조기 같은 빨래 용품들이 다 갖추기에는 공간이 좁다”고 1인가구의 애로사항을 설명했다. 이어 “요즘 의류 관련 가전제품들이 늘고 있다. 예전에는 세탁기하나면 충분했는데 건조기, 의류를 관리 할 수 있는 드레스에 신발 관리하는 슈드레스까지 등장했다”며 “이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현대건설, 본사-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총체적 부실’…내년 중대재해법 시행 앞두고 ‘빨간불’
[KJtimes=정소영 기자]“(현대건설의 안전보건 대책은) 실행을 위한 구체적 추진전략이 없거나 성과측정을 위한 지표 등이 부재하고 전 구성원 참여 유도를 위한 노력이 저조했다. (안전보건 예산편성액 중) 협력업체 지원 및 안전교육을 위한 예산 집행이 미약해 안전관리 수준 향상을 위한 것으로 보기에 어렵다.” 공사 현장에서 올해만 연속 3명의 사망사고가 발생한 현대건설이 내년 중대재해법 시행 앞두고 빨간불이 켜진 모양새다. 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가 현대건설을 대상으로 지난 6월 14일부터 안전보건관리체계 진단 및 본사·전국현장의 법 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고 지난 2일 그 감독 결과를 내놓은 까닭이다. 고용노동부는 감독 결과를 통해 현재 안전대책으로는 내년부터 시행되는 중대재해법의 처벌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실질적·실효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현대건설 현장에서 지난 10년(2011년-현재)간 무려 51명의 노동자가 숨졌지만 여전히 건설사 본사와 협력사, 현장으로 이어지는 안전관리 시스템이 총체적으로 부실한 것으로 고용노동부가 현대건설을 상대로 안전보건진단을 실시한 결과 확인됐다. 안전관리자가 없는 사업장이 상당수였으며 위험한 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