ウインク "19代国会議員の選挙のロゴソング直接に歌ってあげます"

最近の大人の歌番組で13週連続1位で人気を集めている"双子のトロットの妖精"ウインクが、今回の19代総選挙のロゴソングを直接に歌う。

気分を引き立ててくれる歌詞と奮い立つような雰囲気で、すでに選挙ロゴソングで耳目を集中させているウインクの新曲"あらあなた"は3月の第1週目の歌謡部門の放送回数の総合2位を占めて、アイドルとの競合でも底力を誇示しただけでなく、KBS1 "全国のど自慢"の予備審査で"よいよい"、"あらあなた"が最多候補曲と歌われてるなど人気を集めている。

早くて軽快なリズムとアジェン、鉦などの国楽器の演奏にウインクの個性ある声を加えて、新たなジャンルを作ったというのが音楽関係者の評。

現在、TVの音楽番組だけでなく、各種放送と行事の交渉1順位の最高の人気を集めているウインクは国内だけでなく日本でもK-POP番組のMCとして活動して韓流熱風に寄与している。

彼らは"去る18代の総選挙当時パク・ヒョンビン先輩とロゴソングを歌いながら、選挙の投票率が50%を少し上回るという事実を知ることになった。ウインクが直接に歌う明るくふっくらと飛ぶ選挙ロゴソングを使用して、選挙の硬いイメージも改善されて投票参加度もより一層高くなったらと思う "という風を伝えた。

一方、"あらあなた"を作詞/作曲したノ・サンゴン作曲家もまたウインクの強固な支援軍を自任した。ノ・サンゴン作曲家は"投票への参加を奨励しているウインクの心に感動して助けてあげたい"とし、"ウインクの19代総選挙のロゴソングの歌唱に人格権の使用料をもらわない"と述べた。

双子の気をどんどん盛って、ウィンクが直接に歌う、選挙のロゴソングがますます落ちている投票率を引き上げることができるか、今回の19代総選挙を控えて多くの関心が集中している。

<KJtimes=ユ・ビョンチョル記者>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②] 빨래방·오디오북 명과 암
[KJtimes=김승훈 기자]“소유에서 공유로 시대정신이 바뀌고 있다. 특히 IT 발달로 소유보다 더 편리한 공유의 시대가 오고 있다. 기존의 사회가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으로 인한 소유의 시대였다면 미래는 재화와 서비스를 필요한 시간만큼 이용하는 공유의 시대가 될 것이다.” 공유경제제연구소 이계원 대표는 지난달 25일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21 제1회 공유경제 학교’ 초청 강연에서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공유경제의 현주소와 미래를 이 같이 전망했다. 이 대표는 요즘 핫한 공유경제의 사례로 ‘빨래방’과 ‘오디오북’ 시장의 현 상황과 향후 진화 방향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저는 집에 세탁기나 건조기가 있지만 운동화를 빨기 위해 빨래방을 이용한다”고 운을 뗀 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가구는 30%를 넘어섰다. 이들의 상당수는 좁은 원룸에서 사는데 집도 좁은데 세탁기, 건조기 같은 빨래 용품들이 다 갖추기에는 공간이 좁다”고 1인가구의 애로사항을 설명했다. 이어 “요즘 의류 관련 가전제품들이 늘고 있다. 예전에는 세탁기하나면 충분했는데 건조기, 의류를 관리 할 수 있는 드레스에 신발 관리하는 슈드레스까지 등장했다”며 “이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