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삼성물산 "2028년까지 단계별 AI 전환"

[KJtimes=김봄내 기자]삼성물산은 12"2028년까지 향후 3년간 단계별 인공지능(AI)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삼성물산은 전날 서울 강동구 상일동 본사 사옥에서 개최한 'AI의 날'(2025 AI Day) 행사에서 AI를 통한 전사 혁신 비전을 제시했다.

 

삼성물산 오세철 사장은 환영사에서 "프로젝트의 규모가 크고 복잡한 건설업에서 AI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그동안 수많은 글로벌 프로젝트에서 축적한 우리의 경험과 데이터를 AI와 연결해 AI를 전략적 파트너로 인식하고 함께 혁신을 만들어가자"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삼성물산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공동 개발한 'AI 에이전트'의 프로젝트 성과를 소개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삼성물산은 AWS와 개발한 AI에이전트를 내년부터 모든 건설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등 향후 3년간 단계별 AI 전환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건설업 모든 영역에서 AI 중심으로 업무 지능화를 구현하고, AI 전용 플랫폼도 구축할 예정이다.








'코스피 4000' 샴페인은 아직..."밸류업 성과 미흡, 거래소 리더십 부재 심각"
[KJtimes=정소영 기자]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회장 이남우)은 11일 발표한 논평에서 최근 한국거래소 정은보 이사장이 주최한 ‘코스피 5000 시대 도약 세미나’를 두고 “시기상조의 설레발”이라며 경계의 목소리를 냈다. 포럼은 “코스피 4000 돌파에 도취할 때가 아니라 구조개혁과 기업거버넌스 혁신을 강화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코스피 5000 가능성? 산업 구조상 변동성 세계 최고 수준” 논평은 “삼성전자의 2026년 영업이익이 100조원을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한국은 산업구조상 전 세계에서 기업이익 변동성이 가장 큰 국가”라며 “예측 가능성이 낮은 것은 후진적 기업거버넌스와 코리아 디스카운트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포럼은 이어 “코스피가 5000을 돌파한 이후 2026년 지수는 6000이 될 수도, 3000이 될 수도 있다”며 “만약 반도체 이익 정점이 2026년 말~2027년 초라면 코스피는 수개월 내 피크아웃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기업거버넌스 개혁 모멘텀이 둔화되고 후속 입법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외국인 매도세가 대거 출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금은 긴장해야 할 시점… 개혁·혁신 멈춰선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