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생태 스토리

용산 어린이정원, '오염 논란' 다시 불붙다…시민단체 "尹표 졸속 개방, 李정부가 답습"

2021년 위해성 조사서 유해물질 확인…시민들 "정화 전 운영 지속은 정부의 직무유기"
국토교통부, 2025년 운영예산 200억 편성에 반발…"예산 투입 전에 안전 확보가 우선"
시민 50명 '용산 시민걸음' 개최…광목천 퍼포먼스·풍물패 행진으로 폐쇄 촉구



[KJtimes=정소영 기자] 지난 22일 오전 11시, 서울 용산 일대에서는 오염된 미군기지 반환부지에서 운영 중인 ‘용산 어린이정원’의 즉각 폐쇄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걷기 행동이 펼쳐졌다. 녹색연합, 용산시민회의, 정치하는엄마들, 대학생 연합 환경동아리 푸름 등 환경·시민단체가 공동 주최한 이번 ‘윤석열표 오염공간, 용산 어린이정원 폐쇄를 요구하는 용산 시민걸음’에는 약 50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국립중앙박물관을 출발해 용산 어린이정원 정문을 지나 전쟁기념관 앞까지 약 한 시간가량 행진했다.

◆ “윤석열 정부의 졸속 개방, 이재명 정부에서도 그대로”

주최 측은 2023년 5월 윤석열 정부가 미군기지 반환부지의 오염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지 않은 채 어린이정원을 무리하게 개방했다고 지적했다. 나아가 이재명 정부 역시 해당 운영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며, 시민 안전을 위해서는 즉각적이고 전면적인 폐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 9월 2일 국토교통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5년도 예산 사업설명안에서 ‘용산공원조성 및 위해성 저감 사업’의 일환으로 용산 어린이정원 운영 예산 약 200억원이 편성된 사실이 주최 측의 비판 근거로 제시됐다. 중기재정계획에는 2029년까지 비슷한 규모의 예산 투입이 반영되어 있어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용산시민회의 김은희 대표는 “연말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로 옮겨 윤석열 정부와 선을 긋겠다는 메시지를 내놓고 있지만, 정작 어린이정원 개방이라는 잘못된 정책을 이어가고 있다면 진정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 어린이정원 앞 퍼포먼스…“안전한 공원으로 돌아오길”

행진단은 용산 어린이정원 정문 앞에서 광목천을 펼쳐 시민들이 직접 글과 그림을 남기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아이들이 안심하고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을 돌려달라”는 취지의 메시지들이 천 위를 촘촘히 채웠다.

전쟁기념관으로 향하는 동안 풍물패가 선두에서 공연을 펼쳤고, 참가자들은 “윤석열표 용산 어린이정원 폐쇄”, “시민에게 안전한 공원을 돌려달라”는 구호를 외치며 행진을 이어갔다. 주변을 지나던 시민들도 발걸음을 멈추고 행진을 지켜보거나 휴대전화로 기록하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 “우선 폐쇄하고 제대로 정화해야”…참가자 발언 이어져

마무리 집회는 전쟁기념관 앞에서 열렸다. 사회를 맡은 김숙영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는 2021년 환경공단과 미군이 실시한 위해성 조사에서 인체에 치명적인 오염물질이 검출됐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재명 정부가 ‘위해성 저감’ ‘시민 의견 수렴’ 등을 이야기하기 전에 우선 폐쇄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율동패의 공연을 시작으로 참가자 발언이 이어졌다. 용산구 효창동 작은도서관 고래이야기의 용은중 사서, 청소년 인권단체 아수나로 활동가 애붕, 대학생 문채린 씨가 차례로 발언하며 오염정화와 시민 안전을 위한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집회의 마지막 퍼포먼스에서는 이재명 대통령 가면을 쓴 시민이 오염된 용산 어린이정원 지도의 ‘핫스팟’ 위에 ‘폐쇄’ 자물쇠를 거는 상징 행동을 펼쳤다. 시민들은 “다시는 오염된 땅 위에 졸속 공원이 만들어져서는 안 된다”는 외침과 함께 행사를 마무리했다.










[회장님은 법원에①] 신원종합개발, 와인병 아내 폭행 '우진호' 회장…항소심도 집행유예(?)
[KJtimes=김은경 기자] 우진호 신원종합개발 회장이 서울 강남 자택에서 아내를 폭행해 전치 6주의 상해를 입힌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지만 이번에도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지난해 5월 아내 폭행으로 공분을 산지 18개월 만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5-3부(김지선 부장판사)는 "사건의 내용이 가볍지 않다"면서도 "1심 판단을 존중한다"며 같은 형량을 유지했다. 재판부는 선고 과정에서 "앞으로 주의하고 다른 사건도 잘 마무리하라"는 말을 남겼다. 이 발언이 피해자보다는 가해자의 사회적 위치를 고려한 듯한 태도로 해석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경제력 따라 달라지는 솜방망이 형량" 비난 쇄도 사건은 올해 2월 1심 판결 당시에도 사회적 공분을 샀다. 당시 재판부는 "피해자가 극심한 공포 속에 엄벌을 탄원했다"고 인정하면서도, "우 회장이 부양 의무를 이행했고 3억원을 공탁했다"며 실형 대신 집행유예를 선택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11단독 김길호 판사는 2월 13일 특수상해와 전자기록 등 내용 탐지(비밀침해) 등 혐의로 기소된 신원종합개발 우진호 회장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80시간의 사회봉사 명령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범행 횟수·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