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현대차그룹 계열 종합 광고회사인 이노션[214320]이 공정거래법 개정안에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일감 몰아주기 관련 리스크가 해소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13일 한화투자증권은 이노션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8만원에서 8만8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종전대로 ‘매수’로 제시했다. 현재 공정거래법은 총수 일가 지분이 30% 이상인 회사에 일감 몰아주기 규제를 적용하고 있는데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이 기준을 20%로 낮추는 방향으로 개정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이노션이 롯데컬처웍스와의 합의대로 지분을 맞교환하게 되면 이 회사의 총수 일가 지분율은 종전 29.99%에서 19.69%로 내려가기 때문에 강화될 예정인 규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김소혜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10일 이노션이 롯데컬처웍스와의 지분 교환을 발표함에 따라 그동안 이 회사의 저평가 요인으로 작용하던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이노션은 올해 한화그룹과 컴투스를 신규 광고주로 영입했으며 향후 추가적인 대형 광고주 영입도 기대된다”면서 “연내 디지털 관련 기업 인수가 성사되면 대부분 외주를 주던 디지털 광고 물
[KJtimes=김승훈 기자]신세계[004170]와 신세계인터내셔날[031430] 등 신세계그룹 계열사들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3일 유진투자증권은 신세계의 목표주가를 38만원에서 40만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의 백화점과 면세점 등 주요 사업 부문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유진투자증권은 신세계 1분기 순매출과 영업이익의 경우 각각 1조5180억원과 1103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으며 면세점의 영업이익이 126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보다 높았던 것이 어닝서프라이즈의 배경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KB증권은 신세계인터내셔날의 목표주가를 35만원에서 38만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KB증권은 신세계인터내셔날 1분기 매출액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한 3659억원, 영업이익은 147% 증가한 292억원으로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이라고 평가했다. 주영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백화점은 특히 명품 매출이 높은 성장세를 보였는데 경쟁사 대비 명품 라인업이 월등해 VIP 고객을
[KJtimes=김승훈 기자] GS[078930]가 올해 1분기에 기대를 밑도는 실적을 냈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KB증권은 GS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의 목표주가를 6만8000원에서 6만5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실제 GS의 1분기 매출액은 4조418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8% 줄고 영업이익은 5127억원으로 9.5% 감소해 시장 전망치인 5999억원을 하회했다. KB증권은 예상보다 GS칼텍스 이익감소가 컸으며 1분기 영업이익이 3295억원으로 기존 추정 영업이익 4510억원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백영찬 KB증권 연구원은 “일부 고가 원유투입에 따른 부정적 래깅(원재료 투입 시차효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며 “가솔린 수익성 하락으로 복합정제마진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배럴당 2달러 이상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백 연구원은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조6200억원, 573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8%, 2.8% 증가할 전망”이라면서 “계절적 수요증가로 가솔린 가격상승에 따른 정제마진 개선이 예상되며 올해 민자발전 신증설을 통해 전사 이익 증가가 가능할…
[KJtimes=김승훈 기자]한화케미칼[009830]과 셀트리온[068270]에 대해 NH투자증권과 KTB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관심을 가지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9일 NH투자증권은 한화케미칼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매수’와 2만7000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하반기에 영업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태양광 모듈의 중국 수요가 부진하지만 미국과 유럽 수요가 커지고 있어 출하량이 늘어날 것이며 한화케미칼이 미국에 신규 건설한 모듈 공장의 가동률도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KTB투자증권은 셀트리온의 목표주가를 20만원에서 22만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종전대로 ‘중립’으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신제품 출시에 따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KTB투자증권은 "셀트리온의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774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다"며 "작년 4분기 실적 부진 요인이었던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와의 이전단가가 조정되고 1공장 셧다운의 영향도 해소되면서 매출총이익률(GPM)이 64%로 평균 수준을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황유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화
[KJtimes=김승훈 기자]메리츠종금증권[008560]과 제주항공[08959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8일 KB증권은 메리츠종금증권의 목표주가를 5500원에서 6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 운용손익과 금융수지 증가로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메리츠종금증권의 1분기 연결 순이익은 전 분기보다 23.8% 늘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7% 증가한 1414억원으로 시장 전망치(1천208억원)를 상회했다. 같은 날, 미래에셋대우는 제주항공의 목표주가를 4만7000원에서 5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종전대로 ‘매수’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1분기에 호실적을 낸 데 이어 하반기에도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제주항공은 전날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3929억원과 57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7.3%, 22.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남석·유승창 KB증권 연구원은 “기업금융 관련 대출자산이 전 분기보다 4.3% 늘면서 금융 수지가 23.9% 증가했고 채권과 주식을 포함
[KJtimes=김승훈 기자]SK텔레콤[017670]이 올해 자회사 매출 증가로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8일 대신증권은 SK텔레콤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각각 ‘매수’와 36만원으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무선 부문에서도 3분기부터 5G 효과가 반영되면서 올해 이 회사는 무선이동통신(MNO), 미디어, 보안, 커머스 등 4대 사업부에서 모두 좋은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대신증권은 SK텔레콤의 1분기 영업이익의 경우 3226억원으로 일회성 영업비용이 발생했던 직전 분기 대비 실적이 정상화한 모습을 보였으며 요금 인하 영향에 따른 무선 사업 부문 이익 감소를 자회사 이익 개선으로 상쇄했다고 평가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커머스 플랫폼 11번가는 이번에 처음으로 흑자 달성에 성공했고 보안 자회사로 편입된 ADT캡스도 본격적으로 실적에 기여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3분기에는 SK텔레콤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옥수수’와 KBS·MBC·SBS 등 지상파 3사의 콘텐츠연합 플랫폼 ‘푹(POOQ)’의 통합법인이 출범하고 4분기까지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의 합병이 완료
한국테크놀로지(053590)는 대우조선해양건설 인수 작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고 3일 밝혔다. 한국테크놀로지는 사모펀드 ‘키스톤PE’와 주식 매매계약을 통해 디에스씨밸류하이1호 주식회사(이하 디에스씨밸류하이)의 지분 50% 및 경영권을 사들인 바 있다. 디에스씨밸류하이는 대우조선해양건설의 지분 99.2%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테크놀로지 출신으로 대우조선해양건설 사내이사 과반과 디에스씨밸류하이 사내이사 3인 중 2인을 채워 이사회 의결권 및 경영권도 확보했다. 당초 152억 5000만원의 자금을 투입해 디에스씨밸류하이 지분 100% 보유하려던 계획에서 87억 5000만원의 자금만 투입해 디에스씨밸류하이 지분 50%를 매입해 경영권을 확보한 셈이다. 한국테크놀로지 관계자는 “디에스씨밸류하이 50% 지분 매입으로 대우조선해양건설의 경영권을 완전히 확보한 상태”라며, “남은 50%는, 계약 상대방인 인터불스의 경영권이 양도되는 과정 중에 있어 거래 상대방 특정이 어려운 상황이다. 상대측의 경영권 이전이 완성되거나 신·구 경영진이 합의가 되면 나머지 50%의 지분 매입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미 대우조선해양건설은 지난 1분기부터 한국테크놀
[KJtimes=김승훈 기자]호텔신라[008770]에 대해 KB증권과 NH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9일 KB증권은 호텔신라의 목표주가를 11만4천원에서 13만5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올렸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호텔신라는 지난 26일 공시를 통해 1분기 연결 영업이익이 81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4.9% 늘고 매출액은 1조3432억원으로 19.3%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힌 바 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호텔신라의 목표주가를 12만원에서 15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종전대로 ‘매수’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 호실적을 올린 데 이어 추가적인 수익 개선도 기대된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NH투자증권은 호텔신라의 경우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으로 모두 사상 최대의 ‘어닝 서프라이즈’를 발표했는데 환율상승이나 임차료 리스 회계처리 등 일회성 이익이 크지 않고 대부분 본업의 호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신애 KB증권 연구원은 “실적 서프라이즈(깜짝 호실적)를 시현했는데 국내 면세점
[KJtimes=김승훈 기자]LG디스플레이[034220]와 코오롱글로벌[003070]에 대해 하이투자증권과 교보증권 등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올리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29일 하이투자증권은 LG디스플레이의 목표주가를 2만3000원에서 2만8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가 향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부문 실적이 가파르게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하이투자증권은 LG디스플레이가 올해 하반기부터 중국 광저우에 신규 공장을 가동해 OLED TV 부문의 가파른 실적 성장이 예상되며 2020년에는 회사 전체 매출의 20%, 영업이익의 52%를 OLED TV 부문이 차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같은 날, 교보증권은 코오롱글로벌의 목표주가를 1만1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가 신규 분양 주택 등에 힘입어 올해 1분기 깜짝 실적을 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앞서 코오롱글로벌이 최근 발표한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은 27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4% 증가했다. 교보증권은 올해 코오롱글로벌의 매출액을 지난해보다 5.6% 증가한 3조5000억원, 영업이익은 56
[KJtimes=김승훈 기자]KB금융[105560]과 LG디스플레이[034220]에 대해 키움증권과 KB증권 등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25일 키움증권은 KB금융의 목표주가를 5만4000원에서 5만8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도 ‘시장수익률 상회’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가 적극적인 경영 효율화 전략을 추진하면서 이익 안정성을 제고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키움증권은 KB금융 이번 1분기 실적의 경우 시장 기대치에 부합한 수준으로 향후 KB금융은 경기 및 부동산시장 침체에 대비해 여신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한편 지점 및 인력 축소를 통한 비용 효율화 제고에 역점을 둘 계획이라고 전했다. 같은 날, KB증권은 LG디스플레이에 대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을 종전처럼 2만4000원과 ‘매수’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올해 하반기 실적 불확실성이 완화됐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앞서 LG디스플레이가 발표한 1분기 매출액은 5조8천788억원, 영업손실은 1천320억원으로 시장 전망치를 하회했다. KB증권은 LG디스플레이의 경우 하반기 흑자 전환에 대한 가시성이 확대됐으며 대형 올레드 부문은 전체 TV 패널 사업부 매출의 3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차[005380]가 올해 하반기로 갈수록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NH투자증권은 현대차의 목표주가를 14만5000원에서 17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종전대로 ‘매수’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하반기로 갈수록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현대차가 신차 라인업을 강화해 실적개선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고 원화 약세와 내수시장 점유율 상승도 기대되는 요인이며 올해 매출액 100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고 관측했다. 또 신차 출시 효과가 누적되는 하반기로 갈수록 현대차의 점진적인 수익성 개선이 가시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수홍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차의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상회했다”며 “금융부문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됐고 자동차 부문도 내수판매 호조세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 비중 증가 등에 따라 양호한 성장세를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실제 현대차는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는 모습이다.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팰리세이드 등 신차 판매 호조에 힘입은 까닭이다. 올해 들어서는 1분기 기준으로 영업이익이
[KJtimes=김승훈 기자]KB금융지주는 24일 「계열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개최하고, KB데이타시스템 대표이사로 前메트라이프생명보험 CIO ‘최재을’ 후보자를 추천했다. 추천 된 후보는 오는 25일 KB데이타시스템의 주주총회 의결을 거쳐 최종 선임될 예정이다. 계열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급변하는 IT환경 등에 대응하고 디지털 트렌드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인사를 추천하기 위해 신중히 검토한 결과, 그룹 발전을 선도하는 대형 IT서비스 전문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해 다양한 경험을 보유한 외부 인사를 대표이사 후보자로 최종 추천하였다. ‘최재을’ 후보는 메트라이프생명보험 CIO, GS SM사업 총괄, 현대카드/캐피탈/커머셜 CIO 역임 등 금융 IT 전반의 주요 핵심업무를 두루 경험하여, 그룹 IT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비즈니스 관점의 균형있는 시각과 실행력을 겸비하였다. 계열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그룹내 주요 계열사의 차세대시스템 본격화, 그룹 IT SSC(Shared Service Center)로서 공동사업 발굴 및 인프라 지원이 필요한 상황 등 여러 측면을 고려하여 대표이사 후보를 추천했다”고 밝혔다. KB금융그룹은 AI, 블록체인,
[KJtimes=김승훈 기자]KB국민은행(은행장 허인)은 23일, 충북 충주 아침편지 명상센터에서 은퇴부부 40명을 초청해『KB골든라이프 부부힐링캠프』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KB골든라이프 부부힐링캠프』는 자연 속 힐링과 즐거운 체험을 통해 은퇴부부가 인생 후반을 함께 준비하도록 지원하는 KB국민은행의 차별화된 부부참여 프로그램이다. 이날 행사는 숲 속을 조용히 걸으면서 명상하는 ‘걷기명상’부터, 사랑하는 사람과 음악에 맞춰 춤추고 감사의 마음을 나누는 ‘힐링허그 사랑감사 포옹’까지, 부부가 정서적으로 교감하며 서로에 대한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참석자 중 한 고객은 “KB국민은행 덕분에 특별한 장소에서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 며, “앞으로도 배우자와 자주 대화하며 소통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고 소감을 전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은퇴생활의 행복은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부부의 만족도에 따라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며, “부부가 행복한 노후생활을 준비할 수 있도록『KB골든라이프 부부힐링캠프』를 통해 비재무적인 감성 소통을 지원하고,‘은퇴설계시스템’을 활용한 다양한 노후…
[KJtimes=김승훈 기자]LG이노텍[011070]에 대해 KB증권과 하이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4일 KB증권은 LG이노텍에 대한 목표주가를 14만원에서 15만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올해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가 유효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전날 LG이노텍은 공시를 통해 1분기 매출이 1조368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5% 줄고 영업손실은 114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고 밝혔다. KB증권은 최근 낮아진 시장 기대치를 고려하면 우려한 것보다는 양호한 실적이며 광학솔루션과 LED 부문 수익성 약화는 예상에 부합했으나 칩온필름(COF) 매출 호조에 힘입어 양호한 기판 소재 부문이 수익성을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같은 날, 하이투자증권은 LG이노텍의 목표주가를 13만5000원에서 15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종전대로 ‘매수’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2분기 실적이 호조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에 기인한다. 하이투자증권은 LG이노텍의 스마트폰 출하 부진의 주요 원인인 중국 시장 수요의 역성장폭이 축소되는 신호가 나타났다는 점도 2분기 실적 호조 가능
[KJtimes=김승훈 기자]포스코케미칼[003670]에 대해 전기차 소재 부문에 대한 성장성은 확고하지만 높은 가격대가 부담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하나금융투자는 포스코케미칼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7만8000원에서 5만9000원으로 내려 잡으면서 투자의견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하나금융투자는 음극재 부문 초기 증설에 따른 비용증가 부담과 PMC Tech의 영업이익률 하락을 고려해 연간 순이익 추정치를 기존 추정치 대비 24% 하향 조정하며 자회사 지분법이익 감소 리스크가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부담을 더욱 높일 수 있어 당분간은 높은 주가 수익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김현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포스코케미칼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3553억원, 영업이익은 219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며 “내화물 부문의 실적 부진과 자회사(PMC Tech)의 판매량 감소에 따른 지분법이익 감소가 실적 부진의 주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음극재의 경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2%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간 점은 긍정적”이라면서 “연말까지 음극재 생산능력(CAPA)이 증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