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해영, 아침드라마 ‘너라서 좋아’ 주인공 확정

 

[KJtimes=유병철 기자] 배우 윤해영이 SBS 새 아침드라마 내 인생의 단비후속으로 방영되는 너라서 좋아의 주인공 강진주 역으로 캐스팅 되어 아침 안방극장 점령을 예보하고 있다.

 

너라서 좋아는 일과 사랑에 대한 저마다의 다른 가치관을 가진 여고 동창생 3명이 30대의 한복판에서 재회하여 서로 다른 삶의 애환과 우정을 그린 드라마이다.

 

윤해영이 연기할 강진주는 조건보다는 사랑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사랑으로 가정과 일 둘 다 충족시킬 수 있다고 믿는 책임감 강한 대한민국 대표 워킹맘 캐릭터이다.

 

연개소문, ‘나는 전설이다’, ‘뿌리깊은 나무등의 히트작을 연출한 신경수 PD가 연출을 맡았다. 신경수 PD윤해영은 긍정의 힘을 가진 배우다. 위로와 위안이 될 수 있는 배우는 많지 않다. 어느 것보다 강력한 힘을 가진 그녀가 살아가기 팍팍한 대한민국에 긍정의 힘과 용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배우로 적격이라 생각했다고 전했다.

 

이에 배우 윤해영은 지적이면서도 열정적인 커리어 우먼이자 가족의 소중함을 동시에 보여줘야 하는 강진주 역에 매력을 느꼈으며 대한민국 여성들에게 아름다운 긍정에너지를 전해줄 수 있는 워킹맘을 연기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윤해영 소속사 관계자는 극중 강진주의 밝은 이미지는 윤해영에게 딱 맞는 캐릭터이다. 이번 작품은 워킹맘으로 살고 있는 그녀의 삶을 작품에 투영해 반영시킬 수 있어 좀더 사실적이면서 진정성 있는 연기를 기대해볼 수 있다고 전했다.

 

SBS 새 아침드라마 너라서 좋아는 현재 93일 첫 방송을 앞두고 촬영 중에 있다.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①]당근마켓·공유모빌리티 명과 암
[KJtimes=김승훈 기자]“소유에서 공유로 시대정신이 바뀌고 있다. IT 발달로 소유보다 더 편리한 공유의 시대가 오고 있다. 기존의 사회가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으로 인한 소유의 시대였다면 미래는 재화와 서비스를 필요한 시간만큼 이용하는 공유시대가 될 것이다.” 공유경제제연구소 이계원 대표는 지난달 25일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21 제1회 공유경제 학교’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날 ‘일상 속 사례를 통한 공유경제 개념 수립과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강연에 나선 이 대표는 공유경제의 실 사례로 당근마켓과 공유킥보드, 공유자전거 등을 소개했다. 이 대표는 우선 “당근마켓 이전에도 중고마켓이 많았지만 신뢰도는 당근마켓보다 못하다”며 “그러나 ‘당신 근처의 마켓’이라는 말처럼 당근마켓은 동네를 기반으로 직거래를 하기 때문에 물건의 신뢰성을 높였다”면서 당근마켓의 장점으로 지역 기반, 매너 평가, 환경 친화, 경제성을 들었다. 이어 “당근마켓은 거래 통해 좋은 평가를 받게 온도가 올라가는 식인 반면 물건에 하자가 있거나 시간약속을 지키지 않게 되면 온도가 내려가는데 온도만 봐도 믿을 만한 사람인지 알 수 있다”면서 “또 공간과 자원 낭비를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