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34%, 직원 코로나 블루 관리한다”

[KJtimes=김봄내 기자]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코로나 블루를 호소하는 이들도 많은 가운데, 기업 10곳 중 3곳 이상은 직원들의 코로나 블루를 케어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303개사를 대상으로 직원의 코로나 블루를 관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34%관리하거나 관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이 실시 중이거나 실시하려는 코로나 블루 관리 활동은 자유로운 연차 사용 등 워라밸 증진’(53.4%, 복수응답)1위였다. 다음으로 취미생활 지원 등 정서적 리프레시 지원’(32%), ‘간식, 건강식품 등 전달’(28.2%), ‘랜선 회식 등 비대면 소통 활동 강화’(28.2%), ‘전문가 상주 또는 초빙해 심리상담 운영’(15.5%), ‘헬스장 지원 등 신체 건강을 위한 복지 운영’(14.6%) 등의 순이었다.

 

현재 직원들의 코로나 블루를 관리하는 기업들(62개사)의 경우, 올해 1분기(21%)에 코로나 블루를 관리하기 시작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뒤이어서 ‘20202분기’(17.7%), ‘20213분기’(16.1%), ‘20201분기’(14.5%), ‘20212분기’(11.3%) 등의 순이었다.

 

코로나 블루를 관리하는 이유는 직원 만족도와 애사심을 높이기 위해서’(50%, 복수응답)직원 정신건강이 경쟁력에 중요한 요소여서’(50%)가 동률이었다. 이밖에 직원 케어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27.4%), ‘코로나 블루로 낮아진 생산성을 만회하기 위해서’(21%), ‘경영진의 의지가 커서’(11.3%), ‘대외적인 회사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6.5%) 등이 있었다.

 

이들 기업의 대다수(87.1%)는 실제로 코로나 블루 관리 활동이 효과를 발휘한다고 답해, 효용성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코로나 블루에 시달리는 직원들은 얼마나 될까.

전체 응답기업의 21.8%가 현재 코로나 블루를 겪는 직원들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전체 직원 대비 코로나 블루를 겪는 직원의 비율은 평균 34.5%로 집계됐다.

 

한편, 응답 기업의 87.1%는 직원들의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별도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오프라인 회식, 모임, 사내행사 최소화’(67%, 복수응답), ‘출근 시 발열 체크, 건강상태 문진 등 실시’(55.3%), ‘백신 휴가 도입’(51.1%), ‘오프라인 회의, 외부 미팅 최소화’(40.5%), ‘재택/원격 근무 실시’(28.4%)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②] 빨래방·오디오북 명과 암
[KJtimes=김승훈 기자]“소유에서 공유로 시대정신이 바뀌고 있다. 특히 IT 발달로 소유보다 더 편리한 공유의 시대가 오고 있다. 기존의 사회가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으로 인한 소유의 시대였다면 미래는 재화와 서비스를 필요한 시간만큼 이용하는 공유의 시대가 될 것이다.” 공유경제제연구소 이계원 대표는 지난달 25일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21 제1회 공유경제 학교’ 초청 강연에서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공유경제의 현주소와 미래를 이 같이 전망했다. 이 대표는 요즘 핫한 공유경제의 사례로 ‘빨래방’과 ‘오디오북’ 시장의 현 상황과 향후 진화 방향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저는 집에 세탁기나 건조기가 있지만 운동화를 빨기 위해 빨래방을 이용한다”고 운을 뗀 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가구는 30%를 넘어섰다. 이들의 상당수는 좁은 원룸에서 사는데 집도 좁은데 세탁기, 건조기 같은 빨래 용품들이 다 갖추기에는 공간이 좁다”고 1인가구의 애로사항을 설명했다. 이어 “요즘 의류 관련 가전제품들이 늘고 있다. 예전에는 세탁기하나면 충분했는데 건조기, 의류를 관리 할 수 있는 드레스에 신발 관리하는 슈드레스까지 등장했다”며 “이

[코로나 라이프]거리두기·비대면 온라인 선호로 카드 사용 ‘↑’
[KJtimes=김봄내 기자]#경기도 일산에 거주하는 직장인 A(43)씨. 코로나19 사태 이후 그의 생활방식이 바뀌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수시로 재택근무를 하게 되면서 카드 사용금액이 많아졌다. 배달 음식을 먹는 경우가 잦아졌고 인터넷 구매 역시 늘어난 탓이다. #서울 서대문구로 출근하는 직장인 B(28·여)씨는 얼마 전 카드사용 내역서를 받아보고 깜짝 놀랐다. 지난해 초 대비 결제금액이 두 배 이상 나왔다는 이유에서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지난해 하반기부터 격주로 재택근무를 하게 되면서 카드 구매금액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B씨는 재택근무를 하면서 음식점과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습관적으로 이용하는 횟수가 늘어났다. 게다가 혼술을 즐기는 탓에 야식에 안주까지 배달앱을 이용했다. 이로 인해 직장에 나갈 때보다 카드 결제 금액도 1.5배 가량 증가한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개인들의 신용카드 사용금액이 급증하는 추세다. 이유는 거리두기와 비대면 온라인 선호의 영향으로 구매에 대한 인터넷 경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데 있다. 실제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신용·체크카드 구매 이용액은 960조6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지난

환경단체 “한국, 산림벌채 주 수입국...산림파괴 방지 국내 제도 정비 시급”
‘ [KJtimes=정소영 기자] 세계는 매년 우리나라 면적만 한 숲을 잃고 있다. 세계 10대 경제 대국인 한국에서도 산림파괴를 막기 위한 국내 제도 정비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공익법센터 어필, 사단법인 기후솔루션,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시민단체는 지난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대한민국, 산림벌채를 수입하다 - 산림벌채 고위험 상품 공급망 리스크 분석과 공급망 실사의 필요성’이란 주제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이번 발표에서 한국의 주 수입원이면서 열대우림 파괴를 야기하는 주요 상품들의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조사 결과와 국내외에서의 대응 현황을 다뤘다. 이번 행사를 공동주최한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산림파괴를 막기 위한 국내 제도를 정비해 나갈 다양한 정책적 제언들이 나오기를 소망한다”며 “오늘 이 자리가 한국이 공급망에서의 인권 및 환경 위험에 대한 고민을 시작해 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고대한다”고 말했다. ‘ 이어진 기조 발제에서 기후솔루션 김수진 선임연구원은 한국이 수입하는 대표적인 산림벌채 고위험 상품 중 목재칩, 목재펠릿, 팜유의 무역 현황과 공급망에서의 환경·인권 리스크 사례 조사를 발표했다. 우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