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CJ프레시웨이[051500]와 롯데하이마트[07184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올리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15일 키움증권은 CJ프레시웨이의 목표주가를 4만5000원에서 5만3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6분기 만에 전년 대비 증익으로 전환하며 수익성 개선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수익성 개선은 프레시원의 직영경로 강화를 통한 사업구조 정비와 외형성장, 외식 프랜차이즈의 수주, 기업형 다점포 식당 확대에 따른 경로 다양화, 송림푸드 인수효과로 인한 것”이라며 “특히 대규모 정치 집회로 외식 트래픽이 부진한 상황에서 실적개선이 이뤄진 점이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박 연구원은 “집회가 줄어들면서 외식경기는 바닥을 치고 올라올 가능성이 크며 이를 통해 외형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동시에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면서 “장기적으로 외식 경로와 프레시원 부문을 중심으로 수익성 개선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롯데하이마트의 목표주가를 6만5000원에서 7만6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 좋
[KJtimes=김승훈 기자]한화케미칼[009830]과 카카오[03572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2일 교보증권은 한화케미칼에 대해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가 4만2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실적을 개선해 저평가 매력이 부각됐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같은 날, KTB투자증권은 카카오에 대해 다양한 신규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해 목표 주가수익비율(PER)을 40배로 적용해 목표주가를 9만원에서 10만원으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다만 최근의 긍정적 변화가 주가에 상당 부분 반영됐다는 판단으로 투자의견은 ‘중립’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 비수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냈다는 평가에 기인한다. 손영주 교보증권 연구원은 “한화케미칼은 롯데케미칼·LG화학의 실적 호조에 가려진 데다 태양광 업황 개선이 지연될 거라는 우려까지 겹쳐 주가가 정체하고 있었다”며 “순이익이 급증하고 태양광 업황이 개선됨에 따라 주가가 박스권을 벗어날 것”이라고 관측했다. 손 연구원은 “1분기 실적은 계절적인 비수기인데도 지난 분기보다 크게 개선됐고 지분법상 이익은 2158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면서 “한화케미칼의
[KJtimes=김승훈 기자]코스맥스[192820]에 대해 KB증권이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HOLD)’으로, 목표주가는 17만원에서 15만5000원으로 각각 내렸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2일 KB증권은 코스맥스에 대해 이 같은 의견을 제시하고 그 이유로 이 회사의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고 국내 사업 수익성 악화도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스맥스의 연결 기준 1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28.0% 감소한 94억원, 당기순이익은 71.0% 줄어든 25억원을 기록했다. 박신애 KB증권 연구원은 “코스맥스는 1분기에 매출은 예상보다 높았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추정치를 각각 38%, 75% 하회했다”며 “국내 주문이 둔화하고 투자비가 증가한 것이 실적 부진의 원인”이라고 꼽았다. 박 연구원은 “코스맥스가 중국의 사드 보복에도 호실적이 지속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연초 이후 주가가 40% 급등했다”면서 “하지만 결국 이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못해 주가가 현재 수준에서 단기조정을 받은 뒤 횡보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코스맥스의 올해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를 23% 하향조정한다”며 “올해 국내 매출 증가율도
[KJtimes=김승훈 기자]LG전자[066570]와 S-Oil[010950]이 1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이에 따라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날 LG전자는 오전 9시 38분 현재 전날보다 3.93% 오른 7만9300원에 거래됐으며 장중 7만9400원까지 올라 신고가 기록을 새로 썼다. 이는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은 결과다. 실제 이날 매수 창구 상위에는 SG, 메릴린치, 맥쿼리 등 외국계 증권사가 주로 포진했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는 최근 LG전자가 1분기 미국 시장에서 730만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해 20.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그런가 하면 S-Oil도 오전 9시 17분 현재 10만3500원으로 52주 신고가를 다시 썼다. 이는 고배당 매력에 외국인투자자들이 몰린 것에 기인한다. 이 종목은 보통주 기준으로 시가배당률 6.7% 수준의 고배당 매력이 부각하면서 시선을 끌고 있다. 또한 주가는 2014년 11월 최저가 3만7500원에서 2년 6개월 만에 3배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올랐다. 한편 외국인이 내놓은 차익실현 매물을 다른 투자자들이 소화하면서 S-Oil의 주가가 추가 상승을 시도하는 모
[KJtimes=김승훈 기자]아시아나항공[020560]과 더블유게임즈[192080]의 목표주가가 상향조정되면서 그 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1일 KTB투자증권은 아시아나항공의 목표주가를 기존 4900원에서 5200원으로 올렸다. 다만 그룹사 이슈가 아직 남아있고 상승 여력이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투자의견은 ‘중립’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예상을 웃도는 영업이익을 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이한준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시아나항공의 1분기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6.5% 증가한 1조4571억원, 영업이익은 26.6% 감소한 263억원이었다”며 “매출액은 예상과 부합했고 영업이익은 예상을 웃돌았으며 중국 여객 부진을 장거리 노선에서 만회했고 화물 부문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2분기 본격화하는 중국 수요 공백을 일본노선 기저효과와 5월 연휴로 얼마나 만회할 수 있는지가 관심”이라면서 “화물의 경우 2분기까지도 두 자리수 매출액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244억원으로 예상보다 120억원 많았는데 이는 에어서울의 손실폭이 예상보다 적었고 나머지 자회사인 금호리조트, 아시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백화점[069960]의 투자의견이 ‘매수’에서 ‘중립'(HOLD)’으로 하향조정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1일 NH투자증권은 현대백화점에 대해 이같이 조정하고 그 이유로 실적 모멘텀이 약하다는 점을 꼽았다. 다만 목표주가는 13만원으로 유지했다. NH투자증권은 지난 3월 이후 저점에서 약 20%의 주가 반등이 나타나 가치평가(밸류에이션) 매력이 어느 정도 소멸됐다며 향후 실적 모멘텀도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지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연결기준 1분기 영업이익은 1385억원에서 일회성 이익인 부가세 환입금 407억원을 제외하면 978억원에 불과하다”며 “이는 시장 기대치를 다소 밑도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 연구원은 “일회성 이익을 제거하면 영업이익률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0.6%포인트 하락했고 기존 점포의 성장이 정체돼 인건비 등 고정비 상승분을 커버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2분기 현재 백화점 업황은 1분기와 크게 다르지 않은데 5월 연휴로 인한 매출 증가율은 작년 대비 2∼3%로 단조로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한국전력[015760]이 해 1분기 예상치를 밑돈 실적을 발표했지만 점차 회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0일 메리츠종금증권은 한국전력에 대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고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5만6000원을 기존대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경우 1분기 실적은 부진했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이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김승철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한국전력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대폭 밑돈 것은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다”며 “누진제 단계 조정으로 매출이 줄었고 원전계획예방정비가 올해 1분기에 집중돼 원전 가동률이 낮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정비 중이던 원전은 2분기부터 정상 운전에 들어갔고 다음 달에는 신규 석탄 원전 3기가 상업운전에 돌입하는 데다 4분기에는 신고리 4호기 원전이 가동할 예정”이라면서 “1분기 실적 하락 요인이 앞으로의 실적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한국전력은 8일 장 마감 후 공시를 통해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1조4632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59.4%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날 공시에 따르면 매출액은 15조
[KJtimes=김승훈 기자]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이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설치, 중소벤처기업부 확대 신설 등의 공약을 내세웠다는데 기인한다. 그러면 현재 기대되는 4차 산업혁명 관련株는 어떤 것이 있을까. 10일 키움증권은 수혜 종목으로 우리로[046970], 대한광통신[010170], 엑셈[205100], 퓨전데이타[195440], 켐트로닉스[089010], 모바일어플라이언스[087260], 씨아이에스[222080], 엘앤에프[066970], 누리텔레콤[040160], 고영[098460] 등을 꼽았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의 핵심을 전기차, 자율주행차, 신재생에너지, 인공지능, 3D 프린팅, 빅데이터, 산업로봇 등 핵심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라고 분석했다. 김상표 키움증권 연구원은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공약 중에는 혁신적 4차 산업 경제 생태계 구축 스타트업, 벤처 창업 지원 미세먼지 배출량 30% 감축을 위한 친환경 전기동력차 보급 확대 및 전기차 충전 인프라 조기 구축이 있었다”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5G 인프라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중공업과 이 회사에서 분할된 신설법인 3곳 등 4개 회사의 주식이 10일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돼 거래가 재개되면서 향후 변화가 주목되고 있다. 10일 증권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상장되는 회사는 현대중공업(조선·해양플랜트·엔진)과 현대일렉트릭에너지시스템(전기·전자), 현대건설기계(건설장비), 현대로보틱스(로봇) 등 4개사다. 이날 재상장으로 현대중공업의 지주사 전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6개사 중 현대로보틱스가 지주회사를 맡는다. 현대로보틱스는 현대오일뱅크와 현대글로벌서비스를 자회사로 갖고 있다. 이 회사는 분할 과정에서 현대중공업이 보유하고 있던 자사주 13.4%, 현대오일뱅크 지분 91.1%를 넘겨받아 지주사 요건을 갖췄다. 현대로보틱스의 지주사 개편을 위해선 각 상장사에 대한 지분을 각각 20% 이상 보유해야 하며, 지주사 전환을 위한 조건을 2년 안에 모두 충족해야 한다. 이처럼 ‘현대중공업 분할 4개사’가 재상장되고 거래가 이뤄짐에 따라 증권가에선 이들 4개사의 기업가치가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는 분위기다. 일례로 지난 8일 유진투자증권은 현대중공업 분할법인 4개사의 재상장 이후 합산 시가총액
[KJtimes=김승훈 기자]19대 대통령 선거가 끝난 후 유가증권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종목은 어떤 것이 있을까.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번 19대 대통령 선거가 끝나고 새 정부가 출범하면 증시에서 4차 산업혁명 관련주와 내수 소비자가 주목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여기에 내수소비 관련주의 상승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대선 이후 새 정부는 서민경제 활성화와 내수경기 부양, 중소기업 육성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4차 산업혁명은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시대적 흐름인 데다 대선 유력 후보들도 차기 정부의 중요 정책과제로 공약한 상태다. 이에 따라 앞으로 정책 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상태다. 현재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로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홍채인식, 빅데이터,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홈, 스마트카, 전자상거래, 통신인프라, 의료용 로봇 등이 꼽힌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 관련주의 경우 미래성장동력 가치에 대해 높은 가치평가 적용이 가능할 것이므로 관련 종목들의 주가는 상승할 것”이라며 “주가 상승으로 ‘거품’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런 거품조차도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를 일으켜 선순
[KJtimes=김승훈 기자]LG전자[066570]가 8일 유가증권시장에서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이날 오전 9시 9분 유가증권시장에서 LG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2.79% 오른 7만3700원에 거래됐다. 특히 장중에는 7만4000원까지 오르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LG전자의 이 같은 주가 상승은 1분기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역대 최고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는 소식에 기인한다. 실제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는 전날인 7일 이 회사가 1분기 미국시장에서 730만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해 20.0%의 점유율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했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1분기의 17.1%보다 3% 포인트 가까이 상승한 수치로 새 전략 스마트폰 G6를 현지 출시하기 전에 거둔 고무적인 성과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LG전자의 미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20%에 다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4위 ZTE(6.9%)와 격차를 벌리며 1위 애플(34.5%), 2위 삼성전자[005930](24.6%)에 이어 3위 자리를 굳혔다. 업계에선 LG전자가 작년 하반기 출시한 프리미엄폰 V20를 꾸준히 판매하고 K 시리즈와 X 시리즈 등 중저가폰으로도 고르게 인기를
[KJtimes=김승훈 기자]광주은행[192530]과 에코프로[086520]에 대해 대신증권과 삼성증권이 각각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했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8일 대신증권은 광주은행의 목표주가를 기존 1만3000원에서 1만4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은행이 올해 1분기 작년 같은 기간보다 49.3% 증가한 순이익을 내는 등 좋은 실적을 보였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대신증권은 광주은행의 경우 원화 대출이 1분기 중에만 3.5% 증가하고 순이자마진(NIM)도 2.22%로 은행 중 가장 큰 폭인 8bp(bp=0.01%p) 개선되면서 순이자이익이 전 분기대비 4.6% 증가하는 등 시장 추정치를 크게 웃도는 실적을 냈다고 평가했다. 같은 날, 삼성증권은 에코프로의 목표주가를 1만5000원에서 1만8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가 1분기 깜짝 실적을 보였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삼성증권은 "에코프로의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의 경우 작년 같은 기간보다 80.5% 증가한 716억원, 영업이익은 151.7% 증가한 78억원을 달성했으며 이는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최정욱 대신증권 연구원은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중공업[009540] 재상장사들의 경우 분할 재상장 이후 시가총액이 31.7%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8일 유진투자증권은 이 같은 전망을 내놓고 오는 10일 재상장되는 현대중공업, 현대로보틱스, 현대건설기계, 현대일렉트릭 등 4개사에 대한 ‘매수 의견’을 제시했다. 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존 현대중공업 시가총액(12조5400억원) 대비 분할법인 4개사의 합산 시가총액은 최소 31% 이상 증가한 16조5200억원으로 전망된다”며 “전종목 주가상승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4개사 중 현대일렉트릭, 현대건설기계, 현대로보틱스, 현대중공업 순으로 상승 여력이 크다”면서 “비조선회사의 투자 매력이 특히 큰 이유는 동종 산업의 다른 종목과 비교해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저평가됐기 때문으로 현대일렉트릭과 현대건설기계를 최선호주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그는 “현대일렉트릭은 특히 기준주가(15만3000원)로 봤을 때 주가수익비율(PER)이 5.9배, PBR은 0.70배에 불과해 같은 업종의 다른 종목과 비교하면 저평가 상태로 상장한다”며 “현대일렉트릭의 목표가를 34만원으로 제시하는 한편 현대건설기계의 목표주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전자[005930]가 어린이날 주식 선물로 추천됐다. 그 뒤는 NAVER[035420]와 LG화학[051910]이 따랐다. 이는 4일 국내 6개 주요 증권사 리서치센터로부터 ‘어린이날 선물로 자녀에게 주고 싶은 종목’을 복수로 추천받은 결과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증권사 연구원들은 압도적으로 삼성전자(5표)를 추천했다. 이들은 또 NAVER과 LG화학에 가각 2표를 찍었다. 이밖에 1표를 받은 종목은 LG유플러스[032640], 카카오[035720], SK하이닉스[000660], SK머티리얼즈[036490], 엔씨소프트[036570], 롯데케미칼[011170], 한미약품[12894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CJ[001040], 롯데쇼핑[023530] 등이다. 그러면 증권사 연구원들이 삼성전자를 꼽은 이유는 무엇일까. 삼성전자가 이들의 지지를 받은 이유는 무엇보다 4차 산업의 주요 구성 분야에서 글로벌 1위 업체로 4차 산업혁명의 최대 수혜주라는 점에 기인하고 있다. 김영환 KB증권 선임연구원은 “향후 10년간 정보기술(IT)분야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삼성전자는 한국의 대표 IT기업으로 반도체, 디스
[KJtimes=김승훈 기자]한국전력[015760]의 주가 수준이 대부분의 악재를 반영한 저평가 영역이라며 저점 매수 관점이 유효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4일 HMC투자증권은 한국전력에 대해 이 같은 평가를 내놓고 현재 검토 중인 전력구입비 연동제가 시행된다면 다양한 불확실성은 상당히 안정화할 것이라며 주가는 정책 불확실성을 대부분 반영한 것으로 보여 저점 매수 관점이 유효하다고 설명했다. 강동진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전력의 1분기 매출은 15조600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3% 줄고 영업이익은 2조3000억원으로 35.8% 감소해 시장 기대치를 밑돌 것”이라고 예상했다. 강 연구원은 “실적 추정치를 낮춘 요인은 유연탄 가격 하향 안정화가 지연되고 1분기 원전 가동률이 예상을 하회했기 때문”이라면서 “하지만 하반기로 가면서 이익 감소폭은 안정화할 것이고 내년에는 지난해와 올해 확보된 기저발전으로 이익이 다시 개선되는 추이를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