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서민규 기자] 지난 3분기에는 실적 가운데 순이익이 증가한 기업들의 주가가 가장 크게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 중 비교 분석이 가능한 625개사의 3분기 실적 대비 주가 등락률을 분석한 결과, 작년 동기보다 순이익이 증가한 254개사의 주가는 평균 22.5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가 6.79% 오른 것보다 15.79%p 높은 상승률이다. 작년보다 영업이익이 증가한 253개사는 주가가 평균 18.37% 올랐으며, 매출액이 늘어난 382개사의 주가는 평균 13.84% 상승했다. 반면에 작년보다 순이익이 감소한 371개사의 주가는 평균 3.46% 올랐으나 코스피 평균보다는 3.33%p 낮았다. 또 영업이익이 줄어든 372개사 주가는 평균 6.38%, 매출액이 감소한 243개사는 7.14% 각각 상승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와 안철수 전 대선후보가 정치개혁안을 발표, 공동유세에 나섰지만 관련 테마주는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10일 유가증권과 코스닥시장 오전장에서 ‘문재인 테마주’로 분류되는 바른손은 전 거래일보다 8.14% 하락한 3950원에 거래됐다. 우리들생명과학은 가격제한폭까지 떨어졌고, 우리들제약은 13.86% 하락했다. ‘안철수 테마주’로 분류되는 안랩은 4.81% 하락한 4만3500원에 거래됐다. 써니전자와 미래전자도 11.34%, 4.04% 각각 하락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외환은행은 9일, 한국HP를 통해 문서 출력비용과 종이 사용을 감축할 수 있는 친환경 ‘출력관리시스템’을 개발해 은행 업무용 PC에 적용했다고 밝혔다.외환은행에 따르면 ‘출력관리시스템’은 사용자 본인의 현재 사용량, 소속 부점의 월 사용량, 전체 부점의 월 평균사용량을 PC 화면에 출력해 인쇄할 때마다 스스로 인쇄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시스템에서 눈에 띠는 것은 흑백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지정했다는 것. 무의식적인 컬러 인쇄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아울러 종이사용 감축을 위해 양면인쇄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팝업(Pop-up) 화면을 구성해 인쇄 용지비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했다. 외환은행 사무지원부 관계자는 “새로운 ‘출력관리시스템’을 통해 외환은행 본점과 전 영업점에서 발생하는 출력비
[kjtimes=서민규 기자] 한국가스공사의 모잠비크 가스전 발견이 이 종목 투자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가스공사가 이번에 모잠비크 북부해상 4구역 광구에서 발견한 가스의 양은 한국이 4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6Tcf(1억3000만t) 규모이다. 7일 한국투자증권 윤희도 연구원은 “가스공사가 올해에만 다섯 번째 모잠비크 가스전에서 가스를 발견했다. 가스전 발견 소식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연구원은 “그러나 가스 발견부터 상업 생산에 들어가기까지 기간이 너무 길어 불확실성이 크다”며 “따라서 가스공사의 기업가치에 얼마나 기여할지 정확히 계산하기는 어렵다”고 한 발 물러섰다. 윤 연구원은 가스공사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목표주가를 11만원으로 유지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 최근 경영권 분쟁 조짐을 보이고 있는 현대엘리베이터가 상한가를 쳤다. 7일 유가증권시장에서 현대엘리베이터는 오전장에서 가격제한 폭까지 오른 10만6000원에 거래됐다. 현대엘리베이터는 2대 주주인 독일 엘리베이터 제조업체 쉰들러 홀딩 아게가 경영 참여 의사를 밝히면서 최근 급등했다. 쉰들러 측은 앞서 현대엘리베이터의 파생금융 계약을 금지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kjtimes=서민규 기자] 중국 경기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국내 철강 종목이 강세다. 최근 중국 증시가 반등한 데 따른 것. 7일 유가증권시장에서 포스코는 오전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1.51% 상승한 33만6000원에 거래됐다. 같은 시각 영흥철강도 전 거래일 대비 1.89% 상승한 1890원에 거래됐다. 현대제철은 0.12% 오른 8만3100원에, 세아베스틸도 2.57% 상승한 2만7950원에 거래됐다. 이날 KDB대우증권 전승훈 연구원은 “비수기임에도 중국 고로철강 업체들의 톤당 평균 열연 마진(이윤)이 올해 최고수준을 웃돌았다”면서 “이는 실수요 등이 개선되기 시작했음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 삼성전자 주가가 내년에 200만원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7일 증권가 등에 따르면 대신증권과 동양증권은 삼성전자 목표주가로 각각 200만원을 내놨다. 최고치다. KDB대우증권은 190만원, 한국투자증권 185만원, 우리투자증권 180만원, 삼성증권이 170만원으로 전망했다. 반면에 하나대투증권은 가장 낮은 150만원을 제시했다. 주식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지난 5일 145만5000원으로 마감해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6일에는 145만4000원으로 다소 내렸으나 작년 12월 29일 종가(105만8000원)보다는 37.4% 상승했다. 코스피는 이 기간 6.8% 올랐다. 증권사들은 삼성전자 주가가 내년에도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가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태블릿PC와 반도체 등 다른 부문에서도 내년에 성장세를
[kjtimes=서민규 기자] LG전자와 삼성SDI가 대폭 하락했다. 유럽연합(EU) 공정거래 감독 당국으로부터 과징금을 부과 받은 까닭이다. 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LG전자는 오전 9시3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2.93% 하락한 7만2900원에 거래됐다. 같은 시각 삼성SDI도 전 거래일 대비 3.25% 떨어진 14만9000원에 거래됐다. 전날 EU 당국은 LG전자와 삼성SDI, 필립스, 파나소닉, 테크니컬러, 도시바 등 6개 전자업체에 대해 1996~2006년 텔레비전이나 PC에 사용되는 브라운관 시장을 과점하면서 가격담합을 했다는 이유로 총 14억7000만 유로(2조8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회사별 부과액은 LG전자가 2억9560만 유로(4200억 원), 삼성SDI는 1억5080만 유로(2100억 원)며, 필립스가 3억1340만 유로로 가장 많다.
[kjtimes=서민규 기자] 한화투자증권이 ‘103% 원금보장형’ 주가연계증권(ELS) 등 3종 상품을 판매한다. 6일 한화투자증권은 ‘103% 원금보장형 녹아웃 ELS 2044호’ ‘SKT-LG전자 스텝다운 ELS 2045호’ ‘삼성전자-LG전자 85-스텝다운 ELS 2046호’ 등 3종을 오는 7일까지 판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화스마트 ELS 2044호는 코스피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1년6개월 만기 상품이며 만기에 주가가 최초기준 가격 아래로 하락해도 투자 원금의 103%를 보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 한화스마트 ELS 2045호는 SK텔레콤과 LG전자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3년 만기 상품이며 최대 연 12% 수익률을 추구한다.
[kjtimes=서민규 기자] SK텔레콤이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5일 유가증권시장에서 SK텔레콤은 오전 9시4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1.31% 오른 15만5000원에 거래됐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아이폰5에 2개의 주파수 대역 중 통신이 원활한 곳을 골라 쓰는 멀티캐리어(MC) 기술을 세계에서 유일하게 탑재했다.
◇승진상무▲고객자산운용본부장 김신환 ▲경영지원본부장 조성대 상무보▲동부지역본부장 서상택 ▲남부지역본부장 김선경 ▲PB사업본부장 이재형 ▲채권영업본부장 이창용상무보대우▲서부지역본부장 권석주 ▲채권운용본부장 장성수 ▲강서지역본부장 전정탁 ▲강동지역본부장 허재호이사대우▲분당남 원철희 ▲창원 강용학 ▲압구정WMC 박경 ▲남울산WMC 이순조 ▲대치WMC 김용직 ▲대구동 곽진국 ▲잠실 김성익 ▲천안 정진영 ▲종로 이종승 ▲광주 오현욱 ▲개봉 최병국 ▲부평 이창복 ▲인사부 김재봉 ▲PL사업본부장 이완규◇전보상무▲경영서비스부문장 임인혁상무보▲강남지역본부장 이현기 상무보대우▲리스크관리본부장 이대희 ▲PB사업본부장 이재형 ▲중부지역본부장 서용석 ▲강북지역본부장 윤호희부장▲강서지역본부장 전정탁 ▲강동지역본부
[kjtimes=서민규 기자] 한국거래소는 웅진케미칼[008000]의 자회사 PT웅진텍스타일 매각설에 대한 해명을 4일 요구했다. 답변 시한은 이날 오후 6시다.
[kjtimes=서민규 기자] 4일 코스피는 ‘숨 고르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제조업 지수 부진에 따른 전날 뉴욕 증시 하락이 국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서다. 전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지난주 종가보다 59.98포인트(0.46%) 떨어진 12,965.6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0.47%, 나스닥 종합지수도 0.27% 각각 내렸다. 또 미국 재정절벽 협상이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않는 것도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 경기 회복으로 수출이 개선되면서 국내 기업 상황은 점차 나아지고 있다는 점은 증시에 긍정적이다. 삼성증권 곽중보 연구원은 “공화당이 재정절벽 협상안을 역제안하면서 이 문제에 대한 우려가 부각됐고 미국의 제조업 지표가 부진했다. 또 해외 야간 선물이 소폭 조정을 받으면서 오늘 국내 증시는 쉬는
[kjtimes=서민규 기자] 올해 코스피의 변동 폭이 역대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재정위기 등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와 한국 경제의 저성장이 지수 상승의 발목을 잡으면서 증시가 활력을 잃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변동계수는 올해 7.8%로 1980년 코스피 출범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변동계수는 연중 최고점과 최저점의 편차를 중간값의 두 배로 나눠 구한 수치다. 중간값에서 최고점과 최저점까지의 진폭을 나타낸다.올해 코스피 최고점은 3월14일 2,057.28포인트였고, 최저점은 7월25일 1,758.99포인트였다. 최고점과 최저점의 편차는 298.29이고 중간값은 1,908선이다.즉 올해 코스피는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인 1,908포인트에서 위아래로 7.8% 움직이는 데 그쳤다는 의미다.작년의 경우 최고점은 2,231.47로 올해보다 높았고 최저점은
[kjtimes=서민규 기자] 북한이 이달 중순에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발표하자 방위산업주가 크게 오르고 있다. 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휴니드[005870]는 오전 9시4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9.90% 상승한 4605원에 거래됐다. 퍼스텍[010820]은 10.22% 뛴 2050원을 나타냈다. 같은 시각 코스닥시장에서 스페코[013810]는 14.63%, HRS[036640]는 4.39% 각각 상승했다. 빅텍[065450]은 가격제한폭까지 오른 1940원에 거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