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롯데푸드[002270]가 1분기 가공유지 판가 인하 등으로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KB증권은 롯데푸드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69만원에서 64만5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 ‘중립’(Hold)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감소한 4252억원, 영업이익은 46.2% 감소한 86억원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KB증권은 다만 하반기에는 가공유지 판가 회복, 편의 식품 거래처 조정 영향 마무리, 조제분유 수출 회복 등으로 수익성이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애란 KB증권 연구원은 “국내 돈육가격 하락에 따른 육가공 원가 절감, 중국 조제분유 수출 회복 등에도 부진한 실적”이라며 “가공유지 판가 인하, 육가공 마케팅비용 부담, 저수익 거래처 조정에 따른 편의 식품 성장 둔화 등이 원인으로 파악된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롯데푸드의 올해 매출액은 1조8391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6% 늘고 영업이익은 652억원으로 3.6%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이익기여도가 높은 가공유지 판가 인하 영향이 상반기 수익성에 부담일…
[KJtimes=김승훈 기자]덴티움[145720]이 해외 매출 증가로 2분기 실적 호조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2일 대신증권은 덴티움에 대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종전대로 ‘매수’와 10만9000원으로 각각 제시하면서 업종 내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대신증권은 덴티움 2분기 매출액의 경우 580억원, 영업이익은 124억원을 기록할 것이며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에서 임플란트 판매가 확대되면서 매출액이 20%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민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덴티움은 1분기에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기록한 경쟁 업체들에 비해 밸류에이션(평가가치)도 저평가된 상황”이라면서 다만 “2분기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상각 비율이 높고 직원 급여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점을 고려해 영업이익 전망치는 다소 보수적으로 책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덴티움은 지난 7일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연결 영업이익이 11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으며 매출액은 533억원으로 30.4%, 당기순이익은 96억원으로 1.3% 각각 늘었다고 밝혔다.
[KJtimes=김승훈 기자]빙그레[005180]와 오스템임플란트[048260]에 대해 KB증권과 NH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각각 목표주가를 올렸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2일 KB증권은 빙그레의 목표주가를 7만7000원에서 8만3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중립’(Hold)을 유지했다.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 예상을 상회하는 호실적을 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KB증권은 이 회사의 1분기 매출액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증가한 1774억원, 영업이익은 119.8% 증가한 62억원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오스템임플란트의 목표주가를 7만3000원에서 8만4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종전대로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중국 임플란트 시장에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에 기인한다. NH투자증권은 앞서 오스템임플란트는 올해 1분기 중국에서 매출 267억원을 거둬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6%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근 중국에 2∼3곳의 한국 임플란트 제조업체가 추가로 뛰어들어 시장 경쟁이 심화하고 있지만 이 회사는 중국에서 급격한 실적 성장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박애란…
[KJtimes=김승훈 기자]의료기기 업체 씨젠[096530]이 1분기 호실적을 거둔 데다 성장 잠재력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1일 NH투자증권은 씨젠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를 1만8000원에서 3만2000원으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가 1분기에 연결기준 매출액 275억원, 영업이익 58억원을 올려 ’어닝 서프라이즈‘를 냈다고 평가했다. NH투자증권은 씨젠의 경우 현재까지 미국에서 연구용 시약을 공급하는 데 국한되고 있는데 미국 대중 시장에서도 제품이 출시되면 중장기적인 성장성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구완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분자진단 관련 글로벌 수요가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고 지난해 프랑스에 대형 거래처를 확보해 장비 매출이 늘어난 데 이어 시약 매출도 증가하고 있다”며 “올해 씨젠의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174억원, 238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씨젠은 지난 3월 5일 국제의료기기규제당국자포럼(IMDRF)의 의료기기 품질 심사제도인 ‘의료기기단일심사프로그램'’MDSAP)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현재 이 회사는 캐나다에 10개,
[KJtimes=김승훈 기자]한진칼[180640]과 한화[000880]에 대해 증권사가 부정적 전망을 내놓으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1일 대신증권은 한진칼의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시장수익률’로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는 종전대로 3만5000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주가가 부진한 실적 전망에 비해 지나치게 고평가돼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대신증권은 KCGI의 지분 매입으로 인한 경영권 분쟁 기대감 등 추가 상승 요인은 있지만 펀더멘털(기초체력) 대비 주가가 고평가돼 있다는 점을 고려해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같은 날, 대신증권은 한화의 목표주가를 5만원에서 3만7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종전대로 ‘매수’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하반기까지 주가 상승 모멘텀이 부재할 것이라는 분석에 기인한다. 대신증권은 현재 한화의 주가가 추정 순자산가치(NAV)에 비해 65% 낮은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해 매수 의견은 유지하지만 실제로 주가가 회복되는 시점은 하반기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현재 한진칼의 주가(20일 종가 기준 4만1500원)는 대신증권이 제시한 목표주가를 웃돌며 이 회사의 순자산가치(
[KJtimes=김승훈 기자]원화 약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며 미중 무역협상이 결렬되면 원/달러 환율이 1250원을 넘을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0일 하이투자증권은 이 같은 전망을 내놓고 미중 무역협상 불안감이 이어진다면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180원∼1250원선을 오르내릴 것으로 보이며 최악의 경우 미중 무역협상이 결렬되면 1250원을 상회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중 무역갈등 영향이 세계 교역에 본격적으로 반영된 올해 1분기 주요국의 수출 증감률 가운데 한국의 감소폭이 가장 두드러졌다”며 “반도체 수출이 부진한 것도 원화 약세의 요인으로 반도체 수출 부진이 전체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무역수지 흐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당분간은 원화 약세 심리를 차단할 브레이크가 없다”면서 “미중 무역 갈등이 6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까지 타결되거나 봉합되지 않으면 하반기 국내 수출 증가율이 상승세로 돌아설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같은 날, 한국투자증권은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의 수급 불안 영향이 커지고 있어 대형주보다 중·소형주가 투자에 유리하다는 분석
[KJtimes=김승훈 기자]기아차[000270]가 원화 약세로 수출 이익증가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메리츠종금증권은 기아차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4만5000원에서 4만8000원으로 높이고 투자의견 ‘단기매수’(trading buy)를 유지했다. 메리츠종금증권은 원/달러 환율이 10원 오를 때마다 기아차의 올해 영업이익은 해외 시장 가격경쟁력 강화와 실질적 평균판매단가(ASP) 상승으로 인해 5.5%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고 분석했다. 김준성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기아차가 그간 수출 비중을 확대해온 결과 자동차 업종 주요 기업 중 환율 변화에 따른 이익 민감도가 가장 높은 회사가 됐다”면서 “향후 환율 수준에 따라 기아차의 이익 수준이 더 크게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계속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아차 멕시코는 지난 14일(현지시간) 멕시코 박애센터(CEMEF)의 사회공헌(ESRㆍEmpresa Socialmente Responsible) 인증을 처음으로 획득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기아차 멕시코에 따르면 다른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영업활동을 시작한 후 인증을 획득하기까지 10년 이상 걸렸
[KJtimes=김승훈 기자]미래에셋생명[085620]과 이마트[139480]에 대해 NH투자증권과 SK증권 등 증권사가 각각 ‘매수’ 추천을 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17일 NH투자증권은 미래에셋생명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6200원을 종전대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1분기에 양호한 실적을 냈으며 앞으로도 안정적인 수익이 기대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전날 미래에셋생명은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연결 영업이익이 38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23%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같은 날, SK증권은 이마트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종전대로 ‘매수’와 24만5000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트레이더스 등 신성장동력을 통해 장기적으로 모멘텀을 회복할 것이는 전망에 기인한다. 이마트는 전날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74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6%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발혔는데 이에 따라 이마트의 전날 종가(14만6500원)는 지난 2011년 신세계에서 분할 상장한 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래에셋생명의 1분기 순이익은 시장…
[KJtimes=김승훈 기자]화장품 제조업체 클리오[237880]가 중국 오프라인 매장 철수 등 구조조정으로 실적 개선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7일 하나금융투자는 클리오에 대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2만3000원에서 2만8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하나금융투자는 목표주가 2만8000원은 주가수익비율(PER) 36배 수준으로 높지만 브랜드 업체의 실적 턴어라운드 시기에는 영업이익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우가 많으며 밸류에이션(가치평가)보다 분기별 실적 모멘텀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클리오의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 407% 증가한 578억원, 32억원을 기록했다”며 “이는 시장기대치인 21억원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라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중국 화장품 소비 시장의 특징 중 하나는 원 국가에서의 브랜드 인지도를 중요시한다는 점으로 중국시장 성공을 위해서는 한국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야 한다”면서 “클리오는 국내 헬스앤뷰티(H&B) 시장에서 독보적인 시장점유율 1위 업체로 현재 상장돼있는 중저가
[KJtimes=김승훈 기자]대한항공[003490]에 대해 KTB투자증권은 주주가치 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을 내놓은 반면 유진투자증권은 정비비 등 영업비용 부담이 커졌다는 부정적 분석을 제시했다. 16일 KTB투자증권은 대한항공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종전처럼 ‘매수’와 4만5000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차입금 감소에 따른 주주가치 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KTB투자증권은 리스 회계기준 변경 효과를 배제하고 살펴보면 대한항공의 순차입금은 올해 1분기에만 2527억원 감소했으며 과거 순차입금이 증가하면서 시가총액은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던 대한항공이 올해부터 순상환 기조를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유진투자증권은 대한항공의 목표주가를 4만3000원에서 4만1000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정비비 등 영업비용 부담이 커졌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유진투자증권은 대한항공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의 경우 1406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20.0% 하회했으며 "화물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6% 감소했고 비용 가운데 정비비가 480억원 증가했는데 이는 2011년부터 도입했던 A380 등 대형
[Kjtimes=김승훈 기자] 휠라코리아[081660]에 대해 NH투자증권과 KB증권 등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6일 NH투자증권은 휠라코리아의 목표주가를 8만원에서 9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종전대로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뛰어넘었으며 앞으로도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휠라코리아 1분기 연결기준 매출의 경우 8346억원, 영업이익은 1158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냈으며 국내 매출이 큰 폭으로 늘었고 중국에서도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어 글로벌 로열티도 고성장세를 이었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KB증권은 휠라코리아의 목표주가를 8만3000원에서 9만2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본업의 고성장으로 자회사 부진을 상쇄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KB증권은 자회사 아쿠쉬네트 부진에도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소폭 상회했으며 1분기 휠라의 본업은 영업이익률(OPM)이 17%에 달하면서 전 지역에서 고성장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지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들어서도 휠라코리아는 매출성장률이 양
[KJtimes=김승훈 기자]한국금융지주[071050]에 대해 교보증권과 하이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5일 교보증권은 한국금융지주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9만원을 유지하면서 업종 내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 수익구조 다각화로 업계 최고의 실적을 달성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실제 이 회사의 1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261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0.3% 증가했다. 교보증권은 한국투자신탁운용과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의 합산 운용자산(AUM)이 전년 대비 4.8% 증가하면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같은 날, 하이투자증권은 한국금융지주의 목표주가를 9만원에서 9만7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종전대로 ‘매수’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1분기 호실적을 거뒀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하이투자증권은 한국금융지주의 경우 다양한 투자 자산에서 이익을 냈으며 지난해 4분기 큰 폭의 손실을 본 한국투자파트너스의 이익이 정상화되고 카카오뱅크도 흑자로 돌아섰다고 분석했다. 김지영 교보증권 연구원은 “한국금융지주의 호실적은 주요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
[KJtimes=김승훈 기자]신세계[004170]가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으로 1분기에 양호한 실적을 냈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현대차증권은 신세계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의 목표주가를 32만원에서 40만원으로 올렸다. 그러면서 올해 이 회사이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를 기존보다 8.4%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현대차증권은 신세계 1분기 연결기준 총매출액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0% 증가한 2조3053억원, 영업이익은 2.9% 감소한 1100억원으로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박종렬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양호한 영업이익은 연결 자회사인 신세계인터내셔날, 센트럴시티, 대구신세계 등의 실적 개선 때문”이라며 “연결 자회사들의 점진적인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센트럴시티는 지난해 8월 메리어트호텔 리뉴얼 오픈과 호텔 가동률(OCC)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늘었다”면서 “신세계인터내셔날도 화장품 매출 호조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20.2%, 147.5%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13일 유진투자증권은 신세계의 목표주가를 38만원에서 40만원으로 올린 바 있다. 이는 이
[KJtimes=김승훈 기자]화장품 제조업체 클리오[237880]가 매출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NH투자증권은 클리오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의 목표주가를 2만3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종전처럼 ‘매수’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는 색조 브랜드로서 전문성이 있고 스킨케어 제품의 매출 확대까지 더해지며 기초 체력을 키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조미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온라인 채널에서의 입점 확대와 유통 채널 구조조정, 신제품 판매 호조에 따라 매출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며 “2∼3분기에는 국내외 시장에서 채널 정비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지만 온라인 채널의 고성장이 탄력을 받으며 실적 개선세는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지난달 1일 하나금융투자는 클리오의 목표주가도 1만8000원에서 2만3000원으로 올려 잡았다.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이는 이 회사가 온라인과 면세점의 고성장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실적이 크게 좋아질 것이라는 분석에 기인했다. 당시 하나금융투자는 현재 주가의 경우 주가수익비율(PER) 27배로 낮지 않은 수준이지만
[KJtimes=김승훈 기자]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와 CJ제일제당[097950]에 대해 KTB투자증권과 유진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각각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14일 KTB투자증권은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목표주가를 4만5000원에서 4만1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종전대로 ‘매수’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로열티 매출 부진과 세무조사 관련 불확실성이 우려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KTB투자증권은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올해 1분기 23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크게 밑돌았으며 자회사인 YG PLUS[037270]가 영업 손실을 낸 가운데 아티스트 활동 부재가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유진투자증권은 CJ제일제당의 목표주가를 41만원에서 36만원으로 낮추고 현재 추정치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11.5배, 주가순자산비율(PBR) 1.0배 수준인 주가를 고려해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1분기 실적이 식품사업 부문의 비용 부담으로 부진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유진투자증권은 햇반 등 70여개 품목의 가격 인상 영향이 2분기부터 반영되고 진천공장의 가동률 상승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