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권찬숙 기자]일본인 18~39세 연령대에서 4명 중 1명꼴로 성(性) 경험이 없다는 연구조사 결과가 나왔다. 교도통신은 도쿄대와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가 이런 내용의 공동 연구 결과를 영국 의학잡지 BMC 퍼블릭 헬스에 발표했다고 8일 전했다. 공동연구진은 1992년과 2015년 시점을 기준으로 18~39세 일본인 1만명 이상의 성관계 실태 자료를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추계한 결과 성 미경험자 비율이 1992년의 20%에서 2015년에는 25%로 5%포인트 높아졌다. 30대에서도 거의 10명에 한 명꼴이 미경험자로 파악됐다. 이는 '초식남'(草食男子)이나 '섹스이탈'(セックス離れ)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성에 무관심한 일본인이 증가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 고용이나 경제 상태가 불안정한 남자 층에서 미경험 비율이 높았고, 미경험 남녀의 80%는 결혼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성 경험이 없는 것은 본의가 아닐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미경험 비율은 1992년 20%에서 2015년 25.8%로, 여성은 21.7%에서 24.6%로 각각 높아졌다.…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의 월간 경상수지 흑자가 56개월째 이어졌다. 일본 재무성이 8일 발표한 월간 국제수지 동향(속보치)에 따르면 올 2월의 경상수지는 작년 동월 대비 25.3% 늘어난 2조6천768억엔(약 27조원) 흑자를 기록했다. 일본이 월 기준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달성한 것은 56개월째다. 올 2월의 무역수지는 작년 동월 대비 2.4배 규모인 4천892엔 흑자로 나타났다. 수출액은 자동차와 철강 부문의 부진으로 1.9% 줄었지만 원유 가격이 떨어지면서 수입액이 6.6% 감소한 영향이 컸다. 지난 2월의 제1차 소득수지는 2조145억엔 흑자였다. 해외 자회사에서 받는 배당금 등 직접 투자 수익이 늘면서 흑자 규모가 작년 동기 대비 3.2% 늘었다. 제2차 소득수지는 작년 동기(1천835억엔 적자)보다 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635억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재무성은 작년 하반기의 자연재해에 따른 보험금 수령이 늘어나 적자폭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운송과 여행 등의 서비스 수지는 작년 동기의 1.4배인 2천366억엔 흑자를 달성했다. 이 가운데 일본을 찾은 외국인의 소비액을 반영하는 여행수지는 2천274억엔 흑자로 집계돼 2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
[KJtimes=김현수 기자]최근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대응하기 위한 역내 협력의 중요성이 커진 가운데 한중일 3국이 4개월여 만에 다시 만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이어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9일부터 나흘간 일본 도쿄(東京)에서 제15차 한중일 FTA 공식 협상을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실장, 리청강(李成鋼) 중국 상무부 부장조리, 타케히로 카가와 일본 외무성 국제경제대사가 3국 수석대표로 참석한다. 이번 수석대표들은 모두 지난해 12월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14차 협상 이후 교체된 새로운 멤버다. 이번 협상에서는 상품·서비스 시장 개방, 투자 유보 협상 등 핵심쟁점 분야에서 진전 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그동안 중단됐던 통관·경쟁·전자상거래 등 규범 분야의 분과별 협상도 재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3국이 모두 참여하고 있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상이 연내 타결을 목표로 논의 중인 만큼 한중일 FTA에서 RCEP보다 높은 수준의 자유화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도 중점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여한구 실장은 "협상 진전을 위해 한중일 3국 모두 유연성을 발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정부가 정보통신기기 부품 등에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심어 스파이 활동을 하는 행위를 막기 위해 민간업계와 함께 대책 마련에 나선다. 정부는 이달내로 '스파이 부품'을 배제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 자동차, 방위산업 등 분야별 기업에 제시해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로 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8일 보도했다.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IT(정보통신)로 연결돼 정보유출이나 사이버 공격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일본 정부는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 등의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한 스파이 행위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점을 고려, 이번에 마련할 대책을 미국과도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유럽연합(EU)의 관계기관에도 설명해 미국, 유럽 등과의 연대를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반도체 칩 등의 정보기기 부품울 이용한 스파이 활동은 '내장형'이라고 불린다. 제조, 유통 과정에서 '내장형 스파이 부품'이 끼어들지 못하도록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우선 내각관방과 경제산업성, 총무성 등이 중심이 돼 정보유출을 막기 위한 산업별 행동지침을 마련키로 했다. 이 지침을 토대로 자동차, 전력, 군수, 스마트 홈 등 산업별로
[KJtimes=권찬숙 기자]웃는 얼굴의 선거 포스터가 득표에 유리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사노 마사히코(浅野正彦) 일본 다쿠쇼쿠(拓殖)대학 교수가 수행한 선거 포스터에 실린 후보자의 얼굴 표정과 득표의 관련성 연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4일 전했다. 아사노 교수는 유력 전기업체 오므론이 개발한 얼굴인식 기술을 이용, 포스터에 실린 후보자 사진의 눈과 입의 위치 등을 토대로 '웃는 정도'를 수치화했다. 1980~2017년 중의원 선거 중 1993년까지 중선거구제 선거구에서 3번, 96년 이후 소선거구제 선거에서 3번 등 선거 출마자 6천명의 포스터 사진의 웃는 정도와 득표율을 산출, 연령과 성별 등의 영향을 제거하고 웃는 정도만 분석이 가능하도록 처리했다. 분석 결과 당선자가 3~5명인 중선거구에서는 웃는 정도가 득표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당선자가 1명인 소선거구에서는 영향이 작은 것으로 밝혀졌다. 아사노 교수는 "같은 정당 후보자가 경쟁하는 경우도 있는 중선거구에서는 후보자 개인에게 관심을 갖게돼 웃는 얼굴이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에 비해 당선자가 1명인 소선거구에서는 개인 보다 정당이나 정책으로 판단
[KJtimes=권찬숙 기자]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의 지역구 도로사업을 "내가 알아서 가능하게 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을 일으킨 차관급 인사가 결국 사임하기로 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아소 부총리 겸 재무상은 쓰카다 이치로(塚田一郞) 국토교통 부대신(副大臣)이 전날 사임 의향을 밝혔다고 5일 말했다. 쓰카다 부대신은 지난 1일 혼슈(本州)와 규슈(九州)를 잇는 도로사업 조사와 관련해 "국가가 직접 관할하는 조사로 끌어올렸다"며 "내가 '손타쿠' 했다"고 말해 비판을 받았다. 손타쿠(忖度)는 구체적으로 지시를 받지는 않았지만, 윗사람이 원하는 대로 알아서 행동한다는 의미다. 손타쿠는 아베 총리와 부인 아키에(昭惠) 여사가 사학재단들이 특혜를 받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사학 스캔들'에도 등장했다. 당시 담당 공무원들이 아베 총리 혹은 윗선의 의사를 헤아려 특혜를 줬다는 지적을 받았다. 문제가 된 사업은 아베 총리의 선거구인 야마구치(山口)현 시모노세키(下關)시와 과거 중선거구 시절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의 지지기반이었던 기타큐슈(北九州)시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사업은 2008년에 보류됐지만 2017년에 지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정부가 이달 중순 베이징(北京)에서 열릴 중국과 일본의 ‘고위급 경제대화’에 일본 측 각료 6명이 참석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목적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런 가운에 일각에서는 각료를 회의에 대거 참석시켜 양국 관계의 개선을 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5일 요미우리신문은 중일 경제대화에 참석하기 위해 6명의 각료가 방중하는 것은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이번 경제대화에서는 제3국에서의 양국의 경제협력과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에 대한 협력 방안 등이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따르면 경제대화에 일본 측에서는 고노 다로(河野太郞) 외무상과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경제산업상, 이시이 게이이치(石井啓一) 국토교통상, 요시카와 다카모리(吉川貴盛) 농림수산상, 하라다 요시아키(原田義昭) 환경상, 가타야마 사쓰키(片山さつき) 규제개혁상이 참석한다. 반면 중국 측에서는 왕이(王毅)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고노 외무상은 경제대화 참석차 중국을 방문하는 것을 계기로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를 예방할 예정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에서 오는 27일부터 10일간 이어지는 사상 최장의 '골든위크' 기간에 국내외 여행길에 오르는 일본인이 역대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 최대 여행사인 JTB는 4일 올해 골든위크 기간의 국내외 여행자 수가 작년보다 1.2% 증가한 2천467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골든위크 기간으로만 따져 사상 최대 규모라고 JTB는 밝혔다. 전체 일본 인구(약 1억2천700만명)를 기준으로 보면 20%가량이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셈이다. 일본에서는 해마다 히로히토(裕仁) 전 일왕의 생일로 공휴일인 4월 29일부터 5월 초순에 걸쳐 헌법기념일, 녹색의날, 어린이날 등 여러 공휴일이 끼어 있어 휴일이 이어지는 '골든위크' 연휴가 펼쳐진다. 올해는 여기에 아키히토(明仁) 현 일왕이 퇴위하는 4월 30일(화)과 나루히토(德仁) 새 일왕이 즉위하는 5월 1일(수)이 공휴일로 지정되고 월요일인 5월 6일이 대체 휴일이 되면서 사상 최장인 10일간의 연휴가 이어진다. JTB 추계에 따르면 올해 골든위크 기간의 국내 여행객은 작년보다 1.1% 늘어난 2천401만명에 달하고, 연휴가 시작되는 4월 27일 출발할 예정인 사람이 가장 많은
[KJtimes=권찬숙 기자]매월 일정액을 내면 전국의 거점 숙소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는 '뷔페형 숙박' 서비스가 일본에서 속속 등장하고 있다. 4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에 따르면 부동산 계열 스타트업인 '어드레스'는 4월부터 일본 전역에서 운영하는 11곳의 시설을 일정액을 내고 언제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뷔페형 숙박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용 요금은 연간 회원이 48만엔(약 480만원)으로, 월정 기준으론 4만엔 수준이다. 월간 회원은 5만엔으로 다소 높게 책정됐다. 이 회사는 도쿄도 시부야(澁谷) 등 수도권 외에 도쿠시마(德島), 후쿠이(福井) 등 전국 11곳에 숙박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개인이 다른 가족과 함께 쓸 수 있는 방뿐만 아니라 셰어 하우스처럼 거실과 주방을 공유하는 형태의 방도 있다. 회사 측은 와이파이 설비가 갖춰져 작업장으로도 쓸 수 있다고 홍보한다. 나가사키(長崎)에 소재한 숙박업체 '가부크 스타일'(KabuK Style)도 이달부터 뷔페형 숙박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업체가 뷔페형으로 묶은 숙박시설에는 나가사키 등 일본 내 46곳 외에 대만과 그리스 등 해외지역 게스트하우스 7곳이 포함된다. 요금은 매일 어느 곳에서나 투숙할 수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중 '비정규직'의 비중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중앙 정부가 공무원 인건비 억제를 내세워 감원을 요구하는데 비해 자녀양육과 교육, 복지 등 공공서비스 수요는 늘자 지자체들이 정규직을 줄이는 대신 비정규직 채용을 늘리고 있어서다. 총무성이 2016년 4월 현재 전국 지자체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공무원 현황을 조사한 결과 비정규직이 64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4일 보도했다. 이는 2005년 조사 때 보다 40% 증가한 것이다. 간바야시 요지(上林陽治) 지방자치종합연구소 연구원이 총무성에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지자체별로 집계한 결과 나가사키(長崎)현 사자초(佐々町)의 비정규직 비율이 66.9%에 달하는 등 전국 93개 지자체의 비상근 또는 임시고용 직원의 비중이 5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들이 중앙 정부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정규직을 줄이는 바람에 신분이나 수입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이 행정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비정규직 비중이 50%가 넘는 지자체는 2008년 17곳에서 93곳으로 늘었다. 일본 정부는 2005년 공무원 인건비를 억제하기 위해 5년간 지자체 공무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반도체업체인 도시바(東芝)메모리홀딩스의 연내 상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조3000억엔(약 13조원) 규모의 신규 자금을 조달하는 게 그 이유로 꼽힌다. 4일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 언론은 도시바메모리홀딩스가 미쓰비시UFJ, 미쓰이스미토모, 미즈호 등 일본 3대 은행에서 총 1조엔의 융자를 받고 일본정책투자은행에서 3000억엔의 출자를 받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언론에 따르면 도시바메모리홀딩스는 이렇게 조달한 자금으로 미쓰비시UFJ 등 기존 3대 은행에서 받은 대출금 6000억엔을 갚고 나머지 돈은 미국 애플 등 거래처가 보유한 우선주 매입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도시바메모리는 도시바의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를 모태로 지난 2017년 출범했다. 원래 올 9월 도쿄증시 상장(IPO)을 추진했으나 11월 이후로 일정이 늦춰졌다. 앞서 경영 부진에 빠진 모회사 도시바는 지난해 6월 미국 사모펀드 베인캐피털을 주축으로 한 한미일 컨소시엄에 도시바메모리를 약 2조원엔 매각했고 이 연합에는 애플, 델 등 미국의 거대 IT 기업 외에 한국 SK하이닉스가 참여했다. 여기에는 도시바도 약 3500억엔을 재출자했는데 지난 3월 지주회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의 장기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종합 부동산회사인 미쓰비시지쇼(三菱地所)가 50년 만기 사채를 발행한다. 50년 만기는 그동안 최장기 채권이던 일본 국채의 40년을 넘는 일본에서 발행된 보통 회사채 중 만기가 가장 긴 채권이다. 세계적으로 금리가 다시 내림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수익이 조금이라도 더 높은 투자처를 찾으려는 투자가들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다. 3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에 따르면 미쓰비시지쇼는 100억 엔~150억 엔(약 1천억 원~1천5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50년만기 회사채를 발행해 조달할 방침이다. 금리는 기관투자가의 동향 등을 보아가면서 4월 중순 결정할 예정이지만 1% 전후가 될 공산이 크다.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2016년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한 이래 일본 기업 회사채의 만기는 계속 길어져 2018년 발행된 사채는 평균 9.5년으로 2013년에 비해 3년이나 길어졌다. 마이너스 금리가 도입된 후 JR니시니혼(西日本)과 JR히가시니혼(東日本)이 40년물 회사채를 발행한 적이 있지만 반세기에 이르는 장기채권 발행은 처음이다. 각국의 극단적인 금융완화정책이 초장기…
[KJtimes=권찬숙 기자]중국의 한 역사 기록 및 문물 수집가가 일제가 홍콩에서 생화학 실험 연구소를 운영했다고 주장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를 공개했다고 3일 관영 글로벌타임스가 전했다. 중국 랴오닝성에 거주하는 항일전쟁(1931~1945) 유적 수집가 장광성씨는 최근 글로벌타임스 인터뷰에서 2011년 일본 도쿄의 한 고서점에서 '홍콩 세균 연구소'라고 적힌 문건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장씨는 이 문건들은 고서점 주인이 세균연구소 소장인 주네지로 나리타의 후손에게서 확보한 것으로, 문건이 진짜임을 증명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씨는 화학부서와 세균부서 등이 적혀있는 연구소 조직도를 공개했다. 또 공개 문건에는 1944년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홍콩위생실험소 세균부 업무분담표' 문건, 시신 신원확인 및 화학실험 기록 관련 자료, 소속 군인들이 나온 사진 등도 있다. 이와 관련 선양(瀋陽) 문물감정전문가 위원회 추이쥔궈 위원은 문건 작성 시기는 종이의 질, 본문 내용과 서명 등을 평가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추이 위원은 또 대중에게는 1942년 일본군이 홍콩을 점령한 뒤 홍콩 사람들을 광둥성 광저우(廣州) 인근에 있던 생화학전 연구시설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정부가 ‘개인정보 이용정지권’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개인정보 이용정지권’은 개인이 기업에 자신에 관한 정보 이용을 정지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이는 기업이 인터넷 서비스나 광고, 금융 등 개인정보를 분석해 비즈니스에 활용하는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데 대한 대응책이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 공개절차도 기존 서면공개 원칙을 바꿔 메일 등 디지털 형식으로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정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곧 발표할 예정인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논의항목에 이런 내용을 집어넣었으며 정부는 내년에 법을 개정한다는 계획으로 개인이 데이터 이용방법을 통제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춰 기업의 부적절한 개인정보 남용을 막기 위함이라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현행법에서는 기업이 데이터를 부정한 방법으로 취득했거나 본래 목적 외에 사용한 경우에만 이용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하지만 위원회가 검토 중인 ‘이용정지권’의 경우 개인의 의사로 데이터를 어떻게 이용할지 지시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남용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자체 보유한 하이브리드차량(HV) 관련 기술의 특허사용권을 경쟁업체 등이 무상 사용토록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3일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도요타는 세계적인 연비 규제 강화 추세 속에 이르면 올해부터 자사의 HV 관련 기술 특허권을 무상 개방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렇게 하면 관련 부품 수요가 늘고 결과적으로 HV 차량 제작 비용이 낮아져 주요 부품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EV)의 경쟁력 강화로도 이어져 자사에 유리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도요타가 현재 보유한 HV 관련 유효 특허 수는 약 2만개에 달한다. 도요타는 현재 무상사용을 허가할 특허권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닛케이는 전동화에 관련된 모터 및 전력변환 장치, 배터리 관련 기술 등 HV 차량의 기본 성능을 좌우하는 최신 기술이 대부분 포함될 것으로 예상했다. HV 시스템 제조 노하우와 양산 기술도 경쟁업체들이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하는 쪽으로 검토 중이다. 도요타의 이런 움직임에 대해 연비 개선을 서두르는 중국 자동차업체의 관심이 높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현재 자동차 제조업계는 업체별로 판매한 전 차량의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