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ING생명 인수 유력

단독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가능성↑

[KJtimes=김필주 기자]KB금융지주가 시장 매물로 나온 ING생명 인수에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다. 우리금융에 민영화 참여보다는 ING생명 인수·합병(M&A)에 주력하는 분위기다.

 

KB금융지주가 국내 5위권 생명보험사인 ING생명 한국법인 인수전에 단독으로 참여해 새 주인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26일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ING그룹은 지난 16ING생명 한국법인 매각을 위한 본입찰을 마감했다. 이번 입찰에는 KB금융만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전에 관여한 관계자는 “ING생명 한국법인 본입찰에 AIA생명과 KB금융지주가 참여했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KB금융지주만 응찰한 것으로 안다면서 매각 협상이 순조로워 이변이 없는 한 KB금융지주가 우선협상대상자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ING생명 한국법인의 예상 인수가격은 35000억원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KB금융지주는 약 3조원을 써낸 것으로 알려졌으며 ING그룹이 한국법인에서 배당금으로 2000억원 정도 가져간 것을 고려하면 액수 차가 크지 않아 협상이 순조롭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협상에는 ING그룹이 보유한 KB생명 지분을 KB금융지주가 사는 내용도 포함됐다.

 

생보업계 하위권인 KB생명은 KB금융지주가 지분 51%, ING그룹이 49%를 보유하고 있다. KB금융지주는 ING그룹의 보유 지분에도 우선매수청구권이 있다. KB금융지주가 ING생명 한국법인을 인수하면 KB생명의 ING그룹 지분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ING생명 한국법인은 2011회계연도 수입보험료가 41000억원, 자산은 21조원으로 업계 5위권이다.

 

KB금융지주가 KB생명까지 합치면 삼성생명, 대한생명, 교보생명에 이어 4’로 급부상할 수 있다.

 

KB금융지주가 새 주인이 되면 방카슈랑스 등 다양한 분야의 영업을 강화돼 2~3년 안에 대한생명과 교보생명마저 제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KB금융지주는 대형 은행과 카드에 이어 보험까지 갖춘 삼각 편대를 구축함으로써 금융자산 운용도 한층 원활해질 수 있다.

 

그러나 ING생명 한국법인 노동조합이 이달 말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해 우선협상대상자 발표 시기가 내달 중순 이후로 미뤄질 수도 있다.

 

ING생명 한국법인 노조는 새 주인이 고용안정만 보장한다면 인수 작업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태도이다.

 

KB금융지주는 은행 계열인데다 보험에는 인프라가 미흡하므로 ING생명 한국법인 직원의 고용을 최대한 보장할 가능성이 크다.

 

한편 대한생명이 뛰어든 ING생명 동남아법인 인수전은 안개 국면을 맞고 있다. 태국, 홍콩, 말레이시아 법인을 매각하는 본입찰에는 대한생명, 매뉴라이프 등이 참여했는데 인수 희망가격이 비슷해 최종 단계까지 지켜봐야 하기 때문이다.

 

대한생명 관계자는 “ING생명 동남아법인을 사들여 동남아 생명보험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의지가 확고하기 때문에 인수에 진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