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しっこし営業"コストコに市民団体が怒った!

市民団体,2週に一回でヤンピョン店の前で集会開催の予告

[kjtimes=キム・ボムネ記者] "しっこし営業"しているコストコに対する市民反発強まっている。市民団体が集団行動乗り出していること。
 
経済民主化国民本部3日、コストコのヤンピョン店の前で2週間に1集会することにしたと明らかにした経済民主化国民本部参与連帯、民主労総民主社会のための弁護士の会など国内520余の団体構成されている。
 
これらの市民団体がこのように行動に移したのは義務休業日無視して休日営業強行するコストコ営業形態に起因する。これにより、コストコ利益追求没頭して零細商人の保護無視しているという非難受けている。

コストコまた営業制限撤回してほしいという大型マート訴訟参加していなくても、自治体公文書送って、先月9日と23日の休日営業強行して論議包まれたりした。
 
国民の本部のある関係者"経済民主化の議論がこのように激しい状況これ見よがし法規破ることは黙過できない"としながら"営業制限再度受け付けるまで集会続けるだろう"と強弁した。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