企業70%"育児休職・出産休暇の強化負担"

[kjtimes=キム・ボムネ記者] 国内企業10社のうち7社は、育児休職、出産休暇など強化する傾向負担感じることが分かった

8日、大韓商工会議所よると、最近大・中小企業308対象にアンケート調査した結果、72.4"仕事と家庭の両立制度"企業経営負担に作用すると答えた。

育児休職73.1負担最も大きく、家族ケア休職69.8育児期の勤労時間短縮58.1、産前・の休暇53.9など順だった。配偶者の出産休暇負担感じる企業36.4と比較的低かった。

仕事と家庭の両立制度の強化副作用人材不足深刻化41.9まず指摘され、女性労働者の雇用を避ける22.4代替人材採用など人件費の増加17.2人事管理難しさ10.7なども言及された。

少子化問題原因は子供の教育·養育費の負担64.5最も多く挙げられた。

大韓商工会議所関係者、"女性労働力の活用のために仕事と家庭の両立制度定着させていくことは望ましい方向"としながらも"内外の経済環境が厳しい状況で、突然規制強化するより漸進的な変化が必要だ"と話した。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