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결혼’, 26일 충무아트홀 소극장 블루 공연 돌입

 

[KJtimes=유병철 기자] 충무아트홀은 오는 426일부터 62일까지 충무아트홀 소극장 블루에서 뮤지컬 결혼을 무대에 올린다.

 

뮤지컬 결혼은 아무것도 가진 게 없는 남자가 결혼하기 위해 벌이는 소동극으로 결혼이라는 과정을 빌려 인생의 철학적 의미와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작품이다.

 

뮤지컬 결혼의 출연진은 단 세 명뿐이다. 남자, 여자 그리고 이 둘의 어처구니없는 맞선의 자리를 지켜보고 있는 미지의 집행자. 실컷 맘대로 살다가 외로워지니까 결혼이라도 하고 싶다는 이 남자와 결혼정보회사를 통해서라도 능력 있다는 그 남자와 결혼해 볼까 하는 이 여자. 이 둘의 안쓰러운 모습은 어쩌면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의 자화상이다.

 

연극, 영화, 방송을 넘나들며 종횡무진 활약해 온 배우이자 최근에는 정치가로 활발한 활동을 펼쳤던 최종원이 다시 무대로 돌아와 남자와 여자의 맞선자리를 지켜보고 있는 미지의 집행자인 집사 역할로 분한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무대로 복귀해 활발한 활동을 예고하고 있는 최종원은 당초 한두 회 특별출연으로 함께할 계획이었으나 뮤지컬 결혼의 대본을 읽고 이 작품은 50대 이상의 관객들이 봐야 더욱 감동적일 것이다며 본격적인 출연을 결심했다. 결혼하고 싶은 젊은 남녀의 만남이 펼쳐지는 가운데 특유의 무게감으로 극의 중심을 잡아줄 예정이다.

 

결혼하기 위해 모든 것을 빌려 결국 진심으로 여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는 남자 역에 탤런트 출신으로 최근 연극과 뮤지컬 무대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박형준과 영화와 무대를 종횡무진하며 기본기를 탄탄히 다져온 배우 이신성이 출연한다.

 

이밖에 빼어난 노래실력으로 뮤지컬 미스사이공’, ‘캣츠등 대작 뮤지컬에 주로 출연하며 활동한 하지원이 최종원과 함께 집사 역할로 분하고 신인배우 문혜준이 최리와 함께 여자 역을 맡아 작품에 소중한 숨을 불어 넣는다.

 

뮤지컬 결혼은 관객과 함께 만들어가는 뮤지컬이다. 관객의 물건을 빌려 극중 소품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관객과 배우가 합창을 하는 등 단순히 관람하는데 그치는 공연이 아닌 극의 구성원으로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작품이다.

 

특히 관객참여의 하이라이트는 공연의 마지막, 프러포즈 이벤트에서 펼쳐진다. 공연이 끝나고 난 뒤 사전에 신청을 받은 관객의 사연을 배우가 읽어주고 준비된 선물과 이벤트를 통해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주는데 감동은 이 이벤트에서 퍼진다.

 

실제로 연애 혹은 결혼을 하면서 진솔하게 써내려간 리얼 스토리는 진정한 사랑과 삶의 의미를 되새겨보게 하는 뮤지컬 결혼의 메시지와 맞물려 큰 감동을 몰고 온다. 실제로 프러포즈 이벤트는 제2의 공연으로도 불리며 많은 커플 관객의 지지를 얻고 있다. 그 남자와 그 여자만을 위한 결혼 프로포즈 이벤트를 이번 충무아트홀 공연에서는 사연공모를 통해 선정된 커플에게 선사한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