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프로는 달라.日 장기기사 대뇌 움직임 활발

일본장기 프로기사의 뇌를 검사한 결과 아마추어와 달리 대뇌의 특정 부분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이 21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이화학연구소와 후지쓰(富士通) 등의 연구팀이 이같은 연구 결과를 미국 과학지 '사이언스'에 발표할 예정이다.
   이화학연구소 산하 뇌과학종합연구센터의 완샤오훙(万小紅) 연구원 등은 일본 장기 최고수인 하부 요시하루(羽生善治.40) 등 프로기사 28명과 아마추어 유단자 34명에게 장기판 화면을 보게 한 뒤 이들의 뇌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다.
  그 결과 프로기사의 대뇌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두 가지 영역이 있다는 점을 알아냈다. 그 중 한 영역은 두정엽(頭頂葉)의 뒷부분 안쪽에 있는 설전부(楔前部.praecuneus)였고, 다른 하나는 대뇌 기저핵(基底核)에 있는 미상핵(尾狀核)이었다.
  설전부는 장기 수 싸움이 치열한 대국의 초반이나 종반에 장기 반상을 바라볼 때 활발하게 움직였고, 미상핵은 장기 규칙을 이용해서 만든 퍼즐을 1초간 보여준 뒤 2초 안에 4개의 선택지 중 다음 한 수를 골라내는 문제를 풀 때 활발해졌다. 미상핵이 활발하게 움직일 수록 정답률이 높았다.
  설전부는 공간 이미지를 형성할 때, 미상핵은 몸에 기억된 행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이 두가지 영역이 연동해서 움직이며, 프로 기사의 경우 오랜 훈련 덕에 두 영역을 연결하는 신경회로가 발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 리더인 다나카 게이지(田中啓治)씨는 "숙련된 이들의 직관은 천성이 아니라 노력으로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부 요시하루는 중학교 3학년 때인 1985년 12월 프로 기사가 된 뒤 지금까지 36차례 우승했고, 일본 장기의 독보적인 명인(名人)으로 불리고 있다. 연합뉴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