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케이팝 스타’ 윤석(리안) “한국인이라는 자부심 갖고 활동”

(사진 = 윈엔터테인먼트)

 

[KJtimes=유병철 기자] 최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언론이 주목한 한인 가수가 화제다.

 

가수 윤석(싱가포르명 리안)은 한국에서는 좀 생소한 이름이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에서는 모든 언론이 케이팝 스타라 칭할 정도로 톱스타급 인기를 누리고 있다.

 

윤석(리안) 소속사 윈엔터테인먼트 관계자에 따르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의 유력 일간지들과 방송 매체들은 윤석의 공연이나 프로모션 등을 따라 다니며 비중 있게 다뤄 윤석의 인기를 실감케 한다. 1면 장식도 부지기수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유력 일간지들은 케이팝 스타 윤석이 한류를 선도 한다’, ‘한국의 대표하는 가수, 윤석’, ‘윤석의 인기는 최고라는 타이틀로 윤석을 소개하며 높은 관심을 표했다.

 

윈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윤석이 가는 곳이면 항상 많은 팬들이 몰린다. 팬들은 윤석의 젠틀한 성격과 비주얼 등 그의 매력에 사로 잡혔다. 그의 뜨거운 인기를 확인할 수 있다현지 유력 언론 매체들의 취재 경쟁도 치열하다. 윤석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그의 행보에도 큰 관심을 보인다고 전했다.

 

윈엔터테인먼트 관계자에 따르면 열광하는 팬들 때문에 윤석은 항상 경호원들의 호위를 받는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 윤석에 대한 인기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뿐 아니라 주변 국가인 인도네시아 등지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에서 뮤직 프로듀서로 활동했던 윤석은 우연한 기회에 싱가포르로 건너갔다가 가수가 됐다.

 

 

20072월 싱가포르에서 데뷔앨범 더 버스(The Birth)’, 20082함께해요, 2011년 싱글앨범 러브 라이크 디스(LOVE LIKE THIS)’, 2013년 유니버셜 뮤직과 계약을 체결하고 히어 아이 엠(Here I Am)’ 앨범을 발표했다. 싱가포르에서 유니버셜 뮤직과의 계약은 최고를 뜻한다.

 

윤석은 함께 음악을 하던 사람과 싱가포르에 건너갔다가 그 곳에서 데뷔를 하게 됐다. 싱가포르의 음반 시장도 나쁘지 않고 한국에 대한 이미지도 좋아서 활동하기가 어렵지 않다고 전했다.

 

윤석은 이 외에도 유명 패션 브랜드의 패션쇼, 신제품 런칭쇼, 웨딩쇼 등 다수의 행사와 광고 모델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팬들과 함께 하는 한국 여행행사 등 다양한 행사에 참여하며 한국을 알리는데 정성을 쏟고 있다.

 

윤석은 팬 미팅을 할 때에 한국 음식 만들기코너 등을 준비해 한국을 알리고 있다한국인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에서 열심히 활동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석의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윤석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기 대단하네”, “윤석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에서 인기 좋은가 보다”, “윤석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에서 대박나길”, “윤석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에서 인기 대박이다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윤석은 히어 아이 엠(Here I Am)’ 앨범 활동을 통해 팬들을 만나고 있으며 한국 활동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