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굿 닥터’ 주원 문채원 러브 어페어…딸꾹질 러브라인

(사진 = 로고스 필름)

 

[KJtimes=유병철 기자] ‘굿 닥터주원과 문채원이 달달한 어깨 스킨십으로 청량감 넘치는 딸꾹질 러브라인을 이어간다.

 

주원과 문채원은 오는 92일 방송될 KBS2 월화드라마 굿 닥터’ 9회 분에서 맥박수를 급증시키는 오붓한 한밤 데이트를 펼쳐낸다. 차윤서(문채원)가 함께 대화를 나누던 박시온(주원)의 어깨에 머리를 살포시 기대면서 박시온의 딸꾹질이 터지게 되는 것. 순수하면서도 달콤한 두 사람의 러브 어페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 8회 분에서 박시온은 친구 같은 환아인 나인해(김현수)에게 자신이 딸꾹질을 하게 되는 묘한 기분을 설명하며 조언을 구했던 상태. 그리고는 나인해로부터 자신의 딸꾹질이 첫사랑이 왔을 때 느껴지는 일반적인 현상이라는 사실을 듣게 됐다. 지금까지 사랑이라는 감정이 무엇인지, 어떤 기분인지 전혀 인지하고 있지 못했던 박시온으로서는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던 터. 이와 관련 자꾸 터지는 딸꾹질에 당혹감을 드러내는 박시온과 달리, 박시온의 딸꾹질을 걱정스러워하는 차윤서의 모습이 담겨지면서 깨알 웃음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주원과 문채원의 한밤 데이트는 지난 27일 경기도 안성에서 촬영이 이뤄졌다. 메디컬 드라마의 특성상 대부분 촬영을 소아외과 병동 세트장에서 진행해왔던 두 사람은 오랜 만의 야외 촬영에 너무 상쾌하다며 기쁨을 드러냈다. 늦은 밤 촬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에는 기분 좋은 두 사람의 웃음이 흘러 넘쳤다. 두 사람은 2개월 동안 쌓은 쫀쫀한 호흡을 과시하며, 가슴 설렌 스킨십 촬영을 완벽하게 표현해내, 촬영장을 핑크빛으로 물들였다.

 

그런가하면 이날 촬영이 우거진 수풀 근처에서 진행된 탓에 촬영 도중 곤충들로 인한 웃지 못 할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밤 중 크게 울려 퍼지는 곤충들의 소리에 두 사람의 대화 소리가 묻혀버리는가 하면, 심지어 빛을 비추는 조명기구들에 갖가지 곤충들이 달라붙는 바람에 급기야 NG까지 발생했던 것. 스태프들의 발 빠른 조치로 곤충들이 퇴치되면서 촬영을 이어갈 수 있었다는 후문이다.

 

제작사 로고스필름 측은 이번 장면은 딸꾹질이 어떤 의미인지를 알게 된 주원이 문채원을 향한 사랑의 감정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두 사람은 극중에서 뿐만 아니라 촬영장 곳곳에서도 밝은 웃음으로 에너지를 발산, 촬영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보고만 있어도 힐링하게 만드는 두 사람의 독특한 딸꾹질 러브라인이 어떻게 완성될 지 지켜봐 달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8회 방송에서는 곽도원이 주상욱과 천호진에게 강도 높은 커넥션을 제의해 호기심을 증폭시켰다. 곽도원은 주상욱을 따로 불러내 전 장사꾼 출신입니다. 가능성 없는 일은 절대 쳐다보지 않아요라며 소아외과를 최고의 과로 만들고 싶다는 의뭉스런 제안을 던졌던 상황. 하지만 곽도원의 제안서를 본 천호진은 이번 주 안으로 조용히 병원에서 나가주세요라며 불같이 화를 냈다. 곽도원이 제의한 커넥션은 무엇인지, 주상욱과 천호진은 앞으로 어떤 방법으로 대처하게 될 지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