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북 전화·휴대폰 차단...중동민주화운동 확산 우려

北朝鮮が電話遮断、民主化拡散に戦々恐々

アフリカや中東中心民主化運動相次米政府系放送局のラジオ自由アジア(RFA)は25北朝鮮情報流入ぐため各家庭電話帯電話回線するようだとえた。

 

同放送局両江道恵山市学生として、北朝鮮アフリカや中東住民暴動相次いで発生し、転覆していることがわっているとことをえた。これらをけて、当局電話いでいるもようだ。

 

咸鏡北道・会寧消息筋は「当局帯電話はもちろん、ある一部党幹部いては電話当分電話する方針だ」とした。

 

同消息筋はまた、などを規制するきはていないものの市場のあちこちに監視員配置されているという。

 

ほかにのキャンパスの保安指導員増員された。前出恵山市学生は、「通常は1保安指導員が4になった。ほかに特別指導員配置され、寄宿様子などを監視している」とす。

 

消息筋は、監視をかいくぐってしずつ海外民主化運動様子わっているという。ただ、住民発覚した過酷れて、まとまって行動こすまでにはっていないという

 

kjtimes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

 

한국어 번역

 

북한 주민들에게도 이집트와 리비아 등지의 민주화 소식이 속속 전해져 당국이 집전화와 휴대전화를 차단하고 감시를 강화했다고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 25일 전했다.

 

RFA는 양강도 혜산시의 대학생을 인용해 "아프리카와 중동의 나라에서 연쇄적인 주민폭동이 일어나 정권이 뒤집히고 있다는 소식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함경북도 회령시의 소식통도 "(당국이) 휴대전화를 차단한 것은 물론이고 간부들을 제외한 일반인들의 집전화도 당분간 차단한다는 방침"이라고 RFA에 말했다.

 

이 소식통은 "장사를 막거나 물건을 압수하는 일은 없지만 장마당(시장)에 보안원(경찰)과 경무관(헌병)이 쫙 깔렸다"고 전했다.

 

혜산시 대학생도 "대학마다 한 명씩이던 보위지도원을 4명으로 늘리고, 대학담당 보안원들도 새로 배치해 기숙사 등에서의 활동을 일일이 감시하고 있다" RFA에 말했다.

 

기숙사 점검은 그동안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해왔으나 이제는 보위지도원과 보안원도 참가해 학생들의 동태를 파악한다는 것이다.

 

RFA는 평양에 있는 친척과 집전화 혹은 휴대전화로 통화할 수 있는 주민을 통해 이집트 등지의 민주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소식통들은 주민을 묶을 구심점이 없고 발각땐 가혹한 연좌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민주화 시위가 북한에서 당장 확산될 가능성은 없다고 봤다고 RFA는 전했다.

 

작년 탈북한 군 출신 주민이 양강도 주민과 통화해 송영선 미래희망연대 의원실에 전한 내용에 따르면 양강도에서는 전화가 차단될 뿐 아니라 보안당국에서 TV 리모컨과 셋톱박스도 압수하고 있다.

 

수신이 가능한 중국방송으로 중동 등지의 소식이 전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당국에서 채널을 북한방송에 고정하고 이같이 조치했다는 것이다.

 

kjtimes뉴스팀/news@kjtimes.com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사라진 엄마들의 돈’…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편집자주] 지난 2017년 6월 유아용 매트를 사용하던 아이가 잔기침을 하고 두드러기가 생겼다는 글이 인터넷 맘카페를 통해 확산되면서 대한민국 엄마들의 공분을 샀던 일이 있었다. 바로 ‘보니코리아의 아웃라스트 사태(이하 보니 사태)’다. 당시 한국기술표준원(www.kats.go.kr)은 유해성 논란이 불거지자 ‘리콜’을 권고했다. 하지만 보니코리아 홍성우 대표는 ‘재고 소진 후 환불하겠다’는 대응을 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유해성 의혹을 받고 있는 제품을 끝까지 팔아치우려는 비양심적 기업이라는 비난이 들불처럼 번진 탓이다. 결국 소비자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이에 홍 대표는 ‘제품의 환불 및 리콜과 관련해 법적 절차에 따라 모두 처리할테니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홍 대표의 사과 이후 4년째, 기회를 달라던 홍 대표와 그의 환불 약속은 세월과 함께 종적을 감췄다. <kjtimes>는 월매출 수십억원을 올리며 급성장하던 회사가 보니 사태 직후 선량한 소비자들을 왜 피해자 상태로 방치하게 됐는지,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그리고 종적을 감췄던 홍성우 전 대표와 최근 혜성처럼 나타난 유아용품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