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북한에 코카콜라와 KFC 들어선다

韓国,北朝鮮にコカ・コーラとケンタッキーが進出、平壌に工場建設

韓国の複数のメディアは14日、対北朝鮮消息筋の話を引用し、米国の飲料大手コカ・コーラとファストフードチェーンのケンタッキー・フライドチキン(KFC)が、北朝鮮側と平壌支店開設に合意し、9月か10月にも開設させる見通しだと伝えた。

コカ・コーラとKFCの関係者約10人は7月5日から9日にかけ、北朝鮮の外資誘致会社である「朝鮮大豊国際投資グループ」の招待で訪朝し、平壌1号店を開設することで最終合意した。今後、コカ・コーラ工場を平壌や南浦に新築する予定という。

北朝鮮は、3月からKFCの平壌支店開設に関心を寄せていたと見られている。米議会調査局のディック・ネント博士は今回の合意に先がけ、米政府による対外宣伝放送「ボイス・オブ・アメリカ」(VOA)で、「3月末に米国を訪れた北朝鮮経済代表団が、KFCで昼食をとりながら北朝鮮に支店開設が可能かどうか関心をみせた」と話していた。

 現在、平壌にあるファーストフード店は、2009年にシンガポール企業と北朝鮮当局が契約を結びオープンさせた「三台星清涼飲料店」があるのみ。同店では、ハンバーガーを「牛ひき肉とパン」、ワッフルを「焼きパンチヂミ」と北朝鮮式の名で呼んでいるという。

 韓国メディアは、北朝鮮が「三台星清涼飲料店」に次ぎ「資本主義の象徴」と言われるコカ・コーラとKFCを受け入れることは、積極的な文化解放意思の表れとの見方を示した。

 

 

한국 복수의 언론은 14일 대북 소식통을 인용해 코카콜라와 KFC관계자 10여명이 지난 5~9일 북한의 외자유치 전담기구인 대풍그룹의 초청으로 북한을 방문해 평양 1호점을 개설하기로 최종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지점 개설은 오는 9월이나 10월쯤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북한은 지난 3월부터 평양에 KFC지점 등을 개설하는 문제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미 의회 산하 연구기관인 의회조사국의 딕 낸토 박사는 미국의 소리(VOA)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3월 말 미국을 방문했던 북한경제대표단이 KFC에서 점심을 먹으면서 북한에 KFC지점을 개설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현재, 평양에 있는 패스트 푸드점은, 2009년에 싱가포르 기업과 북한 당국이 계약을 맺어 오픈시킨 ‘3대별청량 음료’이 있을 뿐. 이 푸드에서는, 햄버거를 ‘우다진고기와 빵’, 와플을 ‘구이 판치지미’라고 북한식의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고 한다.

한국 미디어는, 북한이 ‘3대별청량 음료점’에 뒤이어 ‘자본주의의 상징’이라고 여기는 코카·콜라와 KFC를 받아 들이는 것은, 적극적인 문화 해방 의사의 표현이라는 견해를 나타낸 것이라 전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