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예술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를 나온 뒤 미국 유학길에 올라 로드아일랜드 스쿨오브디자인에서 공부했다. 학업을 마친 뒤 1996년 웨스틴 조선호텔 마케팅담당 상무보로 입사해 신세계그룹에서의 첫 발을 내디뎠다.
이후 프로젝트 실장 상무를 맡으며 실무 감각을 익혔다. 어머니 이명희 회장의 해외 출장길에 수시로 동행하며 조용히 경영 수업을 받아왔다.
남편은 문청 KBS보도본부장의 아들 문성욱 신세계인터내셔날 부사장으로 글로벌패션1본부장을 맡고 있다. 둘은 초등학교 동창으로 연애 결혼에 성공해 두 딸을 뒀다.
오빠인 정용진 부회장이 재혼하기 전까지 두 자녀의 엄마 역할을 도맡아 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SNS를 즐겨하는 정 부회장이 2007년 고마움을 표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2009년 신세계 부사장 자리에 오르면서 백화점 사업에 뛰어들어 조선호텔, 신세계 본점 식품관, 이마트 자주(JAJU, 구 자연주의) 등을 리뉴얼 했다. 특히 조선호텔 리뉴얼 당시 객실 인테리어는 물론 세세한 소품까지 전반적인 디자인 작업에 직접 개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범삼성가의 고종사촌지간인 이서현 삼성물산패션부문 사장과는 피할 수 없는 라이벌 관계에 있다. 두 사장은 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이다. 고등학교 졸업 이후 서로 다른 대학에 진학했지만 똑같이 패션과 디자인을 전공해 자연스럽게 같은 패션 사업 분야에서 맞붙게 됐다.
이들은 단 이틀 차이로 각 그룹 내 패션부문 사령탑에 오르며 새로운 경쟁구도를 형성했다. 이서현 사장이 삼성물산 패션부문 사장으로 취임한 것이 2015년 12월 1일, 정유경 사장은 이틀 뒤인 3일 백화점부문 총괄사장으로 승진했다. 정 사장은 당시 승진으로 백화점 부문과 면세점 사업을 총괄하게 됐다.
지난 4월 그동안 보유하고 있던 이마트 지분과 오빠인 정용진 부회장이 보유한 신세계 지분을 맞교환해 본격적인 남매간 분리 경영에 나섰다.
정 사장은 분리경영 이후 실적개선에서 일부 성과를 보이며 최악의 점수는 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 실적만 놓고 보면 성공적이지만, 면세점에서 적자 폭이 커지면서 반쪽짜리 성공이라는 업계의 평가를 받고 있다.
신세계백화점 2016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1조 8325억원) 대비 13% 증가한 2조714억원을 기록했지만, 누적 영업이익은 146억원으로 전년 동기(159억원) 대비 다소 감소했고, 당기순이익도 올해 330억 원으로 전년 동기(365억원) 대비 줄었다.
매출은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이 감소된 것에 대해 신세계그룹은 백화점 부문에 주요 사업이 집중돼 있던 신세계가 면세점 사업 영역으로 확장하면서 일부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 일부에서는 시내 면세점 경쟁 심화에 따른 수수료율 상승과 판촉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영업 적자 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정 사장의 경영 실적에 대한 평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는 얘기다.
정 총괄사장은 신세계백화점의 VIP고객 서비스를 개편 및 강화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특히 미국 삭스핍스애비뉴, 영국 헤롯 백화점과, 프랑스 봉마르쉐 백화점 등 해외 고급백화점과 협약을 맺고, 동일한 VIP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했다.
이 같은 결정은 올해 증축과 출점이 이어진 신세계백화점에서 확장된 영업면적에 걸맞는 성과를 내기 위해 매출기여도가 높은 VIP고객을 사로잡아야한다는 정 사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 총괄사장은 대규모 백화점 확장 프로젝트를 통해 현대백화점을 제치고 업계 2위로 거듭나겠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정 총괄사장이 책임경영을 시작한 뒤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신세계 계열사 가운데 가장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주로 해외유명 패션브랜드의 판권을 들여와 판매하던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최근 여성복 브랜드 ‘V라운지’와 남성복 브랜드인 ‘맨온더분(MAN ON THE BOON)’ 등을 선보이며 자체브랜드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다.
자체 생활용품브랜드인 ‘자주(JAJU)'는 매출 2013년 1600억원, 2014년 1750억원, 2015년 1900억원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2020년까지 매출 5000억 원을 달성하겠다는 자체 목표를 세웠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을 통해 화장품 제조사업에도 뛰어들었다. 지난해 말 이탈리아 화장품 제조사인 인터코스와 50대50 합작법인을 설립했고, 현재 경기 오산 가장산업단지에 생산공장과 연구·개발(R&D) 센터를 짓고 있다. 이르면 내년 1월 첫 화장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 사장의 화장품에 대한 애정은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을 통해 꾸준히 패션사업을 확장해온 것도 패션·뷰티사업 자신감을 키운 배경으로 꼽힌다. 그는 성장성이 높은 화장품사업에서 자리를 잡는 것이 회사의 성장 발판을 다지는 데 중요하다는 얘기를 평소 직원들에게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2년 신세계인터내셔날의 비디비치코스메틱 인수를 주도하는 등 화장품 사업에 열의를 나타냈으나 비디비치코스메틱은 적자를 거듭하다 결국 흡수합병했다. 2014년에는 바이레도와 라 페르바를, 지난해엔 산타 마리아 노벨라를 잇따라 인수했다.
최근 면세점사업의 성공을 가늠하는 요소 가운데 하나인 3대 명품 중 루이비통 입점에 성공해 능력을 증명했다. 지난 4월 방한한 베르나르 아르노 LVMH그룹 회장을 직접 면담하는 등 루이비통 유치에 큰 공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기본정보
생년월일: 1972년 10월 5일
직업: 기업인
직함: 신세계그룹 백화점부문 총괄사장
======================================================================
가족정보
관계 | 이름 | 생년월일 | 비고 |
외조부 | 이병철 | 1910년 2월 12일 | 삼성그룹 창업주 |
외조모 | 박두을 | 1907년 |
|
부 | 정재은 | 1938년 3월 15일 | 신세계 명예회장 |
모 | 이명희 | 1943년 9월 5일 | 신세계그룹 회장 |
오빠 | 정용진 | 1968년 9월 19일 | 신세계그룹 부회장 |
배우자 | 문성욱 | 1972년 | 신세계인터내셔날 부사장 |
장녀 | 문서윤 | 2002년 |
|
차녀 | 문서진 | 2003년 |
|
======================================================================
학력정보
서울예술고등학교 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 학사
로드아일랜드 스쿨오브디자인 그래픽디자인
======================================================================
경력정보
조선호텔 마케팅담당 상무보(1996년)
조선호텔 프로젝트실장 상무(2003년)
신세계 부사장(2009년)
신세계그룹 백화점부문 총괄사장(2015년)
======================================================================
지분정보
㈜신세계 96만7853주(9.83%)
㈜신세계인터내셔날 3만964주(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