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별뉴스

일본내 조선왕조별장 '560억'매물

'이토히로부미'가 황태자 '이은'에 양도한 별장

일본 카나가와현 오오이소에 위치한 조선왕조의 별장으로서 사용된 소로우카쿠 40억엔(약560억원)대의 가격에 매물로 나온 것으로 본지 취재결과 확인됐다.

 

판매 관계자에 따르면 소로우카쿠는 오오이소촌에서도 이토히로부미가 별장으로 사용된 특별한 문화재이기 때문에 매수를 시도했지만 현재 소유자와 가격 차이가 있어 포기한 상태다라고 말했다.

 

또한 현제 소유자는 40억엔의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중국측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라며 그러나 소유자는 조선왕조의 별장인 만큼 한국측에서 구매를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소로우카쿠는 이토히로부미가 본택으로 사용한 것이며 이토히로부미가 사후 조선왕조 마지막 황태자인 이은에게 양도되었다. 이 별장은 이토히로부미에 의하여 이은 황태자가 강제로 일본 유학길에 올라 생활한 장소이며, 1920년 일본 황실의 내선일체정책에 따라 일본왕족 나시모토 미야[梨本宮(이본궁)]의 딸인 마사코[方子(방자)]와 결혼한 장소이기도 한다.

 

 

소로우카쿠2차대전 이후 일시적으로 미군이 접수한 후 1946년 당시의 일본 정치가에게 양도됐다. 이루 1951년에 일본 철도회사인 세이브철도그룹에게 매각되어 오오이소 프린스호텔 별관에서 현재 개인의 소유물이다.

 

소로우카쿠는 이토히로부미 및 구 조선왕조별장으로서 조선왕조소유 당시의 상태로 복원할 것을 전제 조건으로, 오오이소조의 유형문화재 지정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유구찌리키/kriki@kjtimes.com

 

 

 

 

 

 

日本語訳

 

日本の神奈川県大磯町に位置する朝鮮の李王家の別邸として使われた「滄浪閣」が40億円の売値で市場に出ている事が8日、KJTimesの取材で明らかになった。

 

売買関係者によれば、「滄浪閣は、大磯町の方でも伊藤博文のゆかり地でもあるがために、買取に走ったが、現在の所有者との価格に開きがあり断念した」と語っている。

 

さらに、「現在の所有者は40億円での売りに出しており、中国のバイヤーが興味を示している」と述べ、「しかし、所有者は李王家の別邸でもあるがため、ぜひとも韓国の方が買手になってもらえれば」と語った。

 

「滄浪閣」は伊藤博文が本宅として利用していたもので、伊藤博文の死後、李王家李垠皇太子に譲られた。この「滄浪閣」は、伊藤博文が留学の名目で日本での人質生活を送った場所でもある。1916年、李垠殿下と梨本宮方子王女のご婚約が発表され、大正9年にご成婚。滄浪閣は、1923年の関東大震災で倒壊したが、直ちに再建された。

 

滄浪閣は第二次大戦後、一時米軍に接収された後、1946年に当時の日本の政治家に譲渡。さらに1951年に西武鉄道グループに売却され大磯プリンスホテルの別館となり、現在は個人の所有となっている。

 

滄浪閣は「伊藤博文邸跡、旧李王家別宅」として李王家所有時の状態に復元する事を前提に、大磯町の有形文化財指定を受けることが決定している状態だ。

 

湯口力/kriki@kjtimes.com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