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와 분석

[현장+]LG디스플레이 정호영 사장의 고민…2021년에는 ‘부활할까’

LCD 감산 후 OLED 주력 계획…매출 비중 ‘줄고’ 세계점유율도 ‘급락’
개척한 Automotive시장, 가격 우위 내세운 후발주자 추격을 물리쳐야

[KJtimes=견재수 기자]최근 LG디스플레이가 지난 2018년 적자로 돌아선 지 2년여 만인 20203분기에 흑자로 전환되면서 시장과 증권사들이 2021년에 대한 긍정적 전망(영업이익 1조원대)을 내고 있는 추세다. LG디스플레이의 최대주주는 LG전자로 37.90%(2021118일 기준)를 보유중이다.


업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의 사업구조는 TV(LCD+OLED) Automotive(차량용) IT(노트북·태블릿·모니터) 모바일 커머셜(비디오월, 엘리베이터, 자판기, 전자칠판, 가게용 카운터화면 등)5개 부문으로 나뉘며 각 분야별로 장밋빛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드러나지 않은 부정적 요인을 지적하며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야심찬 시장 선도 계획결과는 ‘?’


사실상 LG디스플레이의 계획은 지난 2017년부터 중국·대만이 한국의 업체를 추월하기 시작한 LCD에 대해 감산과 일부 라인을 IT용으로 전용하고 이로 인한 빈틈을 기술격차가 큰 OLED로 대체해 2020년에 OLED 매출 비중을 40%로 늘리는 등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계획은 이뤄내지 못했다. LG디스플레이의 전체 매출 중 TV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1분기 36%에서 2분기 41%로 늘어났다가 3분기에는 32%, 4분기에는 28%로 줄어들었다. 이듬해인 20202분기에는 23%로 급락했다가 3분기 28%로 다소 증가세를 나타냈다.


특히 눈길을 끄는 대목은 세계시장 점유율이다. 201828.3%에서 2019년에는 28.1%로 소폭 감소했으나 20203분기 21.4%로 급락했다. 또한 TV용 패널의 경우 2019년 상반기 2295만장으로 글로벌 2위를 차지했던 것이 2020년 상반기 1179만장을 기록하며 글로벌 6위로 순위가 내려갔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를 해석하면 경쟁력이 떨어진 LCD TV용 패널 매출이 감소하고 그 빈자리를 OLED가 적기에 메워주지 못하다가 코로나사태로 인한 생활형태 변화로 TV 등의 매출이 늘고 20201210일 대만의 지진과 일본 NEG의 공장 정전사태 등의 반사효과로 실적이 반전했다고 하지만 세계시장 점유율은 추락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사실 LG디스플레이가 2021년에 반등하기 위해서는 OLED TV용 패널의 실적이 대폭 개선돼야 한다. 하지만 걸림돌이 있다. 생산은 중국 광저우공장(55인치 기준 월 6만장 규모 가동)과 경기 파주공장(55인치 기준 월 7만장)이 커버해도 실제 OLED TV 제조사들의 판매가 늘어야 하는 상황이 그것이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시장은 OLED를 주력으로 하는 LG2021 미니LED 출시를 추진 중인 삼성+중국+대만+애플 연합세력의 대결구도로 전개될 예상된다“LG는 기술적 우위와 색감표현성에 강점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미니LED무게+두께+절전성능(30%)+가격등의 강점을 내세워 LG디스플레이의 주도권을 공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런가 하면 AutomotiveIT에 대한 LG디스플레이의 기상도도 그리 좋지는 못한 상황이다. 일례로 LG디스플레이가 개척한 시장인 Automotive의 경우 20201분기에 글로벌 점유율 18%(11만대)1위를 차지하면서 오는 2025년에 460만대를 팔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물론 개척자로서의 이 회사의 위상은 인정해야 한다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18%대 글로벌 점유율로 1위라는 것은 그만큼 시장이 치열하다는 것이고 가격 우위를 내세운 대만과 중국 등 후발주자들의 추격을 물리쳐야 하는 입장에 놓여 있는 만큼 계획의 실현성 여부에는 반신반의(半信半疑)하는 분위기가 강하다.

 

IT는 선방, 모바일 패널시장 확장은 어려울 듯

 

노트북과 태블릿, 모니터 등을 아우르는 IT에 대한 LG디스플레이의 글로벌 점유율을 보면 해를 거듭할수록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노트북 및 태블릿의 경우 201828.8%이었던 것이 2019년에는 27.2%, 20203분기에는 21.9%로 줄었다. 모니터의 경우에도 201830.7%이었으나 2019년과 20203분기 각각 27.5%24.5%를 나타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LG디스플레이 내 매출비중(연도별/분기별 매출)은 거의 비슷하게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노트북과 태블릿의 매출비중은 22%(20191분기)22%(20192분기)20%(20194분기)20%(20201분기)29%(20202분기)를 기록했다. 또 모니터의 경우 17%(20191분기)18%(20192분기)18%(20193분기)16%(20194분기)17%(20201분기)23%(20202분기)를 기록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LG디스플레이의 노트북+태블릿+모니터의 연도별 매출은 2018년에는 ‘3000만대+2500만대+3600만대, 2019년에는 ‘2900만대+2320만대+3480만대를 기록했다코로나19 반사효과가 반영된 20202분기를 제외하면 연도별·분기별 매출은 거의 비슷하게 나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문제는 글로벌시장 점유율은 갈수록 하락 중인 것이라면서 “LCD라인 일부를 고가 IT용으로 전용하겠다는 구조조정 초기의 계획이 성사될 수 있을지 아직은 미지수라고 보는 것이 맞다고 진단했다.


LG디스플레이 모바일 부문의 매출 비중은 다소 파도를 타는 듯한 형국을 나타냈다. 20191분기 25%이었던 것이 20192분기에는 19%로 크게 줄었다가 20193분기와 4분기 각각 28%36%를 기록하면서 회복세를 나타냈다. 그리고 20201분기에는 32%, 2분기에는 25%, 3분기에는 29%를 기록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LG디스플레이 모바일 부문의 매출 비중을 늘리기 위한 변수는 아이폰 납품 실적이다. 이 회사는 2019500만대의 아이폰을 납품했다. 2020년에는 1800만대를 납품했으나 아이폰12 발매 지연으로 상당부분 2021년으로 이연된 상태다. 반면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 20204분기에 12435만대의 아이폰을 납품하며 글로벌시장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LG디스플레이가 모바일용 패널 분야에서 더 이상의 확장이 쉽지 않아 보인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특히 회사측에서는 20213500~4000만대의 아이폰 납품을 기대하고 있으나 시장에서는 LG측의 기대치가 다소 과한 측면이 있다는 지적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지적의 이유는 두 가지로 집약되고 있다. 하나는 2021년 기대치의 경우 애플의 협력업체 정책이 한 회사에 오더를 몰아주지 않으며 LG가 납품하는 것은 아이폰12 4개 모델 중 하나(6.1인치 아이폰12 맥스)에 불과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애플 외 나머지 시장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장악한 상태라는 것이다.


기사회생의 행운 또 따를까

 

한편 LG디스플레이는 과거 중국과 대만의 추격으로 시장이 공급과잉으로 변하던 시점마다 행운이 따랐다. 수차례 대만의 지진으로 기사회생을 했다. 실제 대만에서는 20061229일과 201035, 2013329, 201826일에 지진이 일어났다.


20201210일에도 진도 6.7의 강진이 대만에 일어나 일부 LCD라인의 중단을 미루며 산소 호흡기를 단 상황이다. 그러나 2013년과 2018년의 지진은 중국과 대만 세력에 맞서 LG디스플레이가 적극적인 대규모 투자를 할 타이밍과 구조조정을 통한 변신(LCDOLED)의 기회를 놓치게 했다.


뿐만 아니다. 2018년 전후로는 당시 비록 적자지만 매출의 90%를 점유하던 LCD 세력과 신규 사업인 OLED 세력의 격렬한 내부 갈등을 불러일으켰다. 이와 관련 업계 일각에서는 이 같은 갈등이 결국 20199월 한상범 부회장의 퇴진(명목상으론 실적부진, 내면적으론 내부갈등 컨트롤 실패)과 정호영 사장의 선임으로 연결됐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현재 정 사장은 ‘2021년 부활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LG디스플레이는 과거 대규모로 이익을 내던 시절에도 경쟁력 유지를 위한 차기년도 투자를 위해 일부 배당과 내부 포상금 외에는 당해년도 이익분에 더해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해 투자자금을 마련하는 사이클이 반복돼 왔다.


때문에 최고 27조원대의 매출(2017) 외에는 사실상 이익 측면에서는 기여한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한 계속된 투자와 자금조달은 20202분기에 차입금 134000억원, 금융비용 3500억원이라는 슬픈 재무구조를 보이게 된 원인으로 작용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 여파와 대만 지진 등은 20211분기까지는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며 하지만 중국 춘절이 지나면 수요도 꺾일 것이라는 예측이 있는 만큼 LG디스플레이는 결국 LCD를 대폭 축소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OLED 분야가 후발주자와 미니LED 등 경쟁자들의 분투 등으로 인해 치열한 경쟁 상황이 예상보다 조기에 올 가능성도 있다면서 특히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각 회사에 수율은 나중에 내더라도 우선 생산량을 맞춰 시장에서 한국과 대만과 경쟁하라는 정책을 펴고 있는 만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코로나라이프] "꽃집 찾아 삼만리"...사라져가는 꽃집, 꽃주문은 온라인으로
[KJtime김지아 기자]경기도 용인에 거주하는 49세 전모씨는 최근 어버이날을 맞아 돌아가신 아버지 산소를 찾았다. 가족들과 산소를 향해 가면서 인근에서 꽃집을 찾았지만 발견할 수가 없었다.1시간을 돌아다닌 끝에 발견한 꽃집. 하지만 이 꽃집은 터무니 없이 비싼 가격으로 꽃을 팔고 있었다.선택의 여지가 없던 전씨는 비석에 붙여 놓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작은 카네이션 꽃을 구매했다. 너무비싸다는 느낌이 들어도 참고 구매한 이유는 근처에서 발견한 유일한 꽃집이었기 때문.하지만 비석에 붙인 카네이션 꽃은 1분도 안돼 바람에 떨어졌고 무용지물이 됐다. 5월에는 어버이날, 스승의 날, 성년의 날, 로즈데이 등 꽃 선물이 많았던 시즌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으로 꽃 선물 및 꽃 배송이 활발히 이뤄졌다. 5월 1일부터 22일 선물하기로 판매된 꽃 거래액은 지난달 동기 대비 30% 늘었다. 5월의 일 평균 거래액 역시 평소 대비 83% 많았다. 특히 오프라인으로 꽃을 구매하기 보다 온라인을 통한 구매가 월등하게 많아졌다. 쇼핑몰을 통한 꽃거래가 활발해진 까닭에 대해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여파로 진단하고 있다. 화훼업계 한 전문가는 "긴 코로나19

[현장+] 포스코건설, 광주 더샵 오포센트리체 ‘붕괴사고’ 쉬쉬(?)… HDC 붕괴사고 얼마나 지났다고
[kjtimes=견재수 기자] 포스코건설의 아파트 시공 현장(경기도 광주 더샵 오포센트리체)에서 작업 도중 천장이 내려앉는 붕괴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지난 1월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아이파크(HDC현대산업개발) 붕괴사고의 충격이 채 가시지도 않은 상황에서 발생한 터라 더샵 오포센트리체 입주예정자들의 불안감은 좀처럼 가시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해당 사고 현장을 취재한 언론사들의 기사가 삭제되고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어 일각에서는 포스코건설이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사고를 은폐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6일 <본지> 취재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 20일 포스코건설이 시공 중인 경기도 광주시 오포 고산1지구 C2블록 ‘더샵 오포센트리체’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지하2층 천장이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아파트 209동의 지하2층 슬라브 콘크리트 양생 작업 중 하중을 견디지 못한 거푸집이 휘면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행히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최고 25층까지 올라가는 아파트의 지하 천장이 내려앉은 사고라는 점에서 입주예정자들의 불안감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

[탄소중립+] “韓, 산림 바이오매스 지위도 전면 재검토해야”
[KJtimes=정소영 기자]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적받아온 바이오매스 발전에 유럽연합(EU)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25일 비영리단체인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지난 17일(현지시간) 유럽 의회 환경·보건·식량안전위원회(환경위원회)는 재생에너지지침(RED II) 개정안에서 산림 바이오매스의 사용을 제한하는 권고를 채택했다. 국내 산림 바이오매스 정책과 방향이 유럽의 기준을 참고해온 것을 고려하면 국내 바이오매스 인식과 정책에도 반영돼야 한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다. 기후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개정 권고로 기존 RED II의 지속가능성 기준에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바이오매스’ 정의가 추가되고 이것의 사용을 제한한다”고 말했다. 1차 바이오매스는 벌채로 숲에서 직접 수확한 원목 등의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도 유사하게 정부 지원 아래 ‘미이용 바이오매스’라는 이름으로 공공연히 산림이 벌채되고 있다. 이번 권고 내용을 보면 ▲1차 바이오매스는 EU 회원국의 재생에너지 목표에 포함될 수 없다 ▲재생에너지지침에 따른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 목재만 바이오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