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68%, 코로나19 발병으로 무기력증 겪어… 절반 이상 생활고”

[KJtimes=김봄내 기자]전세계적인 전염병으로 2년여의 고립된 생활은 취업 준비생들에게 가장 큰 위기로 찾아왔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구직자 1,528명에게 코로나19 이후 무기력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인 68%어떤 시도를 해도 상황을 바꿀 수 없을 것 같은 무기력증에 시달린다고 답했다.

 

무기력증이 취업 활동에 영향을 미친 점 1위로는 취업 의지가 점점 사라짐’(55.3%, 복수응답)이었다. 이어 적극적인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음’(44.6%), ‘자신감 결여로 입사지원 빈도수가 적어짐’(43.5%), ‘장기간 집안에만 은둔하고 있음’(39.3%), ‘하고 싶은 직무나, 목표 기업이 없어짐’(29.3%) 등 사회적 고립의 위험이 높은 영향들이 다수였다.

 

무기력증을 겪는다는 응답자 중에 취업포기를 한 이들도 5명 중 1(18.9%) 꼴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62.6%는 현재 수입이 없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해 경제 전반이 얼어붙으면서, 구직활동을 하면서 아르바이트 등을 통한 고정 수입을 얻었던 연결고리 조차 어려워진 것이다. 실제 구직자의 63.3%는 현재 구직활동을 하면서 생활고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무기력증을 겪고 있지만, 그래도 대다수는(86.3%) 취업 활동 자체는 꾸준히 이어갔다. 채용 공고 검색 및 서류지원 등을 포함해 구직활동을 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2.5시간이었다.

 

최근 구직활동을 하면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채용 공고가 줄어들어 지원 기회가 적어짐’(57.5%, 복수응답)이었다. 계속해서 취업 경쟁이 더 심화됨’(46.1%), ‘알바 등 일상 생활비를 얻을 수 있는 수익 활동 할 수 없음’(36.9%),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채용 취소’(29.4%) 등이 있었다.

 

장기적으로 취포자(취업포기자)를 야기 시키는 무기력증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정책 및 인식변화’(58.1%)가 개인의 노력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있었다.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최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안전장치 마련’(55.1%, 복수응답)이었다. 뒤이어 신입지원자의 능력을 사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취업제도 지원’(49.7%)을 꼽아 최근 수시채용이 확장되면서 경력직 우선 고용 분위기도 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코로나 라이프]코로나 이후 매출 5배 동네식당 "독특한 영업방식이 통했다"
[KJtime김지아 기자] 최근 2-3년 사이, 우리 주변에서는 코로나 때문에 매출이 줄어 폐업하는 사례를 흔히 볼수 있었다.가슴 아픈 일이지만 '폐업'과 '임대'라는 글자를 건물마다 자주 보였다.거리두기, 영업시간 제한, 코로나 방역과 예방을 위한 '백신패스' 제도 등이 이유다. 초창기 코로나 확진자가 출입한 매장을 임시 폐쇄하고 소독하자, 인터넷에서 가게 이름이 공개돼 손님들이 모두 기피하는 식당으로 낙인찍히기도 했다. 이런 일련의 일들로 작지 않게 피해를 입은 가게들이 상당히 많았다. 보증금과월세를 내며 간간히 영업을 해오던 작은 가게들은 결국 이런 상황을 이겨내지 못했다. 하지만 '매출이 급등한 식당'도 있다. 기자가 찾아간경기도 한 부대찌개 음식점은 코로나 이후 매출이 5배 이상 늘었다. 주방을 포함해 35평 남짓한 가게에는 테이블이 22개. 15년째 부부가 운영하는 이 식당은 코로나19가 창궐하자마자, 조카였던 가게 직원을 비롯해 홀담당 4명을 그만두게 했다. A씨(사장, 남편)는 "아내가 호흡기가 약해요. 코로나 걸리면 절대로 안된다고 생각했죠. 그래서 우리 둘이서 작게 장사 하려고 했죠. 먹고 살만큼만 벌면 된다고요. 코로나 걸리면 위험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