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에너지&공존] 골칫거리 가축분뇨, 신재생에너지파크로 변신···온실가스 감축 등 기대

농식품부, 공공형 통합 바이오에너지화시설 첫 사업대상자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선정


[KJtimes=정소영 기자] 농촌 지역에서 처리가 곤란한 유기성 폐자원을 통합 처리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시설온실 등에서 이용하는 그린에너지파크의 조성이 추진되고 있어 주목된다.


11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올해 처음 도입하는 공공형 통합바이오에너지화시설(이하 공공형 에너지화시설) 사업의 첫 사업대상자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이하 JDC)를 선정했다”며 “2024년까지 3년간 국비 21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공형 에너지화시설 사업은 지자체·공공기관이 주도해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해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한편, 그동안 가축분뇨 에너지화 확대에 걸림돌로 제기된 지역주민 수용성 확보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하는 공공주도의 사업이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주민 반대로 인해 공동자원화시설(가축분뇨처리시설) 34개소 사업을 포기해 왔다.


농식품부는 지자체 및 공공기관 등 정책대상자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 등을 통한 사전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지난해 10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개월여 동안 공모를 진행했고, 사업신청 2개 기관(전북 김제시, JDC)에 대해 축산환경 분야 외부 전문심사단을 구성해 심사(서면·현장·발표평가)를 실시해 최종 사업대상자를 선정했다. 


심사에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사업 예정 부지확보 노력 및 주민동의 절차 추진상황 등 연내 사업추진 가능성 부분에서 JDC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며 “지역주민과의 소통과 다양한 상생 방안 강구 노력 등 주민 수용성 확보와 사회적 가치 제고 측면에서 사업 취지에 매우 부합된다”고 전했다.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인 JDC는 그간 해당 사업추진을 위해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내 ’그린에너지파크조성사업(총사업비 823억원)‘을 반영해 공공형 에너지화시설 추진 근거를 마련하고,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JDC-제주도-제주농업인단체협의회)하는 등 꾸준히 준비하고 노력해 왔다.


농식품부는 “해당 사업이 완료되면 JDC 그린에너지파크에서는 연간 약 7만4000톤의 가축분뇨와 도축부산 폐기물 등 유기성 폐자원을 처리해 1800가구(4인 기준)가 연간 사용할 수 있는 4972Mw의 전기가 생산된다”며 “이를 통해 화석연료인 원유 4767배럴을 대체할 수 있고, 연간 온실가스 2460톤(CO2eq)을 감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이어 “전기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발전 폐열과 하루 20톤의 고체연료는 마을기업이 운영하는 스마트팜과 주민 편의시설 등에 공급돼 지역주민들의 생산비 절감은 물론 지역민의 마을 일자리 창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농업생산지구 등을 운영함으로써 기피시설로 인식되는 가축분뇨 관련 에너지화 시설을 관광 자원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주도 관계자는 “공공주도로 추진하는 해당 사업에 대해 인근 마을주민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된다”며 “바이오가스를 생산 및 활용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저감 및 화석연료 대체, 자원순환시설 운영에 따른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 등 연간 약 83억8000만 원의 추가적인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농식품부 관계자는 “전주 혁신도시와 새만금에 인접한 전북 김제시에서도 공공형 통합바이오에너지화시설의 유치를 위해 부지 선정과 주민공청회 등을 추진하고 있어 이르면 금년도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향후 정부는 공공형 가축분뇨 에너지화시설을 2030년까지 10개소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 박범수 축산정책국장은 “주민 상생을 위한 공공주도의 첫 번째 사업인 만큼 재정적·기술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향후 성공적 모델로 안착시켜 지역의 애물단지가 아닌 관광명소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면서 “지역민과 환경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위해 앞으로도 공공주도의 가축분뇨 에너지화시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현대모비스, 국세청과 ‘힘겨루기’…2차전 돌입했나(?)
[KJtime견재수 기자]현대모비스(사장 조성환)가 국세청 세무조사를 받고있는 가운데 내부 핵심 자료를 고의로 은폐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지난 2017년 진행된 세무조사 당시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는 추가 의혹까지 있어 회사 측의 편법 대응 관련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2일 직장인 익명 게시판 블라인드와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 그리고 언론보도에 따르면 최근 서울지방국세청이 현대모비스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현대모비스 측이 사내 주요 업무시스템을 고의로 안 보이게 했다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직장인 익명 게시판에는 ‘얼마 전부터 회사인트라넷에 있는 프로그램 메뉴들 링크 여러 개 없애버렸는데 이게 세무조사 때문이더라고? 이게 무슨 연관이 있는거지? 조사 좀 제대로 해줘’라는 글이 올라왔다. 이어 국세청 직원으로 예상되는 닉네임 ‘국세청‧!i!i!i!’는 “사라진 메뉴 이름이라도 좀 알려줘 봐. 어느 팀이 조사하고 있는지 찾아서 전해줄게ㅋㅋ”라는 글을 달았고, ’현대모비스‧ㅎ‘은 “투자관리시스템, 계약관리시스템 일단 이거 2개 기억난다”라고 답을 했다. 그러자 ’국세청‧!!!!!!!‘는 “조사팀이라면 꼭 보고 싶은

[新에너지&공존] 골칫거리 가축분뇨, 신재생에너지파크로 변신···온실가스 감축 등 기대
[KJtimes=정소영 기자] 농촌 지역에서 처리가 곤란한 유기성 폐자원을 통합 처리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시설온실 등에서 이용하는 그린에너지파크의 조성이 추진되고 있어 주목된다. 11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올해 처음 도입하는 공공형 통합바이오에너지화시설(이하 공공형 에너지화시설) 사업의 첫 사업대상자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이하 JDC)를 선정했다”며 “2024년까지 3년간 국비 21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공형 에너지화시설 사업은 지자체·공공기관이 주도해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해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한편, 그동안 가축분뇨 에너지화 확대에 걸림돌로 제기된 지역주민 수용성 확보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하는 공공주도의 사업이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주민 반대로 인해 공동자원화시설(가축분뇨처리시설) 34개소 사업을 포기해 왔다. 농식품부는 지자체 및 공공기관 등 정책대상자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 등을 통한 사전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지난해 10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개월여 동안 공모를 진행했고, 사업신청 2개 기관(전북 김제시, JDC)에 대해 축산환경 분야

[위기의 꿀벌 생태계] ‘양봉산업 발전·생태계 보전’ 밀원수를 지켜라!
[KJtimes=정소영 기자] 최근 이상기후가 일상화되면서 양봉산업의 원천인 밀원수가 점차 줄어들면서 꿀벌 생태계가 위협을 받고 있는 가운데올겨울에 폐사한 꿀벌이 78억마리에 이른다는 정부 당국의 발표 이후국가 양봉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생태계 보전을 위해 밀원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 이하 농진청)은 국립산림과학원, 괴산군, 한국양봉협회, 한국양봉학회, 한국한봉협회, 한국양봉농협 등 민·관이 함께 지난 7일 충북 괴산 꿀벌랜드에서 밀원수 심기 행사를 진행했다. 밀원수는 꿀벌이 꿀과 화분을 수집하는 나무로, 양봉농가에는 중요한 소득원이자 산림의 가치를 높이는 우수 자원이기도 하다. 농진청은 2017년 충북 진천을 시작으로 2018년 전북 진안, 2019년 전남 장흥, 2020년 경북 상주지역을 비롯해 지난해 전북 부안 위도꿀벌격리육종장에 총 1만여 그루의 밀원수를 심었다. 이날 심은 밀원수는 꿀벌이 꿀과 화분을 잘 수집하고 괴산 지역에 적합한 우수 밀원수인 아까시나무, 때죽나무, 쉬나무, 오갈피 등 7종 3500여 그루다. 농촌진흥청, 국립산림과학원, 한국양봉협회, 한국양봉농협에서 나무를 마련했으며, 식재 장소는 괴산군에서 제공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