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생태 스토리

산림벌채 고위험 상품 공급망 리스크 부상...해외 '제도 정비' 한국 '무방비'[산림벌채의 민낯④]

기후솔루션 등 환경단체 “정부, 산림벌채 고위험 상품 공급망 리스크 높이는데 기여”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기업이 공급망 전체에 대해 환경 인권 실사 이행 요구 법안 채택



[KJtimes=정소영 기자목재칩·목재펠릿·팜유 등 산림벌채 고위험 상품의 공급망에 만연한 환경·인권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에서는 제도를 정비하고 있지만, 한국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제도가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익법센터 어필·사단법인 기후솔루션·환경운동연합 등 환경시민단체가 발표한 ‘대한민국, 산림벌채를 수입하다’란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18년 합법목재 교역제도가 도입됐지만, 규제 대상이 목재로 한정돼 있고 원산국의 적법성 판단에 오롯이 의존할 수밖에 없어 신뢰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보고서는 “오히려 정부는 기업이 해외에서 농업과 산림 자원을 개발할 때 산림을 파괴하고, 인권을 침해할 때도 지원해 산림벌채 고위험 상품 공급망 내 리스크를 높이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며 “기업이 인권 존중 책임을 이행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인 공급망 실사 법안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역외에서 발생한 환경·인권 침해의 피해자들이 사법적, 비사법적 구제책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동안 해외에서는 불법 벌채 목재의 수입금지 조치와 자발적인 선언, 인증 제도를 통해 공급망에서의 산림벌채 문제에 대응을 해왔다. 그러나 원산국 합법 인증에 대한 낮은 신뢰도, 산업계 주도의 선언과 인증제의 한계 탓에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새로운 법안들이 마련되고 있다. 


영국과 유럽연합(EU), 미국 등에서 새롭게 마련되고 있는 법안은 목재 외의 농산물까지 산림벌채 고위험 상품으로 규제하도록 그 범위를 폭넓게 확장하고, 단순 문서 제출이나 인증제도로 실사를 대체하지 않고,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검토·조치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특히 EU 법안은 원산국에서의 적법성 여부만을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 원산국에서 ‘합법적’인 행위라도 산림벌채를 야기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실사를 요구하고 있다.


미국 법안은 불법 산림벌채 문제에 더해 토착민과 지역 공동체의 자유의사에 의한 사전인지동의(FPIC) 등까지 폭넓게 인권을 고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유럽을 중심으로 산림벌채 고위험 상품에 대한 공급망 실사 의무 외에도 기업의 활동 전반에 있어서 공급망 의무 실사를 요구하는 법이 제정되고 있다.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특정 규모 이상의 기업이 공급망 전체에 대해 환경 인권 실사를 이행할 것을 요구하는 법안이 채택됐다. EU는 특정 규모 이상의 기업의 가치 사슬 전반에서의 환경·인권에 대한 잠재적, 실제적 부정적 영향에 대한 실사를 이행하도록 하고 있다.


보고서는 “그러나 한국에서는 현재 범지구적인 ‘산림벌채’를 막기 위해 시행 중인 제도로 합법목재 교역제도가 있으나 여러 면에서 한계가 있다”며 “사회적으로 ESG(환경·사회·거버넌스) 열풍이 불고 있는 듯하지만, 실제로 기업이 ESG 등 비재무적인 사항을 고려해서 사업을 하도록 규제하는 법은 전혀 마련되지 않고 있다”고 했다.




◇ “정부, 농식품산업 해외산림자원개발 환경·인권 고려해야”


한국은 목재와 목재 제품을 거래하는 국가들에서 불법 벌채된 목재 및 이러한 목재를 사용한 목재 제품의 교역을 금지하게 되자 ‘합법목재 교역촉진제도’를 도입, 2018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목재와 목재 제품을 수입할 때 목재가 생산국의 법률에 따라 합법적으로 생산됐으므로 입증하는 서류를 통관 과정에서 제출해야 한다. 제출된 서류는 한국임업진흥원에서 검증해 적합하다고 판단될 때만 수입 신고 확인증이 발급돼 세관 통관이 진행된다.


보고서는 “그러나 합법목재 교역제도는 앞서 해외 제도가 가진 한계를 그대로 갖고 있는데 원산국에서 벌채 기준이 일반적으로 산림벌채로 여기고 있는 활동도 합법적인 벌채로 인정하는 경우나 정부의 행정력의 부족으로 불법 벌채 규제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실제로 합법 벌채 목재가 아님에도 합법 벌채로 인정을 받을 수 있다”며 “또 원산국의 서류 발급 과정에서 문서 위조가 발생해도 식별해낼 방법이 없어 한계가 있다”고 짚었다. 


이어 “범지구적인 산림벌채가 다양한 농산물의 생산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합법목재 교역제도는 오직 목재만을 규제하고 있으며 산림벌채와 밀접하게 연관된 다양한 환경과 인권 리스크가 아닌 단순히 ‘불법 벌채’만을 규제하고 있어 산림벌채에 대응하기에 충분한 제도라 보기 어렵다”며 “단순한 현 제도는 적법성 판단을 위해 문서 제출만을 요구하고 있는데 해외 입법사례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실사와는 거리가 멀다”고 했다. 


‘해외농업·산림자원 개발 협력법’의 문제도 지적됐다.




보고서는 “정부는 ‘해외농업·산림자원 개발협력법’에 따라 농식품산업 해외 진출 사업과 해외 산림자원 개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며 “이는 해외 진출 인력양성, 투자환경조사 등을 위한 보조금과 해외 진출기업에 대한 융자 제공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농식품부에서는 2020년까지 14개국에 진출한 41개 기업에 총 1845억원을 융자로 제공했고, 산림청에서는 2020년까지 18개국에 진출한 33개 기업에 총 2169억원을 융자 지원했다”고 전했다.


또 “이 가운데 바이오에너지 원료 확보를 명목으로 인도네시아에 진출해 팜유 농장을 운영하는 한국 기업들은 산림벌채와 인권침해를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며 “특히 포스코 인터내셔널은 인도네시아 파푸아 주에서 사업을 하며 2012년부터 2017년까지 2만6500 ha에 달하는 산림을 파괴하고 토착민들의 권리를 침해한 것으로 비판을 받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포스코 인터내셔널의 인도네시아 자회사에 약 430억원을 지원했다”고 했다.




아울러 “대상 주식회사는 서부 칼리만탄섬에서 팜유 농장을 운영하며 이탄지를 훼손하고 토지 분쟁을 일으켰으나 정부는 대상 주식회사의 인도네시아 자회사에 약 69억원을 지원했다”며 “한국 정부는 농식품산업 해외진출 사업과 해외산림자원개발 사업을 지원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환경과 인권 리스크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산림벌채, 이탄지 훼손으로 환경 훼손과 지역 주민들의 인권 침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국제인증을 획득한 기업들에서도 여전히 산림벌채와 인권침해가 만연하기 때문에 국제인증 획득을 통한 환경과 인권 리스크에 대응은 한계가 분명하다”면서 “팜유 사업 외에도 다양한 사업에서 환경과 인권 리스크가 발생하고 있어 환경 및 인권 실사를 위해서는 단순히 특정 사업을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사 기준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석준 의원, 선거사무원 수당 현실화법 국회 본회의 통과
[kjtimes=견재수 기자] 홍석준 의원(국민의힘, 대구 달서구갑)이 대표발의한 선거사무원 등에 대한 수당을 상향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대안에 반영돼 지난 1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를 통과한 개정안은 선거사무장 등에게 지급되는 수당을 현행의 두 배로 일괄 인상하도록 하고, 후보자의 선거운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선거사무관계자 수당 인상액만큼 선거비용제한액을 함께 늘리도록 했다. 현행 지급되는 수당과 실비의 수준은 ‘공직선거관리규칙’이 제정된 1994년 이래 인상되지 않고 28년째 동결돼 1994년에 책정된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로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에 홍 의원은 선거사무장·선거연락소장·선거사무원·활동보조인 및 회계책임자에 대한 수당을 「최저임금법」에 따라 고시되는 최저임금액 이상으로 정하도록 하고, 휴일의 수당은 평일보다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해 선거사무원 등의 열악한 처우를 개선하고자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대표발의 하기도 했다.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선거사무원의 경우 현행 3만원에서 6만원,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 및 지방선거의 선거사무장, 연락

[코로나 라이프] "정부지원금이 보험료 내주진 않아..." 해지율 높고, 유지율 낮아져
[KJtime김지아 기자] 서울에 거주하는 박모씨는 15년째 PC방을 운영해 오다 코로나19가 사그러지지 않으면서 결국 폐업했다. 박씨가 폐업후 가장 먼저 한 것이 바로 보험해지였다. 박씨는 너무 오래 보험료를 납입했던 상품을 그대로 뒀지만, 최근 5년 사이에 가입했던 화재보험, 치과보험 등 3가지 상품을 해지했다. 생활비도 빠듯한데 언제 생길지 모를 위험을 대비해 보험료를 계속 낼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박씨는 "형편이 나아지고 다시 일상생활로 돌아가 제기에 성공한다면 그때 다시 보험가입을 생각해 보겠다고 담당 FC에게 말했다"고 전했다. ◆'슬픈 해지' '미안한 해약환급금' 보험업계도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았다. 우선 '비대면' 영업이 주를 이루면서 다양한 모습이 만들어졌다. 가장 큰 특징은 비대면 계약이 많아졌다는 것. 보험사 직원들도매일 출근해 새로운 상품이 출시됐을 경우 일정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았다면, 이제는 온라인 교육으로 대체됐다.분기별로 연수원에서 진행하던 교육도 잠정중단된지 벌써 3년이 넘었다. 수원시에서 20년간 FC로 활동하고 있는 B씨는 이같은 비대면 영업 방식에 대해 "비대면으로 문화가 바뀌면서 처음에 고객관리가 너무 어려웠다. 고

산림벌채 고위험 상품 공급망 리스크 부상...해외 '제도 정비' 한국 '무방비'[산림벌채의 민낯④]
[KJtimes=정소영 기자]목재칩·목재펠릿·팜유 등 산림벌채 고위험 상품의 공급망에 만연한 환경·인권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에서는 제도를 정비하고 있지만, 한국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제도가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익법센터 어필·사단법인 기후솔루션·환경운동연합 등 환경시민단체가 발표한 ‘대한민국, 산림벌채를 수입하다’란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18년 합법목재 교역제도가 도입됐지만, 규제 대상이 목재로 한정돼 있고 원산국의 적법성 판단에 오롯이 의존할 수밖에 없어 신뢰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보고서는 “오히려 정부는 기업이 해외에서 농업과 산림 자원을 개발할 때 산림을 파괴하고, 인권을 침해할 때도 지원해 산림벌채 고위험 상품 공급망 내 리스크를 높이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며 “기업이 인권 존중 책임을 이행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인 공급망 실사 법안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역외에서 발생한 환경·인권 침해의 피해자들이 사법적, 비사법적 구제책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동안 해외에서는 불법 벌채 목재의 수입금지 조치와 자발적인 선언, 인증 제도를 통해 공급망에서의 산림벌채 문제에



[마켓뉴스]‘아모레퍼시픽·한화솔루션·제일기획’…매수 찬스(?)
[KJtimes=김봄내 기자]증권사들이 아모레퍼시픽[090430]과 한화솔루션[009830], 제일기획[030000] 등 종목에 대해 눈길을 주고 있다. KB증권과 SK증권, 한화투자증권 등 증권사들이 대표적이다. 증권사들은 이들 종목이 새로운 문을 열 기회를 맞이할지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29일 KB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의 목표주가를 22만원으로 10% 상향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가 장기화됨에 따라 단기 실적 가시성은 낮아진 상황이지만 봉쇄는 언젠가 종료될 이슈이고 기업의 펀더멘털 훼손 요인에 해당되지 않으며 중장기 관점에서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은 여전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KB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2분기 실적을 보수적으로 추정하나 하반기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은 유지하며 올해 상반기에 중국 이니스프리 점포에 대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이뤄지면서 고정비 절감 효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3분기부터는 중국 법인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성장세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했다. 같은 날, SK증권은 한화솔루션에 대한 목표주가를 4만3000원으로, 투자의견으로는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에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