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제네시스 ‘2026 GV70’ 출시...5318만원 부터

[KJtimes=김봄내 기자]제네시스 브랜드(이하 제네시스)가 럭셔리 중형 SUV GV70의 연식 변경 모델 ‘2026 GV70’20일 출시했다.

 

2026 GV70은 고객 의견을 반영해 기본 NVH 성능을 강화하고 패키지 구성을 최적화한 것이 특징이다.

 

제네시스는 2026 GV70언더커버 흡음재를 더하고 2.5 터보 모델에는 엔진 진동 전달을 줄여주는 엔진 서포트 댐퍼를 추가해 NVH 성능을 끌어 올렸다.

 

또한 제네시스는 2026 GV70에 고객의 선호도를 반영해 패키지 구성을 변경했다.

 

제네시스는 기존 GV70 가솔린 2.5 터보 19인치 휠 모델 스포츠 패키지에 포함했던 전자식 차동제한 장치(e-LSD)를 선택 사양으로 변경해 고객 선택의 폭을 넓혔다.

 

또 스포츠 패키지의 몰딩부 소재와 색상을 제네시스 블랙 라인업과 동일하게 변경하고 스탠다드 디자인의 시트에 천연 가죽 적용 범위를 확대했으며, ‘스포츠 디자인 셀렉션 II’옵시디언 블랙/바닐라 베이지 투톤조합에 그레이 스티치를 더한 신규 실내 색상을 추가하는 등 디자인 고급스러움을 높였다.

 

이와 함께 제네시스는 파퓰러 패키지 I’헤드업 디스플레이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I’파퓰러 패키지 II’를 파퓰러 패키지 I,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II’, ‘2열 컴포트 패키지’, ‘빌트인 캠 패키지로 구성을 변경했다.

 

아울러 기존 컨비니언스 패키지앞좌석 콘솔 암레스트 수납함 자외선 살균기능을 삭제하고 기존 ‘2열 컴포트 패키지에 러기지 매트, 러기지 스크린, 러기지 네트, 뒷좌석 220V 파워아웃렛을 추가해 패키지 구성을 최적화했다.

 

제네시스는 2026 GV70에 고급스럽고 역동적인 디자인을 강조한 신규 외장 색상 베링 블루를 추가했다.

 

이 외에도 2026 GV70 후면부에 제네시스(GENESIS) 레터링을 단독으로 적용해 깔끔하고 모던한 디자인을 구현했으며, 측면부에는 주행 시 엠블럼을 수평 상태로 유지해 주는 플로팅 휠 캡제네시스 액세서리로 새롭게 운영한다.

 

2026 GV70의 판매 가격은 가솔린 2.5 터보 5318만원 가솔린 3.5 터보 5860만원이다(2WD, 개별 소비세 3.5% 기준).

 

한편, 제네시스는 2026 GV70 출시를 기념해 1027()까지 계약한 고객 중 추첨을 통해 클라우스메켈레 &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공연 티켓(10), LG아트센터 서울 공연 관람 기프트카드 50만원권(10)을 증정한다.

 

제네시스는 이번 연식 변경을 통해 고급스럽고 트렌디한 취향의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GV70의 상품성을 다듬었다며, 기본 상품성을 끌어올리고 고객이 원하는 사양으로 차량을 조합할 수 있도록 패키지를 재구성해 고객에게 더욱 만족스러운 이동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금융센터 "美中 보호무역 장기화 시 글로벌 경제 '구조적 충격' 불가피"
[KJtimes=정소영 기자]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 ‘미-중 간 보호무역주의 장기화 시의 글로벌 경제 영향’을통해 미·중 간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장기화할 경우 글로벌 경제 전반에 걸쳐 구조적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최근 고위급 회담에서 관세 유예에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 전략적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국제금융센터는 보고서에서 “단기적 관세 동결에도 불구하고 보조금 지급, 우회 수출 차단 등 주요 이슈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향후 고관세 부활 및 통상 정책 변경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진단하며, 이에 따라 각국은 중장기 전략 마련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망 재편, 글로벌 비용 증가 불러 보고서는 특히 미·중 양국이 자국 중심의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을 강화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비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외국인직접투자(FDI) 및 물류 재배치, 상이한 기술·표준 충족에 필요한 추가 비용이 누적되면서 총비용이 증가하고, 이는 전 세계 기업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같은 공급망 변화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