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서민규 기자] 국내 주식형 펀드가 밀물을 만났다. 4거래일째 돈이 들어온 것. 한국금융투자협회는 지난 9일 상장지수 펀드(ETF)를 제외한 국내 주식형 펀드로 507억 원이 유입돼 4거래일 연속 순유입 지속 상황이라고 11일 밝혔다. 지난 9일 국내외 악재로 연일 하락한 코스피가 7거래일 만에 반등해 1,920선을 회복했다. 당시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05포인트(0.11%) 오른 1,920.74로 장을 마쳤다. 반면에 해외 주식형 펀드에서는 99억 원이 이탈해 9거래일 동안 순유출이 지속됐다.
[kjtimes=서민규 기자] 안철수 후보(서울 노원병, 무소속)의 테마주들이 상승세를 구가하고 있다. 11일 4ㆍ24 재보궐 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데 따른 것. 11일 코스닥 오전장에서 다믈멀티미디어는 가격 제한폭까지 오른 5980원에 거래됐다. 안랩은 3.86% 올랐다. 솔고바이오와 오픈베이스는 6.50%와 8.95%씩 상승했다. 유가증권 시장에선 써니전자가 6.86% 상승했다. 미래산업과 우성사료가 각각 5.00%, 5.30% 올랐다. 안 후보는 이날 오전 6시30분 출근인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돌입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 대형 건설주(株)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GS건설의 실적 쇼크 여파로 분석된다. 11일 유가증권 오전장에서 현대건설은 전 거래일보다 6.80% 내린 5만7600원에 거래됐다. 대우건설은 3.29%, 대림산업은 9.88% 내렸다. GS건설은 하한가까지 추락했다. 건설 부문이 있는 삼성물산도 2.74% 내린 6만4천원에 거래되고 있다. GS건설의 해외사업 손실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역시 해외사업 비중이 높은 대형 건설주들의 실적에도 의문이 제기돼 이 같은 하락세를 불렀다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kjtimes=서민규 기자] 신충식 NH농협은행장은 10일 경남 창원의 진북 산업단지 내 선박 메가 블럭 제조업체인 ㈜건화를 방문, 생산 현장을 둘러보고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현장 마케팅에 나섰다. 이어 신 행장은 경남 지역 대표 중소기업 CEO(최고경영자) 9명을 비롯해 안병규 경남지방중소기업청장, 최충경 창원상공회의소 회장, 이영춘 이노비즈협회 경남지회장 등 재계 인사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신 행장은 이 자리에서 “농협은행은 올해를 중소기업과 동반성장하기 위한 중소기업 지원의 해로 설정했다”며 “기업 현장의 고충 사항을 적극 반영해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kjtimes=서민규 기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태양광 관련주를 춤추게 하고 있다. 지난 8일(현지시간) 홍콩 현지 언론은 버핏이 소유한 에너지 회사인 미드아메리칸에너지홀딩스가 파산보호신청 절차를 밟는 중국 태양광기업 선텍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10일 유가증권 오전장에서 신성솔라에너지는 가격 제한폭까지 오른 1175원에 거래됐다. 웅진에너지와 한화케미칼은 각각 5.20%, 2.82% 상승했다. OCI도 3.29% 올랐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오성엘에스티가 9.08% 급등한 3845원, SKC솔믹스는 4.65% 오른 3150원을 나타냈다.
[kjtimes=서민규 기자] 조류 인플루엔자(AI) 관련주가 이틀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에서 신종 AI 감염 환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최근 급등세를 보였던 AI 관련주들이 조정 국면에 들어섰다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10일 코스닥 오전장에서 파루는 전 거래일보다 5.00% 내린 5510원에 거래됐다. 이-글 벳은 전 거래일보다 5.86% 내린 3375원에 거래되고 있다. 제일바이오와 중앙백신은 6.19%와 1.99%씩 하락했다. 대한뉴팜도 1.67% 내린 가격에 거래됐다.
[kjtimes=서민규 기자] 증권주가 일제히 상승세를 구가했다.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국회 정무위원회 법안 소위를 통과한 데 힘입은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유가증권 오전장에서 대우증권은 전날보다 4.27% 오른 1만1천원에 거래됐다. 현대증권(3.27%), 삼성증권(3.33%), 우리투자증권(4.07%)도 올랐다. 한국투자증권이 속한 한국금융지주는 2.38% 상승했다. 전날 국회 정무위원회는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고 IB 활성화와 다자간매매체결회사(ATS)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하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kjtimes=서민규 기자] LG생활건강 주가가 성장 기대에 힘입어 뛰어올랐다. 10일 유가증권 오전장에서 LG생활건강은 전날보다 0.87% 오른 58만1천원에 거래됐다. 메리츠종금증권 송광수 연구원은 이날 “기존 사업의 성장이 탄탄하고 앞으로 인수합병에서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도 있어 장기 성장성을 확보했다”며 6개월 기준 목표주가를 77만원으로 유지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 수산 관련주가 일제히 날아올랐다. 중국에서 조류 인플루엔자(AI) 감염자가 늘어나자 가금류 소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8일 유가증권 오전장에서 동원수산은 직전 거래일보다 9.34% 오른 1만4050원에 거래됐다. 사조오양은 6.48% 상승한 1만350원, CJ씨푸드는 5.48% 오른 3080원을 나타냈다. 이 밖에 사조대림(3.25%), 신라교역(1.43%), 사조산업(0.52%), 동원산업(0.16%) 등 수산 관련주가 일제히 올랐다. 전날 중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신종 H7N9형 AI 감염자 3명이 추가로 확인됐다. 이로써 중국의 신종 AI 감염자 수는 모두 21명으로 늘어났다.
[kjtimes=서민규 기자] 방위산업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북한의 미사일 도발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북한 리스크가 고조되고 있는 데 따른 것. 8일 코스닥 오전장에서 스페코는 전 거래일보다 3.45% 오른 5390원에 거래됐다. 같은 시각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퍼스텍이 1.47%, 휴니드가 1.17% 각각 올랐다. 전날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10일 전후로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같은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 5일 연속 상한가를 치던 천일고속 주가가 제동이 걸렸다. 8일 유가증권 오전장에서 천일고속은 전 거래일보다 5.00% 떨어진 5만7천원에 거래됐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지분을 보유한 천일고속은 신세계 센트럴시티가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주식 38.74%를 인수하면서 수혜 기대주로 떠올라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상한가를 쳤다.
[kjtimes=서민규 기자] 일본의 주택담보대출 전문 금융기관인 SBI모기지가 이틀째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양적완화 정책의 수혜를 받을 것이란 전망이 호재로 작용한 것. 8일 유가증권 오전장에서 SBI모기지는 직전 거래일보다 7.97% 오른 1만3550원에 거래됐다. SBI모기지는지난해 4월 일본 기업 최초로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됐다.
[kjtimes=서민규 기자]KDB산업은행(이하 산업은행)은 7일, 최저 4.29%의 다이렉트 신용대출을 출시해 KDB다이렉트 상품의 팩키지 서비스를 제공한고 밝혔다. 산업은행에 따르면 오는 8일부터 이용할 수 있는 다이렉트 신용대출은 ▲영업점 방문 없이 산업은행 홈페이지에서 신청 ▲무방문·무서류 신속한 대출가능여부 결정 ▲경비절감분을 혜택으로 돌려드리는 낮은 금리 제공 등 세 가지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근로소득자에게 신용으로 낮은 금리의 대출 제공함으로써 가계부채의 구조개선에 기여하는데 초점을 맞췄다”면서 “은행도 KDB다이렉트 상품 패키지화로 주거래 고객화가 가능하고 교차 판매 등으로 신규소매금융고객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한편 산업은행은 지난 3월 21일 HiAccount, Hi정기예금, Hi자유저축, 재형저
[kjtimes=서민규 기자] 일본 도쿄증시의 닛케이 평균주가가 1만3000선을 돌파했다. 4년 8개월 만이다. 5일 일본 도쿄증시 오전장에서 닛케이 평균주가는 전날보다 528.71포인트(4.18%) 급등한 13,163.25를 나타냈다. 이는 일본은행이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과감한 추가 양적완화 정책을 발표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전날 일본은행은 시중 화폐 공급량을 2년 안에 2배로 늘리는 내용을 골자로 한 새로운 금융완화 조치를 발표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 NHN이 1분기 실적 양호 전망에 상승세를 탔다. 5일 유가증권 오전장에서 NHN은 전 거래일보다 0.17% 오른 28만7천원에 거래됐다. 우리투자증권 정재우 연구원은 “NHN의 1분기 매출액이 작년 동기보다 23.1% 늘어난 7050억 원, 영업이익은 21.8% 증가한 2115억 원으로 예상된다”면서 “기존 사업 매출 호조 속에 마케팅 비용이 예상보다 적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