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7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은 CJ대한통운[000120]과 팬오션[02867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HMC투자증권은 CJ대한통운의 목표주가를 종전 21만원에서 23만원으로 올렸다. 그러면서 중국 룽칭(榮慶·ROKIN)물류 인수에 대해 중국 시장 진출로 새 성장 기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CJ대한통운[000120]은 지난 4일 공시를 통해 중국 냉동 물류사인 룽칭 지분 71.4%를 4550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강동진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CJ그룹의 기존 사업과 연계를 통해 중국 시장에서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다”며 “룽칭물류가 강점을 가진 냉장•냉동 물류 부문은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높다”고 판단했다. 같은 날, 신영증권은 하림그룹에 편입된 팬오션의 목표주가를 기존 5800원에서 6200원으로 올렸다. 그러면서 지난 7월 회생 절차 졸업 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신영증권은 팬오션이 하림그룹 편입 후 곡물 사업에 뛰어들었다면서 팬오션의 운송 노하우와 하림그룹의 수요가 결합해 장기적으로 새로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고 기대했다. 엄경아 신영증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3일 ‘실적기대’를 주목하는 종목으로는 고려아연[010130]과 대원제약[003220], 한전기술[05269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KTB투자증권은 고려아연의 아연 설비 증설 등으로 인한 공급과잉 우려는 제한적이며 제2비철단지 완공 후 실적과 재무구조 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했다. 또 아연 공정 합리화 투자효과는 영업이익 기준 약 800억원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KTB투자증권은 영업현금흐름은 내년부터 약 1200억원씩 증가될 것으로 보여 재무구조가 더욱 개선될 것이라며 고려아연의 종전 목표주가 65만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김태현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생산량 증가가 아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고 증설 후 시장점유율 증가 규모가 0.3%포인트에 불과해 판매량 증가에 부담이 없다”며 “글로벌 아연 수요는 연평균 3%씩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7월 누적기준 중국 아연도금강판 생산량도 약 7% 증가하는 등 수요가 견조하다”고 판단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대원제약이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처방 증가와 신제품 출시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손세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원제약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2일 주목하고 있는 종목은 하나금융지주[086790]와 한국항공우주[047810], 롯데칠성[00530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미래에셋증권은 하나금융지주에 대한 투자 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만3000원을 유지했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 KEB하나은행으로 통합되면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다. 강혜승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최근 하나금융지주 주가는 경기 우려와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화 자산 환손실과 은행 합병 비용 부담 등을 이유로 하락했지만 이는 매수 기회로 판단된다”며 “은행 통합은 중장기 관점에서 점차 이익 증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강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조직 효율화, 중복 비용 제거 등을 통해 비용을 효율화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면서 “은행 정보기술(IT) 시스템 통합, 통합 은행 광고·선전비, 임직원 교육비, 점포 간판 및 인테리어 변경 등 비용이 발생해도 올해 순이익은 지난해보다 14.4% 증가하는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한국항공우주의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0만5000원을 제시했다. 올해 사상 최대 수주 실적을 낼 것이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31일 주목하고 있는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현대미포조선[010620]이 눈에 띈다. 이날 하이투자증권은 현대미포조선이 조선업종 내에서 차별적인 주가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 회사의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을 각각 9만원과 ‘매수’로 유지했다. 하이투자증권은 하반기부터 구조 개선으로 실적 회복이 기대되는데다 상반기 5억달러로 부진했던 수주 실적도 꽤 좋을 것이라며 현대미포조선 주가가 홀로 먼저 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광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2~3분기 두 차례 ‘빅배스’(Big Bath)를 단행한 이후 지금까지 실적이 부진했던 것은 미숙련선종의 인도가 늦어지며 후속 공정에 영향을 미쳐 생산성이 극도로 나빠졌고 2013년 가을까지 저가수주물량 건조가 한창이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최 연구원은 “2분기 매출 증가를 통해 병목현상이 해소됐음이 설명되고 저가수주물량 건조와 쉘(shell)탱커 30척 건조가 2015년이면 대부분 종료돼 내년 실적이 추가로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롯데케미칼[011170]도 주목을 받고 있다. 메리츠종금증권은 이 회사가 유가 급락에도 차별화된 수익성을…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28일 주목하고 있는 종목은 SK[003600]와 메리츠화재[000060], 삼성전기[009150], 효성[00480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삼성증권은 SK의 급격한 주가 하락은 재상장에 따른 수급 영향과 대주주의 투자 확대 결정에 따른 우려감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투자 확대 결정은 최태원 SK그룹 회장 출소 후 발표된 이 회사에 대한 46조원 투자 계획 등을 말한다. 양승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일부 비우량 기업 인수 루머도 있지만 근거 없는 추측이며 현 주가는 밸류에이션(평가가치) 상 매력적인 수준”이라며 “현재 주가 수준에서 주가수익비율(PER)은 11.8배 수준(자사주 15.2% 제외하면 9.9배)으로 영업 부문이 지속 성장하는 사업지주회사로서 전혀 높지 않다”고 평가했다. 같은 날, KB투자증권은 메리츠화재에 대해 당분간 양호한 실적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현재 주가는 수익성 개선을 상당 부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투자의견 ‘보유’와 목표가 1만7000원을 유지했다. 유승창 KB투자증권 연구원은 “메리츠화재의 7월 순이익은 지난해보다 110.3% 증가한 225억원으로…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28일,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SK하이닉스[000660]가 눈에 띈다. 이날 HMC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에 대한 목표주가를 종전 5만3000원에서 5만원으로 내렸다. 신제품 모멘텀이 없는 내년에는 모바일 D램(DRAM) 값이 27.9% 떨어지면서 전체 D램 시장의 위축을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노근창 HMC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올해 3분기 SK하이닉스의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5조1000억원과 1조4300억원으로 환율 변경을 반영해 종전 전망치보다 각각 3.0%, 4.7% 올리지만 내년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는 2.7% 하항 조정한다”고 설명했다. 노 위원은 “SK하이닉스의 10년간 43조원을 투자하는 계획의 경우 연평균 4조3000억원으로 최근 3년간 평균 설비투자(CAPEX)인 5조원보다 낮은 수준”이라며 “공급과잉을 유도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005930]도 목표주가가 내려갔다. 이날 메리츠종금증권은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종전 190만원에서 160만원으로 낮췄고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스마트폰 중장기 전략 수립에 어려움을…
[KJtimes=김승훈 기자]자동차업종이 정부가 내수경기를 살리기 위해 발표한 소비 촉진 방안의 수혜주로 떠올랐다. 증권가에선 이번 정부정책이 그동안 악재에 짓눌린 투자 심리가 한층 풀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7일 증권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정부의 소비 진작 카드는 자동차주의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일각에선 정부가 자동차 등에 대해 소비세를 30% 인하하기로 한 데 따라 투자심리 개선이 기대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부는 전날인 26일, 소비 진작을 위해 개별소비세 인하와 전국 단위의 할인행사, 관광·여가와 주택연금 활성화 등의 소비촉진 방안을 내놨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자동차 적용 개별소비세를 30% 인하하면 개별소비세뿐 아니라 교육세와 부가가치세도 하락해 소비자 판매가격은 1.8% 내릴 것으로 관측됐다. 공장도가격 2000만원인 자동차는 43만원, 1500만원의 자동차는 32만원의 가격 인하 효과가 각각 기대된다. 조수홍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는 환율이나 중국 판매 부진 등 부정적인 요인을 상쇄할 것”이라며 “내수시장 신차 효과가 양호한 기아차[000270]의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27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코스맥스[192820]가 눈에 띈다. 이날 동부증권은 코스맥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22만원에서 25만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이는 펀더멘털(기초여건)이 탄탄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박현진 동부증권 연구원은 “최근 중국 경기 우려 등으로 화장품 업종 주가가 조정을 받고 있지만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기업에게 닥칠 리스크 요인이라고 할 만한 사항이 눈에 띄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로컬 고객사 실적이 꺾일 정도로 중국 내수 부진이 뒤따르지 않는 이상 펀더멘털이 훼손될 이유는 없다”면서 “2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대비 45%, 영업이익은 23% 증가해 1분기에 이어 놀라운 실적을 기록했다"고 강조했다. 노루홀딩스[000320]의 목표주가도 올랐다. KB투자증권은 노루홀딩스의 목표주가를 종전의 3만7500원에서 4만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유가 하락세 지속과 비상장 자회사 실적 개선이 긍정적이라는 분석에 기인한다. KB투자증권은 노루홀딩스의 주요 비상장 자회사인 아이피케이가 2분기에 매출액 9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21일 목표주가 ‘상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아이에스동서[010780]가 눈에 띈다. 이날 유진투자증권은 아이에스동서의 목표주가를 종전 10만8000원에서 11만3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건설업종 최선호주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최근 주가 급락은 과도하다며 향후 실적증가 가능성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아이에스동서는 지난 17일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에 대해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 26.8% 증가한 2478억원과 315억원으로 시장의 기대치를 크게 웃돌았다고 밝혔다. 유진투자증권은 아이에스동서의 주가는 지난 3일간 42.8% 급락했으며 연중 고점대비 하락폭은 47.1%이라며 이번 주가 하락은 실적 상승에 기반한 주가 상승이 기대되던 상황에서 특별한 요인 없이 발생한 이례적 결과라고 진단했다. 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이에스동서는 주택 호황기의 대표 종목으로 주택 분양과 콘트리크 파일 등 각 사업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점은 다른 건설사나 건자재 업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력 포인트”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원은 “기존 프로젝트의 준공에 따른 주택사업 매출 감소 우려가 현재…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20일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진단한 종목은 인터플렉스[051370]와 네이버[03542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KB투자증권은 인터플렉스에 대해 구조적인 턴어라운드(실적개선)를 통한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과 턴어라운드 시점 지연 등 요인을 꼽으면서 목표주가는 종전 2만6500원에서 2만원으로 내렸다. 김상표 KB투자증권 연구원은 “점유율 증가, 베트남 공장 가동을 통한 원가 절감, 감가상각비 부담 완화에 따른 구조적인 턴어라운드 요인이 향후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동종 업계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는 시기에 선두업체 위주로 점유율 증가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고 하반기 해외 전략 거래선에 대한 매출 확대가 예상되므로 추가적인 주가 하락보다는 상승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네이버의 주가 하락이 지나친 수준이라면서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라인의 매출 감소로 네이버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며 내년 상장을 준비하는 라인이 고성장을 보여주지 못하고 매출 감소를 보였기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19일,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한미반도체[042700]가 눈에 띈다. 이날 삼성증권은 한미반도체의 목표주가를 종전 1만6000원에서 1만2000원으로 낮췄다. 2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삼성증권은 한미반도체의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 전망치도 1249억원과 214억원으로 종전보다 각각 24%, 46% 하향 조정했다. 장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2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 감소한 287억원, 영업이익은 70% 준 40억원에 그쳤다”며 “향후 수요 회복 기대감도 낮출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LS[006260]도 목표주가가 ‘하향조정’됐다. 현대증권은 LS의 목표주가를 종전 7만원에서 5만4000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지난 2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냈다는 분석이다. 전용기 현대증권 연구원은 “LS는 2분기에 다소 아쉬운 성적을 발표했는데 주된 원인은 LS니꼬동제련에서 투자한 광산 지분 가치가 급락해 투자금액 대부분인 790억원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 연구원은 “하지만 LS니꼬동제련의…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12일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CJ CGV[079160]가 눈에 띈다. 이날 키움증권은 CJ CGV의 목표주가를 종전 10만원에서 15만원으로 높여 잡았다. 중국 사업이 분기 기준으로 첫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키움증권은 CJ CGV의 2분기 영업이익은 86억원으로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고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 등으로 국내 실적이 부진했지만 해외사업 성과가 이를 만회하는 측면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홍정표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 사업의 영업이익이 15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며 베트남 영업이익 규모도 확대돼 46억원을 달성했다”며 “CJ CGV의 3분기 영업이익으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 늘어난 400억원을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홍 연구원은 “국내 영화 시장이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해 실적 개선을 주도할 것”이라면서 “중국 사업의 이익 기여 확대와 베트남 쪽의 안정적인 실적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강원랜드[035250]도 목표주가가 올라갔다. 삼성증권은 이 회사의 표주가를 종전 4만8000원에서 5만원으로 올렸다. 양호한 2분기 실적을…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매수 추천하는 종목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에스엠[041510](SM)과 에이블씨엔씨[078520] 등이 대표적이다. 11일 동부증권은 에스엠의 실적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며 ‘매수’를 권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목표주가를 4만6000원으로 유지했다. 전날 에스엠은 공시를 통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잠정 영업이익이 11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6.2% 늘었다고 밝혔다. 동부증권은 에스엠의 경우 중국에서 연결 기준 매출액이 102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1%나 성장했으며 3분기는 일본지역 콘서트 관객수 증가로 더 좋은 실적을 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권윤구 동부증권 연구원은 “2분기 일본 동방신기 돔투어에 75만명, 에스엠타운 라이브에 28만명 등 총 113만명을 동원했다”며 “이런 활동은 3분기 실적에 인식되는데 2분기 매출인식 관객수 50만명보다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권 연구원은 “에스엠은 그동안 실망스런 실적과 동방신기의 군 입대, 엑소(EXO) 중국인 멤버 이탈, 소녀시대 제시카 계약 종료 등 악재가 겹쳐 부진한 주가 흐름을 보이며 현재 업계 내 가장…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11일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으로는 신세계[004170]와 GKL[11409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HMC투자증권은 신세계의 목표주가를 종전 30만원에서 26만원으로 내렸다. 하반기에도 소비심리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워 주력 사업인 백화점의 실적 개선이 더디게 진행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신세계는 지난 7일 공시를 통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매출액은 610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495억원으로 14.9% 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박종렬 HMC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2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한 데 이어 하반기에도 실적 모멘텀이 강하지 못할 전망”이라며 “계열사의 실적 개선은 긍정적이지만 본업인 백화점 업황 지속으로 당장 주가의 상승 반전을 기대하기는 어렵고 다만 삼성생명 잔여 지분의 매각 가능성이 열려있고 성장동력 확충 노력도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GKL의 목표주가를 3만8000원에서 3만5000원으로 내리고 실적 부진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NH투자증권은 GKL의 올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12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10일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으로는 KCC[002380]와 코스온[069110], 롯데하이마트[07184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현대증권은 KCC의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시장수익률’로, 목표주가도 65만원에서 52만원으로 각각 낮췄다. 수익성 회복이 빠르게 나타나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전용기 현대증권 연구원은 “KCC의 2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8% 감소한 825억원으로 시장 기대를 밑돌았다”며 “전방산업의 업황 침체에 따라 자동차, 조선 등 도료 부문의 수요가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전 연구원은 “2분기 유가의 상대적 강세 여파로 원가율이 상승한 점, KCC가 지분 투자한 주요 상장사 중 현대중공업의 주가가 2분기에 7% 하락하며 지분가치가 444억원 감소한 점도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같은 날, 대신증권은 실적 추정치 변경 등을 반영해 코스온의 목표주가를 기존 5만원에서 4만5000원으로 내렸다. 다만 ‘매수’ 투자의견은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충족시켰으며 고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