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증권사들이 목표주가 ‘하향조정’한 종목…알아보니

“LG디스플레이, 3분기 실적 부진”…“컴투스 신작 모멘텀 없어”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15일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은 LG디스플레이[034220]와 컴투스[07834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이베스트투자증권은 LG디스플레이의 목표주가를 종전 35000원에서 32000원으로 내렸다. 다만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3분기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칠 전망에 따른 것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LG디스플레이의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경우 67400억원과 3562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매출액 67000억원, 영업이익 3900억원)에 미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어규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계절적인 성수기 진입과 우호적인 원/달러 환율에도 TV용 패널 가격이 3분기 들어 평균 614% 하락하는 등 패널 가격 하락이 지속되고 있다때문에 4분기 영업이익도 3179억원으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는 등 단기 실적 부진세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어 연구원은 현 시점에서 LG디스플레이의 하반기와 내년 실적에 대해 낙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면서 다만 현재 주가순자산비율(PBR)0.64배 수준으로 과거 분기 적자를 기록했던 역사적인 저점 수준이며 가파른 패널 가격 하락에도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 주가는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매력이 충분하다고 진단했다.

 

같은 날,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컴투스의 목표주가를 종전 165000원에서 145000원으로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이는 당분간 신작 모멘텀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컴투스의 3분기 매출액 전망치는 1092억원을 유지하지만 영업이익 전망치는 455억원에서 409억원으로 낮추며 내년과 2017년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를 각각 8.9%, 13.5% 낮춘다고 밝혔다.

 

성종화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서머너즈워에 대한 공격적인 마케팅이 지속되며 2분기와 유사한 200억원 정도가 3분기 마케팅비로 집행됐다“3분기는 신작 모멘텀이 없고 4분기에도 특별한 기대 신작이 없어 보인다고 내다봐다.

 

성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비주기적인 히트 신작 출현을 통한 계단식 상승 기대감이 유효하지만 단기적으로는 히트 신작 출현 시점까지 관망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면서 유상증자 대금을 활용한 인수합병(M&A) 빅딜 등이 발생하면 강한 모멘텀이 가능하나 이는 사전 예측이 어렵고 별도의 사후 대응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코로나 라이프] "코로나19 영향 커" 디지털화로 변화하는 보험업계
[KJtimes김지아 기자]경제 전반에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코로나19의 영향이라는 전문가들의 진단도 있고, 대세 흐름이라는 호의적인 평가도 있다.이같은 코로나발(發)디지털화 시대를 맞으면서 일각에서는 오프라인 중심으로 만들어진 금융권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들도 나오고 있다. 은행이 '디지털 유니버셜 뱅크'로, 보험사는 '헬스케어 금융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대거 정비해야 한다는 것. 이와 관련금융위원회는 지난 8월 제2차 금융규제혁신회의를 열고 금융사의 플랫폼 발전 지원 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업무 범위 제한 및 자회사 투자 규제 등을 합리화하겠다는 게 핵심. 앞으론 은행이 플랫폼 관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부수업무 범위를 확대하고, 현재 금융사는 핀테크 기업과 달리 '금산분리 원칙' 등에 따라 고유한 업무가 아닌 다른 사업을 진행하기 어렵다. 보험 업계를 위한 규제 완화도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보건복지부의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상 보험사의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 출시가 어려운 상황이다. 공신력 있는 기관의 자료에 근거한 상담 및 조언이나 일상적 건강습관 개선을 제안하는 것도 할 수 없기 때문

[현장+] "한국마사회는 ESG경영 확산중" 폐전자제품 자원 선순환 체계구축
[KJtimes김지아 기자]한국마사회(회장 정기환)가 자원순환을 통한ESG 경영에 앞장선다. 한국마사회는지난 9월21일 한국환경공단과 한국전자지품자원순환공제조합(이하 'E-순환거버넌스')과 함께 한국마사회 본관에서 '폐전기‧전자제품 자원순환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정기환 한국마사회 회장, 최원일 경영관리본부장과 정재웅 한국환경공단 자원순환본부장, 정덕기 E-순환거버넌스 이사장 및 임직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마사회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전기·전자제품의 친환경적 회수와 재활용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 세부 내용은 △(마사회)폐전기·전자제품을 E-순환거버넌스 인계재활용 적극협조 △(한국환경공단)원활한 회수체계 구축 위한 제도지원, 실적관리, 적정처리 모니터링 △(E-순환거버넌스)폐전기·전자제품을 안정적 운반, 재활용 체계 마련 및 제반비용 부담 등이다. 마사회는 협약과 함께 폐전자제품 수거 현장 캠페인을 지난 9월23일부터 10월2일까지 진행중이다. 캠페인 주제는 '마사회와 함께 하는 자원순환주간'이다. 마시회는 2주간 사용하던 폐전기·전자제품을 경마공원에 수거함에 제출하면 경마공원 무료입장권, 머그컵 등 기념품을 매

[탄소중립+] 유럽의회 총회, 산림 바이오매스 감축...재생에너지 비중↑
[KJtimes=정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에 직면한 산림 바이오매스 발전을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의회는 지난 14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축을 단행하는 내용이 포함된 재생에너지지침 개정안(RED III)을 총회에서 최종 통과시켰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45%로 올렸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RED III의 바이오매스 관련 변화는 지난 5월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채택한 권고안을 기초로 한다. 환경위는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에 대한 정의를 신설해 이것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PWB는 벌채나 자연적인 이유로 숲에서 수확·수집한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원목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유사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국내 산림이 공공연하게 벌채돼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 지침은 ▲PWB를 EU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평균 이용량에 상한을 둬 단계적 감축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고부가가치의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