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는 경제대국 日本, 33년 만에 반기 무역수지 적자

수입 늘고 수출 감소, 정․재계 경기부양책 마련에 고심

[kjtimes=견재수 기자]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군림해 온 일본이 무너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4~9월)는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반기 무역수지 적자규모는 1997년 이후 33년 만에 처음이다.

 

22일 일본 재무성은 2012년 상반기 무역통계를 발표한 자리에서 3조 2190억엔의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화로 약 22조 6500억원 규모이며 글로벌 경제 침체 속에서 유럽과 신흥국 수출 침체가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본 주요 언론들도 “9월 무역수지가 5486억엔의 적자를 기록하며 3분기 연속으로 적자의 수렁에 허덕이고 있으며 동월 적자 폭으로 사상 최대 기록을 가라치웠다”고 보도했다. 이 가운데 수입은 2.6% 늘어 35조 3790억엔, 수출은 2% 감소한 32조 1600억엔을 기록했다.

 

상반기 수입은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가동 중단에 따른 발전용 원유와 LNG 수요가 크게 늘었던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년 동기比 LNG 24.3%, 원유 8.3%씩 수입량이 증가했다.

 

이에 비해 수출은 작년 동기比 2.0%를 나타냈다. 유럽과 중국의 경기 침체가 주요인으로 반도체와 전자부품, 선박 수출이 감소세를 나타냈다. 특히 중국 지역은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으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벌어진 가운데 자동차가 무려 44.5%나 판매 감소세를 기록했다.

 

 

일본 내 기업 체감경기도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악화 요인으로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의 경기 침체와 유럽발 재정 위기를 꼽았다. 이에 정부 차원에서 자유무역 추진과 엔화 강세를 잡을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하지만 정부 관계자는 이 같은 흐름인데도 아직까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현실과 다소 거리가 먼 판단을 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엔화강세를 의식한 듯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해 경기부양책을 유도하고 수출경쟁력을 지원사격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7일 노다 총리가 임시 각료회의를 열어 긴급경제대책을 강구하라는 지시와 일본은행이 국채와 자산매입기금을 늘려 시중에 돈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겠다는 의지는 이와 같은 침체 분위기를 타파하겠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한편, 일본의 경상수지 흑자는 지속될 전망이다. 일본의 순국제투자액은 지난해 말 무려 253조 엔을 기록해 GDP의 50%가 넘을 정도로 막대하다. 21년째 다른나라와 비교해도 수위를 지키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순국제투자액은 오히려 1년 전과 비교해 0.6% 상승한 3조 1800억달러로 중국의 1조 7000억달러, 독일의 1조 1000억달러보다 높다. 순국제투자액은 정부와 기업 개인의 대외투자액에서 외국인 투자액을 뺀 수치로 한국의 경우 지난해 971억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