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挑発騒動」北が選挙介入 保守派を牽制

 【ソウル=加藤達也】北朝鮮の朝鮮労働党機関紙、労働新聞(3日付)は、19日の韓国大統領選にからみ、「『安保』の看板を掲げた挑発騒動」との論評を掲載した。選挙への介入報道の一環とみられる。

 また内閣機関紙、民主朝鮮も2日付で「『北の挑発説』の宣伝に潜む卑劣で凶悪な計略」とする論評を掲載。「保守勢力が再び政権を取ることを容認するなら南北関係はさらに悪化する」と警告した。候補者名に触れてはいないが、保守の朴槿恵候補への牽制(けんせい)とみられる。

 事実上のミサイル発射予告を受け、韓国では対北姿勢が選挙の争点として重みを増している。発射予告を受けて韓国世論が硬化、左派系の文在寅候補に不利になることを避けようと画策しているとみられる。

 韓国を親北朝鮮に向かわせる意図の選挙介入報道は過去も繰り返されてきた。韓国メディアが11月に政府筋の情報として伝えたところでは、前回(2007年)の大統領選で月平均52回だった介入報道が、今回は143回と約3倍に増加している。韓国メディアは「介入報道で金正恩(キムジョンウン)第1書記に対する忠誠心を示そうと、各機関による競争が激化した結果」とみている。

 

産経新聞 12月5日(水)7時55分配信  

 

=================================================

 

"도발 소동" 북한이 선거 개입 보수파 견제

 

서울 = 카토 타츠야 북한 조선 노동당 기관지 노동 신문 (3일자)은 19 한국 대선 맞물려 "안보 " 간판을 내건 도발 소동" 이라는 논평을 게재했다. 선거 개입 보도 일환으로 보여진다.

또 내각 기관지 민주 조선 2일자에서 ""북의 도발설 '의 선전에 숨어, 몰래 흉악한 계략 "이라고 하는 논평을 게재. "보수 세력이 다시 정권 가지고 가는 것을 용인한다면 남북 관계는 더욱 악화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후보자 이름을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보수 박근혜 후보에 대한 견제로 보인다.

사실상 미사일 발사 예고를 받아 한국에서는 대북 자세가 선거 쟁점으로 무게 더하고 있다. 발사 예고를 받고 한국 여론이 경화, 좌파 계의 문재인후보 불리하게되는 것을 피하려고 획책하고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을  친북한 향하게하는 의도의 선거 개입 보도 과거에도 반복되어왔다. 한국 미디어 11 정부 소식통 정보 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2007) 대선에서 평균 52회였던 개입 보도가 이번에는 143번으로 3배 증가하고 있다. 한국 미디어 "개입 보도에서 김정은제 1서기에 대한 충성심 나타내려고하면 기관의 경쟁이 격화 된 결과" 라고 보고있다.

 

산케이신문12월5일(수)7시55분 배신 

 

 

 

 

 








[현장+] 30대 코스트코 노동자 일터에서 사망…노조 "3년째 열악한 근로환경 답보"
[KJtimes=정소영 기자] 지난 19일 코스트코 하남점에서 카트관리 업무 중이던 30대 노동자 A씨가 의식을 잃고 동료에게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사망에 이르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마트산업노동조합(이하 마트노조)은 지난 23일 오전 10시 20분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 개최하고 고용노동부의 제대로된 재해조사 시행과 코스트코의 열악한 근로환경 개선을 촉구했다. 이날 마트노조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번 사건이 발생한 코스트코 하남점은 비슷한 매출의 상봉점보다 적은 인력을 유지하며 한 직원이 여러 업무를 돌아가며 하는 이른바 ‘콤보’라 칭하는 인력 돌려막기로 직원들을 고강도 업무에 내몰고 있다”며 “A씨 역시도 계산대 업무에 이어 카트관리 업무도 수행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인력 쥐어짜내기 문제뿐만 아니라 재해 현장에는 고온환경에 대한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휴게시간과 휴게시설, 앉을 수 없는 장시간 계산업무, (A씨) 사고 당시 적절한 응급조치 여부 등 (고용노동부) 조사를 통해 재해의 연관성을 자세히 따져보아야 할 사고 요인이 산적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하지만 이 안타까운 죽음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애매한

[코로나라이프] "코로나보다, 감염병 더 조심" 폭우·홍수지역 감염병 발생 주의
[KJtimes=김지아 기자]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지역별 집중호우로 하천 범람과 침수 등 수해 발생에 따라, 위생환경이 취약해지고 모기 등 매개체가 증가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풍수해 감염병 유행을 대비해 청장 주재로 7월 17일 오전 '호우대비 긴급감염병 현황점검' 회의를 개최해 감염병 대응상황을 점검했다. 풍수해 감염병에는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로 인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A형간염, 장관감염증 등), △모기 증식이 쉬운 환경 조성으로 인한 모기매개 감염병(말라리아, 일본뇌염), △오염된 물 등에 직접 노출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 파상풍, 렙토스피라증, 안과 질환 등이 있다. 질병관리청은 풍수해 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을 섭취하고, 손씻기 등 위생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침수지역에서 수해복구 등의 작업 시에는, 방수장갑(고무장갑)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작업 종료 후에는 반드시 깨끗이 씻을 것을 당부했다. 더불어 지자체에는 모기 등 매개체 급증을 방지하기 위한 철저한 방제를 요청했다.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수해발생 지역에서는 하수관의 범람 등으로 오염된 물을 통한 장티푸


[탄소중립+] 한국산업은행, 화석연료 산업 투자 '그린워싱' 논란…허울뿐인 '적도원칙' 가입
[KJtimes=정소영 기자]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급변하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호주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하고 있어 자금을 회수하라는 기후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주요 에너지 기업이 추진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에 현지 인허가 이슈, 호주 국회의 신규 가스전 배출량 규제 강화 등 장애물이 잇따라 등장하며 난관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가스전 개발에 핵심이 되는 설비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기후솔루션을 비롯한 8개 국제 기후환경단체는 이슈 브리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발간해 바로사 가스전 생산 설비인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이하 FPSO) 건조에 금융을 제공한 9개 금융기관을 공개하고, 해당 시설에 투자된 1조 3000억원 가량(11억 5000만달러)의 자금 마련에 참여한 금융기관들이 투자를 회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이들 금융기관 대부분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협의체를 가입한 것이 신규 가스전 개발에 어긋나며, 인허가 미취득인 현 상황에서 금융약정상 자금 회수가 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