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와 분석

[현장+] 한앤컴퍼니 한상원 대표…'무한신뢰' 와르르

금감원, 한앤컴퍼니 임직원 4명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으로 검찰에 사건 이첩
남양유업 경영권 인수 직전 임직원 다수 해당 주식 매입 의혹…도덕성 도마 위로
사실로 확인될 경우 한상원 대표 신뢰도 ‘뚝’…한앤컴퍼니에 악영향은 불가피

[KJtimes=김봄내 기자] ‘굴뚝산업 투자의 강자’로 통하는 한상원 한앤컴퍼니 대표의 ‘신뢰’에 문제가 생겼다. 한앤컴퍼니 임직원들이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으로 검찰의 집중조사를 받게 된 까닭이다. 이에 따라 한 대표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년 넘게 쌓은 공든 탑 무너질까(?)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의 사위인 한상원 대표는 모건스탠리PE 출신으로 지난 2011년 한앤컴퍼니 설립한 후 이 회사를 한국 최대 사모펀드(PEF)로 꼽히게 만든 장본인이다. 투자 회사만도 30여 곳에 이르고 펀드 운용 규모도 110억 달러(약 14조4000억원)이 넘는다. 

SK해운을 비롯해 에이치라인해운, 쌍용C&E, 케이카, 웅진식품(인수 후 매각), SK마이크로웍스, SK마이크로웍스솔루션즈, 대한항공씨앤디서비스, 마이셰프, SK D&D, SK 에코프라임, 한온시스템, 코아비스, 라한호텔 등에 투자했고 현재 남양유업 경영권 인수전을 진행하고 있다.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한 대표가 이처럼 한앤컴퍼니를 한국 최대 PEF 반열로 성장시킨 가장 큰 무기로 ‘신뢰’를 꼽고 있다. 여기에 ‘집중투자’와 ‘장기투자’ 원칙을 고수하면서 기업을 싸게 사들인 뒤 가치를 높여 되파는 데 그치지 않고 비슷한 업종의 기업들을 인수해 시너지를 내고 해당 기업과 관련된 업종의 가치까지 끌어올리는 경영철학은 한앤컴퍼니의 버팀목이 됐다. 

하지만 지금은 사정이 달라졌다. 12년간 쌓아왔던 ‘무한신뢰’가 무너지기 일보 직전까지 내몰린 상태다. 4일 한국경제 보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한앤컴퍼니의 남양유업 경영권 인수 과정에서 관련 임직원 여러 명이 미공개정보 이용 관련 자본시장법을 위반한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이첩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감원은 지난달 패스트트랙을 통해 서울남부지방검찰청에 사건을 이첩했다. 혐의는 한앤컴퍼니가 2021년 5월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인 남양유업 경영권 인수 직전 임직원 최소 4명이 해당 주식을 매입한 것이다. 

금감원이 미공개정보 이용 행위 사건과 관련해 검찰에 수사를 넘긴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금감원이 그만큼 관련 혐의를 입증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업계 일각에서는 미공개정보 관련 수사가 PEF 전반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두고 검찰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구멍 난 한상원 대표의 ‘내부통제시스템’

한상원 대표를 위협하고 있는 것은 이 뿐만이 아니다. 업계에서는 금감원의 이번 수사의뢰는 그만큼 한 대표의 내부통제시스템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검찰과 IB업계에 따르면 이번에 금감원은 중대하고 시급한 사건에 한해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치지 않고 검찰이 곧바로 수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인 패스트트랙을 통해 검찰에 사건을 이첩했다.

금감원이 이처럼 사건을 중대하고 시급하게 판단한 것은 일반 상장기업이 아니라 PEF 임직원이 미공개정보를 활용해 주식을 매입한 혐의가 나오는 상황이 심각하다고 본 것이다. 

실제 금감원은 한앤컴퍼니 임직원들이 남양유업 경영권 인수 발표 전에 주식을 미리 산 뒤 시세차익을 챙긴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2021년 5월, 한앤컴퍼니는 불가리스 과장 광고 논란 등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던 남양유업을 인수했다. 당시 여론의 뭇매로 남양유업의 주가는 주당 30만원 안팎까지 급락했다. 그런데 반전이 일어났다. 5월 27일 한앤컴퍼니가 주당 82만원에 경영권을 인수한다고 발표하자 이튿날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순식간에 70만원대로 올라선 것이다. 

IB업계 한 관계자는 “미공개정보 이용 행위 사건에 대형 PEF 임직원이 무더기로 연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이번 사태로 미공개정보 관련 수사가 PEF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면서 “한앤컴퍼니 임직원들의 미공개정보 이용 행위 사태가 벌어진 것은 한상원 대표의 내부통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꼬집었다.

‘산 넘어 산’에 봉착한 한앤컴퍼니

현재 한 대표의 입장에서는 첩첩산중이다. 업계에서는 일단 남양유업 대주주와의 분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현재 진행 중인 국민연금 등 자금 출자를 비롯해 추후 M&A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목소리도 들린다. 그만큼 이번 금감원의 검찰 수사 이첩이 한앤컴퍼니 입장에서는 악영향이 될 것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는 셈이다.


IB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경영권 M&A 미공개정보 업무를 다루는 PEF에서 미공개정보 이용은 불문율에 가깝고 때문에 그동안 2005년 도입된 PEF는 이후 신뢰를 기반으로 성장해 왔다”며 “하지만 이번 사태로 인해 PEF에 대한 도덕성과 신뢰성에 흠집이 생긴 것은 분명한 만큼 그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코로나 라이프] 6월부터 확진자 격리 '권고' 전환 "코로나19 이젠 일상된다"
[KJtimes=김지아 기자] 이제 코로나19가 일상으로 전환된다. 6월부터 확진자 격리도 7일 격리에서 5일 권고로 바뀐다. "조속한 일상 회복"이 현실이 되는 셈이다.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7일 격리 의무가 6월1일부터 5일 권고로 바뀐다. 동네의원과 약국 등에서도 마스크를 안써도 된다.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1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회의에서 "오는 6월 1일을 기해 코로나19 위기경보 수준을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한다"고 결정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 첫 발생 이후 3년 4개월 만에 국민께서 일상을 되찾으시게 돼서 기쁘게 생각한다"며 일상회복을 선언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위기경보 하향에 맞춰 확진자에게 부과되던 7일간의 격리 의무를 5일 권고로 전환한다. 당초 격리 의무는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이 2급에서 4급으로 낮아지는 일상회복 2단계 조정 때 해제할 예정이었지만 조속한 일상 회복을 위해 앞당겼다. ◆"그래도 아프면 쉬어야…"기관별 지침 마련 시행 격리 의무는 사라졌지만 코로나19 확진자가 몸이 아픈데도 억지로 출근하는 일은 없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아프면 쉬는 문화 정착'을 위


[탄소중립+] 한국산업은행, 화석연료 산업 투자 '그린워싱' 논란…허울뿐인 '적도원칙' 가입
[KJtimes=정소영 기자]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급변하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호주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하고 있어 자금을 회수하라는 기후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주요 에너지 기업이 추진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에 현지 인허가 이슈, 호주 국회의 신규 가스전 배출량 규제 강화 등 장애물이 잇따라 등장하며 난관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가스전 개발에 핵심이 되는 설비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기후솔루션을 비롯한 8개 국제 기후환경단체는 이슈 브리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발간해 바로사 가스전 생산 설비인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이하 FPSO) 건조에 금융을 제공한 9개 금융기관을 공개하고, 해당 시설에 투자된 1조 3000억원 가량(11억 5000만달러)의 자금 마련에 참여한 금융기관들이 투자를 회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이들 금융기관 대부분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협의체를 가입한 것이 신규 가스전 개발에 어긋나며, 인허가 미취득인 현 상황에서 금융약정상 자금 회수가 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