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와 분석

[연속기획③] "오너일가 주머니로 솔솔?" 자사주 보유 2위 부국증권 "매년 고배당 왜?"

"자사주 보유한 이유는 따로 있었네" 부국증권, 매년 고배당에 주식시장서 따가운 눈총

최근 자사주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자사주가 주가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어서다. 증권가에서는 자사주 취득이나 자사주 소각은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정설이다. 실제 기업이 자사주를 취득하거나 소각할 경우 주가가 널뛰곤 한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기업이 여유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한편 주가 안정 등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강해서다. 하지만 이처럼 순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역기능도 존재한다. 일부 기업은 자사주 취득을 통해 최대주주의 지배력 강화에만 힘쓰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KJtimes>는 자사주 보유 순위가 높은 기업들을 차례대로 분석하면서 이들 기업의 속사정을 들여다 본다.[편집자 주]

[KJtimes=김지아 기자] 현재 국내 상장 기업 중 자사주를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은 어디일까. 

기업분석 사이트 '버틀러'에 따르면 국내 기업 가운데 자사주 보유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국내 가죽 제조업체 조광피혁(004700)이다. 시가총액 3288억원인 조광피혁은 자사주보유비율이 46.6%로 1531억원의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다.  


◆"매년 고배당…오너일가 배불리기?" 주식시장 눈총 한몸에 받는 부국증권, 자사주 보유비율 2위  

자사주 보유비율이 두번째로 높은 부국증권도 주식시장에서 시선이 곱지 않다. 부국증권의 고배당 정책이 사실상 소액주주가 아닌 '오너일가의 곳간 채우기'를 위한 목적이라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어서다. 

일각에서는 이에 대해 부국증권이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매년 두 자릿수 배당 성향을 유지 중이며, 올해도 이 같은 배당 기조가 지속됐지만 이 목적이 주주보다는 오너 일가와 특수관계인들을 위해서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배당 대상인 김중건 회장을 비롯한 특수관계인들의 지분율이 보통주 기준 49.8%에 달하기 때문이다. 보통주 배당 총액의 절반 가까이가 매년 오너 일가 주머니로 흘러들어 가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부국증권은 지난해 결산 기준으로 보통주 1500원, 우선주 1550원의 현금을 배당한다. 지난 2005년 이후 18년 연속 결산배당(보통주 기준)이다. 시가배당률은 보통주와 우선주 각각 7.7%, 8.1%이며 배당금 총액은 135억원(보통주 89억원, 우선주 46억원)이다. 

주목할 점은 배당 규모다. 부국증권은 매년 두 자릿수 연결배당성향을 보이는 고(高) 배당주다. 지난 10년(2013~2022년) 평균 연결배당성향이 40.12%에 달했으며, 지난해 역시 연결기준 순이익이 423억원으로 전년 대비 45.3% 감소했으나 배당 규모는 8억원만 줄였다. 이에 대해 부국증권측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결정"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부국증권이 이처럼 고배당 기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보수적인 경영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거두고 있다는데 있다. 회사는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은 채권 거래, 자산운용 등 사업에 주력하고 있으며, 계열사도 유리자산운용 한 곳에 그칠 정도로 외형 확대에는 관심이 없는 모습이다.

주식시장에서는 이에 대해 "명분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서라지만 배당금으로 가장 큰 수혜를 입는 주주가 김중건 부국증권 회장을 비롯한 오너 일가"라며 "보통주 배당금 89억원 중 49%(44억원)가 오너 일가에 흘러가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부국증권은 보통주 기준 1036만9886주 중 자기주식(자사주) 443만764주를 제외한 593만9122주에 배당을 하며, 이 중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은 49.8%로 김 회장과 동생인 김중광 씨가 각각 12.22%(126만6962주), 11.79%(122만2218주)를 보유한 1·2대 주주다. 보통주 배당금 89억원 중 49%(44억원)가 오너 일가에 흘러가는 셈이다. 


반대로 소액주주 4310명이 보유한 주식은 17.9%(106만8070주)에 불과하며, 이들이 받는 배당금은 오너 일가 절반에도 못 미치는 16억원 정도다. 이어 케이프투자증권(16.8%, 100만주)이 15억원을 받는다. 

증권업계 한 전문가는 "부국증권이 고배당 정책을 펼치며 주주 환원에 힘쓰고 있다지만 지배구조 특성상 소액주주에게 돌아가는 수혜가 적다"며 "대주주 배불리기 논란이 발생하는 것은 이런 이유아고 특히 자사주 비중이 전체 발행 주식수의 절반에 육박해 소액주주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현장+] "대표이사 직위로 여직원 성추행" 1심서 유죄 판결, 풀무원 녹즙 이미지 추락 쉬쉬
[KJtimes=김지아 기자]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는 대기업 계열사인 (주)풀무원녹즙(대표 박성후)의 전 대표이사가 30대 여직원을 성추행했다가 1심에서 유죄를 선고 받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회사 이미지 추락 및 회사의 가해자 처벌 수위가 논란이 되고 있다. 왜일까. 관련 첫 보도는 지난주 '아주경제'에서 단독으로 기사화 했으며, 일부 언론들도 이같은 내용을 기사화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KJ타임즈와 통화한 풀무원 측이 '김 전 대표가 성추행으로 고소당한 직후 대표직에서 물러났다'는 보도 부분은 "잘못된 보도"라고 언급하면서, 성추행을 했어도 '사임' 될 이유는 아니었다는 것으로 해석돼 풀무원 회사 내부 징계 추이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당시 풀무원 측은 "성추행 사건은 있었지만, 성추행을 했기 때문에 징계를 받아서 사임한 것은 아니다. 대표이사 임기가 끝났기 때문에 2021년 12월31일 기준으로 2년간 임기를 다 채우고 그만둔 것"이라고 전했다. 이를 두고 일부 시민 단체들을 비롯한 노조 단체에서는 "성추행을 해도 대표이사직은 유지할 수 있었나" "대표이사를 그만두면 대표이사 성추행 사건은 사라지는 것인가" "이제 개인이니 성추행 문제는 회사와 관계가


[연속기획③] "오너일가 주머니로 솔솔?" 자사주 보유 2위 부국증권 "매년 고배당 왜?"
최근 자사주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자사주가 주가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어서다. 증권가에서는 자사주 취득이나 자사주 소각은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정설이다.실제 기업이 자사주를 취득하거나 소각할 경우 주가가 널뛰곤 한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기업이 여유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한편 주가 안정 등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강해서다. 하지만 이처럼 순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역기능도 존재한다. 일부 기업은 자사주 취득을 통해 최대주주의 지배력 강화에만 힘쓰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KJtimes>는 자사주 보유 순위가 높은 기업들을 차례대로 분석하면서 이들 기업의 속사정을 들여다 본다.[편집자 주] [KJtimes=김지아 기자] 현재 국내 상장 기업 중 자사주를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은 어디일까. 기업분석 사이트 '버틀러'에 따르면 국내 기업 가운데 자사주 보유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국내 가죽 제조업체 조광피혁(004700)이다. 시가총액 3288억원인 조광피혁은 자사주보유비율이 46.6%로 1531억원의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다. ◆"매년 고배당…오너일가 배불리기?" 주식시장 눈총 한몸에 받는

[탄소중립+] 한국산업은행, 화석연료 산업 투자 '그린워싱' 논란…허울뿐인 '적도원칙' 가입
[KJtimes=정소영 기자]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급변하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호주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하고 있어 자금을 회수하라는 기후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주요 에너지 기업이 추진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에 현지 인허가 이슈, 호주 국회의 신규 가스전 배출량 규제 강화 등 장애물이 잇따라 등장하며 난관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가스전 개발에 핵심이 되는 설비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기후솔루션을 비롯한 8개 국제 기후환경단체는 이슈 브리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발간해 바로사 가스전 생산 설비인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이하 FPSO) 건조에 금융을 제공한 9개 금융기관을 공개하고, 해당 시설에 투자된 1조 3000억원 가량(11억 5000만달러)의 자금 마련에 참여한 금융기관들이 투자를 회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이들 금융기관 대부분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협의체를 가입한 것이 신규 가스전 개발에 어긋나며, 인허가 미취득인 현 상황에서 금융약정상 자금 회수가 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