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ソウル=黒田勝弘】「準備された大統領」が本当に大統領になった。韓国では親子2代は初めてで、女性も初めてだ。15年の政治経歴、原則と約束を守るブレない政治家、どこで誰に相対しても決してモノおじしない「品位と度胸」の政治家。念願を果たした朴槿恵氏は今すぐにでも大統領をやれる人物だ。
暗殺や狙撃など政治的事件で大統領だった父、そして母も亡くした悲劇の娘が、今度は自ら大統領として政治に挑戦する。女性大統領誕生は韓国の国家イメージを確実にアップさせるだろう。
朴氏は「選挙に強い選挙の神様」といわれ、野党時代を含め党が危機に陥るたびに選挙戦の先頭に立ち党を救った。顔をカッターナイフで切られるというテロにも遭った。その勝負師としての奮闘ぶりを支持者たちは「韓国の現代版ジャンヌ・ダルク」とたたえた。
軍人出身だった父、朴正煕元大統領に継ぐ2世指導者だが、もう十分独り立ちしている。「初の女性大統領を」と訴えた選挙戦では、野党陣営からは逆に「意地っ張りで優しさがない」「女性らしさがないのに…」と皮肉られた。
最も尊敬する人物は、英国を世界最強国に育てた女王エリザベス1世。独身を通したことでも似ている。
朴氏は今回、テレビ討論で左翼政党の学生活動家上がりの若い女性候補に「父は元日本軍将校でタカギマサオといった。親日派の独裁者大統領の娘が…」などとケンカを売られたが動じなかった。反日的で過去や家系好きの韓国世論には「親日派の娘」「独裁者の娘」は格好の非難カードだったが、効き目はなかったようだ。
1970年代、狙撃事件で死亡した母に代わりファーストレディー(大統領夫人)を務めた。政治家になった後も海外の多くの首脳に会っている。その中には宿敵、北朝鮮の金正日総書記も含まれている。
「準備された大統領」として国際感覚は十分ある。保守本流として米韓同盟や日米韓協力体制の重要性はよく分かっている。
そして父、朴正煕元大統領が世論の反対を押し切り日本との国交正常化(1965年)を決断し、日本との新たな協力関係が韓国発展の基礎になったこともよく知っている。選挙中は質問に答え「過去」に触れつつも「未来が重要」と強調していた。
韓国の政治指導者の中では最も安定した対日観の持ち主だが、それだけに野党陣営をはじめ反政府勢力は「反日」で足を引っ張ろうと虎視眈々(たんたん)だ。「親日派」は今でも韓国では売国奴という最大級の政治的ののしりになっている。対日外交の展開しだいでは、すぐその非難の矢が飛んでくる。
朴槿恵氏は父という過去を克服し大統領になった。対日関係でも過去離れができるか。天気のように変転を繰り返してきた日韓関係だが、李明博政権下の最悪状態以上には悪くなりようがない。
産経新聞 12月19日(水)23時2分配信
=================================================
한국 대선 품위와 배짱의 승부사 · 박근혜 첫 여성 대통령으로 국가 이미지도 UP
【서울 = 쿠로다 카츠히로】 "준비된 대통령"이 정말 대통령이 되었다. 한국에서는 부모와 자식 2대는 처음으로 여성도 처음이다. 15년의 정치 경력, 원칙과 약속을 지키는 흔들리지 않는 정치인, 어디서 누구를 기준으로도 결코 두려움을 느껴하지 않고 "품위와 담력"의 정치. 염원을 달성 한 박근혜씨는 지금이라도 대통령을 할 수있는 인물이다.
암살이나 저격 등 정치적 사건으로 대통령이었던 아버지, 그리고 어머니도 잃은 비극의 딸이 이번에는 스스로 대통령으로 정치에 도전한다. 여성 대통령 탄생은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확실하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박후보는 "선거에 강한 선거의 신" 이라고 불리었고, 야당 시대를 포함하여 당이 위기에 빠질 때마다 선거전을 이끌고 당을 구했다. 얼굴을 커터 칼로 상처입는 테러도 당했다. 그 승부사로서의 분투를 지지자들은 "한국의 현대판 잔다르크"라고 말했다.
군인 출신이었던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에 이은 2세 지도자이지만, 이미 충분히 자립하고 있다.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이라고 호소한 선거전에사 야권은 반대로 "고집 스럽고 상냥함이 없다" "여성 스러움이 아니다 ..."라고 비아냥했다.
가장 존경하는 인물은 영국을 세계 최강국으로 키운 엘리자베스 1세. 독신을 유지 한 것도 비슷하다.
박후보는 이번 TV 토론에서 좌익 정당의 학생 활동가 출신의 젊은 여성 후보에 "아버지는 일본군 장교로 타카기 마사오 등. 친일파 독재자 대통령의 딸이 ..."등 싸움을 펼쳤지만 동요는 없었다. 반일적인 과거와 가계를 좋아하는 한국 여론은 "친일파의 딸" "독재자의 딸" 은 비난 카드 였지만, 효력은 없었던 것 같다.
1970 년대 저격 사건으로 사망 한 어머니 대신 퍼스트 레이디 (대통령 부인)를 맡았다. 정치인이 된 후에도 해외의 많은 정상을 만나고 있다. 그 중에는 숙적 북한의 김정일 국방 위원장도 포함되어있다.
"준비된 대통령"으로 국제 감각은 충분히있다. 보수 본류로 한미 동맹과 한미일 공조 체제의 중요성은 잘 알고있다.
그리고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여론의 반대를 무릅 쓰고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 (1965 년)을 결정하고, 일본과의 새로운 협력 관계가 한국 발전의 밑거름이 된 것도 잘 알고있다. 선거 중 질문에 대답 "과거"에 언급하면서도 "미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정치 지도자 중 가장 안정된 대일 관의 소유자이지만, 그런만큼 야권을 비롯한 반정부 세력은 '반일'로 무너 뜨리려과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친일파" 지금도 한국에서는 매국노라는 최대의 정치적 저주가 있다. 대일 외교의 전개에 따라서는 바로 그 비난의 화살이 날아 온다.
박근혜씨는 아버지라는 과거를 극복하고 대통령이됐다. 대일 관계에서도 과거와 떨어질 수 있는가? 날씨처럼 변전을 거듭해온 한일 관계이지만, 이명박 정권하의 최악 상태의 그 이상은 될 수 없다.
산케이신문 12월19일(수)23시2분 배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