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 뜨더니...작년 문화ㆍ오락수지 역대 첫 흑자

[kjtimes=김봄내 기자]한류 열풍의 경제적 효과가 나타났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제수지 가운데 서비스수지의 한 부분인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수지에서 우리나라는 지난해 8550만달러의 흑자를 냈다.

 

12억5260만달러의 수입을 올렸고 11억6710만달러를 지급했다. 영화ㆍTV프로그램ㆍ애니메이션ㆍ음악 등 한류산업을 포함한 이 분야에서 수입이 지급을 초과한 것은 1980년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수지는 만년 적자에서 벗어났고 수입금은 2년 연속으로 급증해 발전 가능성을 예고했다.

 

이 분야의 적자는 2006년 3억190만달러, 2007년 4억8160만달러, 2008년 3억6390만달러, 2009년 3억2310만달러, 2010년 3억8490만달러 등이었다.

 

그러나 2011년엔 9400만달러로 적자폭을 크게 줄인 데 이어 작년엔 8550만달러의 흑자로 전환하는데 성공했다.

 

핵심 한류산업의 수출 성적표를 담은 음향영상 분야의 수지개선이 뚜렷했다.

 

2010년까지 음향영상 분야는 팝음악이나 할리우드영화 공세에 밀려 적자 신세를 이어갔다. 2010년 음향영상수지는 1억7150만달러 적자였다.

 

이후 K-팝과 한국영화, TV프로그램 수출이 본격화하면서 수입금이 늘고 지급금은 줄었다. 2011년엔 음향영상 수입금이 전년보다 50%가량 급증해 2억7000만달러를 넘어섰다.

 

지급금은 약간 줄어들면서 적자폭이 5840만달러로 감소했다. 작년에는 수입액이 3억5880만달러로 많이 늘어나 처음으로 지급액(3억5690만달러)을 능가했다.

 

작년에 음향영상을 제외한 ‘기타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수지’도 8360만달러의 흑자를 기록, 전체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 수지 개선에 힘을 보탰다.

 

교육과 보건 등이 주축을 이룬 기타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의 실적은 수입 8억9380만달러, 지출 8억1020만달러로 집계됐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