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만 화려했던 용산개발사업, 결국 무산

코레일 이사회 토지매매계약·사업협약 해제 결의

 

[kjtimes=견재수 기자] 용산개발사업이 사실상 무산됐다. 단군 이래 최대 규모사업이라는 화려한 수식어는 결국 화려하게 보이는 포장지만 고르다 끝나 버린 것이다.

 

9일 최대주주인 코레일은 서울 중구 사옥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이사 13명 전원 찬성으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의 토지매매계약과 사업협약 해제를 결의했다고 밝혔다.

 

코레일은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이하 드림허브)에 반납해야 할 토지반환대금 24000억원 중 5400억원을 즉시 반납할 하기로 했다. 이로써 드림허브는 시행사 자격을 박탈당해 사업청산 절차에 따르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레일은 또 이달 말까지 드림허브에 협약이행보증금 2400억원을 청구하고 오는 9월까지 나머지 땅값을 모두 갚은 후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 소유권을 되찾아 올 계획이다.

 

파국을 맞게 된 용산사업은 지난 12일 드림허브가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의 이자 52억원을 내지 못해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진 이후 코레일의 정상화 방안 제시를 놓고 합의점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시 코레일이 제시한 특별 합의서는 전체 지분을 기준으로 전체 출자사 가운데 3분의 2가 찬성을 해야 특별결의 요건을 갖출 수 있었지만 55.7%의 동의율에 그쳤다.

 

2대 주주인 롯데관광개발과 여타 출자사들도 코레일 주도로 된 특별합의서 내용을 거부하고 민간 출자사들의 주도를 통한 새로운 사업 전개 국면을 도모하려 했지만 코레일의 강수에 결국 뜻을 펴지 못했다.

 

코레일측은 지난달 채무불이행 이후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상화 방안을 제시했지만 민간 출자사들의 반대로 결국 무산돼 협약이행보증금 철구를 위한 해제 절차를 4월 말까지 진행하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관련업계에서는 일단 토지반환대금을 입금하기 전까지 막판 타결이 이뤄질 수 있는 일말의 가능성은 열려 있으나 이사회의 결정을 뒤집기에는 매우 촉박한 시간이라, 사실상 사업 무산이라는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결국 2007년 시작된 용산개발 사업은 화려한 포장지만 어루만지다 파국으로 치닫는 종착역을 향해 가고 있다.

 

용산개발 사업은 당초 고속철도 부채 해소를 위해 용산철도정비창 부지를 대상으로 추진하던 사업이었으나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한강르네상스연계 방안이 섞이면서 서부이촌동까지 포함되는 초대형 개발사업으로 확대된 사업이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 침체에 발목을 잡히면서 지금의 상황까지 오게 됐다.

 

수차례 재기의 가능성이 열리기도 했지만 최근 코레일과 민간출자사들 간 이견 차이가 극명히 엇갈리면서 진통과 회생가능성이 교차해 왔다. 그러나 결국 사업무산이라는 결론에 더욱 가까워졌다.

 

사업 무산에 따른 후폭풍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이미 출자사들 사이에서는 손해배상 청구소송 제기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으며, 서부이촌동 주민들도 용산개발 사업 실패에 따른 집단 소송 움직임을 예고하고 있다.

 

그나마 코레일 주도 정상화 방안에 민간 출자사들이 동의할 경우 코레일은 토지매매계약 해지 절차를 중단하고 재논의를 통해 사업을 진행하게 되는 작은 불씨는 남아있다. 그러나 양쪽 모두 이 같은 작은 불씨를 되살릴 가능성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이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