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30대 재벌 계열사 급증...문어발 확장 위기 불러

[kjtimes=김봄내 기자]30대 재벌의 계열사가 지난 5년간 5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총수가 있는 자산 순위 30대 재벌그룹의 계열사 수는 지난 2007년 말 843개에서 작년 말 1246개로 403(47.8%) 증가했다.

 

재벌그룹 계열사 수는 2008년 말 1006개로 1000개를 돌파한 이후 2010년 말 1126개로 늘었고 2011년 말 1200개를 넘어섰다.

 

올해 들어서는 소폭 감소해 9월 말 기준으로 1237개로 집계됐다.

 

30대 재벌 중 5년간 계열사가 감소한 곳은 금호아시아나 한 곳뿐이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2007년 말 35곳에서 작년 말 20곳으로 계열사가 줄었다.

 

5년간 계열사가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롯데그룹이었다.

 

롯데그룹 계열사는 2007년 말 43개에서 작년 말 79개로 36곳이 늘어났다.

 

이어 동부그룹이 33곳 증가했으며 LSLG그룹이 각각 28곳씩 늘었다.

 

증가율 기준으로는 현대중공업그룹이 2007년 말 8곳에서 작년 말 27곳으로 세 배 이상(237.5%·19) 증가해 가장 두드러졌다.

 

이어 현대가 9개에서 21개로 133.3% 늘었고 LS와 동부도 증가율이 127.3%, 122.2%를 나타냈다.

 

재벌 계열사 증가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대형 인수·합병(M&A)을 통한 사업 확장이 꼽힌다. 그 외 '문어발 확장'의 일감 몰아주기로 총수 일가가 사적 이익을 취하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

 

한국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M&A가 중요한 성장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각 그룹의 한계를 넘어서는 무리한 확장은 '승자의 저주'를 불러올 수 있다.

 

많은 부실기업이 구조조정을 거쳐 정상화된 후 주요 재벌에 인수되면서 재벌의 경제력 집중이 심화한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실제로 대형 M&A를 성사시킨 그룹들이 과도한 차입 탓에 유동성 위기에 빠져 좌초되는 사례가 되풀이되고 있다.

 

30대 재벌의 작년 말 부채 총액은 5749000억원 규모로 2007년 말 3138000억원보다 83.2%, 2611000억원 증가했다.

 

30대 그룹 중 절반가량은 5년 전보다 부채비율이 상승하고 채무 상환 능력이 떨어졌다.

 

대내외 경제 여건 악화로 수익성이 나빠져 빚을 제대로 갚지 못하면 결국 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다.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다른 기업을 무리하게 인수했다가 그룹 자체가 부실해지는 경우처럼 차입금에 의존한 대형 M&A에는 '승자의 저주'가 따른다""효율적이고 투명한 부실기업 구조조정 시스템을 확립하고 대형 M&A를 결정할 때는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는 등의 절차를 거치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