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1% 주식부자 중 70%는 '상속자'...78조 보유

[kjtimes=김봄내 기자]국내 상장사의 대주주와 특수관계인 중에 상장주식 보유액이 상위 1%에 드는 부자 131명의 주식가치 평가액이 78조원에 달했다.

 

이들 상위 1%10명 중 7명 이상이 주식을 물려받아 불린 '상속자들'이었다.

 

26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코넥스 등에 상장된 1827개사의 대주주와 특수관계인 1365명이 보유한 주식가치 평가액은 24일 기준으로 모두 124955억원이었다. 전체 시가총액(12993891억원)9.6%에 해당했다.

대주주·특수관계인 중 상위 1%(131)가 보유한 주식가치는 776701억원으로 전체의 62.6%를 차지했다.

 

또 상위 10%(1307)가 지닌 주식가치는 전체의 92.2%1141161억원으로 집계돼 주식 부자 간에도 '부의 쏠림' 현상이 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상위 1% 중 상속형 부자는 97명으로 34명에 그친 자수성가형의 3배에 달했다.

 

보유 주식가치도 상속형 부자가 674390억원으로 자수성가형의 102311억원보다 6배가량 많았다. 1인당 평균 주식가치는 상속형이 6952억원으로 자수성가형(39억원)의 배를 웃돌았다.

 

또 상위 1% 가운데 재벌가() 출신은 10명 중 6명이 넘었다. 10대 재벌가 출신 51명을 포함해 자산 5조원 이상 대규모기업집단에 속한 집안 출신이 83명으로 전체의 63.4%에 달한 것이다.

 

특히 1조원 이상을 보유한 16명 중에는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의장을 뺀 나머지 모두가 재벌가 출신이었다.

 

상위 5위권의 주식 부자를 보면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115367억원으로 상장사 전체 주식 부자 1위에 올랐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각각 67138억원, 3585억원으로 23위를 차지했고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26337억원), 최태원 SK그룹 회장(25304억원)이 뒤를 이었다.

 

서경배 회장의 장녀 민정 씨는 20대 초반이지만, 물려받은 주식가치가 1344억원으로 최연소 상위 1% 주식부자에 올랐다.

 

상위 1%에 든 재벌가 주식 부자는 현대가 출신이 12명으로 가장 많고, LG9삼성가 8GS8효성가 8영풍가 8롯데가 5명 등이다.

 

반면 상위 1% 가운데 자수성가형 부자는 34명으로 전체의 26%에 불과했다.

 

이해진 의장의 주식가치가 11902억원으로 자수성가형 중에선 제일 많았다. 이 의장 다음으로는 이준호 NHN엔터테인먼트 회장(9584억원), 김준일 락앤락 회장(6722억원), 오세영 코라오 회장(5541억원), 김택진 엔씨소프트 회장(5328억원), 이정훈 서울반도체 사장(3827억원) 등의 순이었다.

연예인 출신 연예기획자인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회장(1928억원)과 양현석 YG엔터테인먼트 대표(1810억원)도 상위 1%에 이름을 올렸다.

 

23세들로 '부의 대물림'이 이뤄지면서 상속형 주식부자의 평균 나이는 54세로 자수성가형(60.3)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