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하마오카 원전 가동 중지 결정

中部電力は9日に開いた臨時取締役会で、菅直人首相による浜岡原子力発電所(静岡県御前崎市)の停止要請を受け入れることを決めた。稼働中の4~5号機は数日中に運転をやめ、津波対策の防潮堤などが完成するまで2年程度停止する。東京電力管内に続き、トヨタ自動車など製造業の主力工場が集積する中部地区でも夏の電力供給が制約を受ける異例の事態となる。日本経済新聞が10日、報じた。

中部電力の水野明久社長は同日夕、名古屋市内で記者会見し、浜岡原発の全面停止を決めたことについて「首相の要請は極めて重い。原発への不安が高まり、安全最優先の基本を貫くべきだと判断した」と述べた。

数日中に制御棒を燃料棒の間に差し込んで、停止操作を始める。原子炉は1日程度で安全な「冷温停止」状態になる。

首相の要請を受け入れるにあたっては海江田万里経済産業相との間で(1)防潮堤など安全強化策が原子力安全・保安院の評価を得たときは、速やかに運転を再開できる(2)原発停止に伴う追加費用の負担軽減(3)電力安定供給への支援――など5項目を確認。「最大限の支援をする」(海江田経産相)との確約を得たことを明らかにした。

浜岡原発の総出力は361万7000キロワットで、中部電力の発電電力に占める比率は約15%。中部電力は東電への電力融通をとりやめるほか、武豊火力発電所(愛知県武豊町)など休止中の設備を稼働させる方針。

それでも夏の電力のピーク需要に対する供給力の余裕は適正水準とされる8~10%を大きく下回り、2%程度に低下する見通し。「極めて厳しい状況が続く」(水野社長)ため関西電力などから電力融通を求めるほか、企業や家庭に節電を呼び掛ける。

原発停止分をすべて火力発電で代替すると2012年3月期の燃料コストは最大2500億円増加すると試算。4月28日に公表した業績予想(1300億円の営業黒字)を撤回した。新たな予想は示さず、水野社長は「(営業)赤字になる可能性は否定できない」と述べた。電力料金の引き上げについては「現時点では考えていない」と語った。

浜岡原発は東海地震の震源域に立地。国の耐震安全基準などはクリアしているが、福島第1原子力発電所の事故をきっかけに津波対策への懸念が浮上。菅直人首相が6日夜、「東海地震に十分耐えられる防潮堤の設置など、中長期の対策を確実に実施することが必要」とし、全面停止を中部電力に要請していた。




한국어

일본 수도권 부근에서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는 전력회사가 고심 끝에 원전 가동을 중단하라는 일본 총리의 지시에 따르기로 했다.

주부(中部)전력은 9일 오후 임시 이사회를 열고 시즈오카(靜岡)현 하마오카(浜岡) 원전의 가동을 전면 중단하라는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미즈노 아키히사(水野明久) 사장은 이사회 후 기자회견을 열고 "총리의 요청을 받고 거듭 검토한 결과 4, 5호기 가동을 중단하고, 3호기 가동 재개를 연기하기로 했다"며 "주주나 지역 주민이 과도한 피해를 받지 않고, 전력 수급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정부의 지원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1∼5호기로 이뤄진 하마오카 원전 중 1, 2호기는 이미 폐쇄 절차에 들어갔고, 3호기는 정기검사 중이며, 4, 5호기가 가동 중이었다.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는 지난 6일 시즈오카현을 포함한 도카이(東海) 지방에 대지진이 일어날 확률이 높은데도 진원의 한가운데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하마오카 원전의 지진.쓰나미 대책이 충분하지 않다며 이를 보강할 때까지 가동을 중단하라고 요청했다.

주부전력은 지난 7일 임시 이사회를 열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고, 9일 다시 이사회를 개최했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







[현장+] 30대 코스트코 노동자 일터에서 사망…노조 "3년째 열악한 근로환경 답보"
[KJtimes=정소영 기자] 지난 19일 코스트코 하남점에서 카트관리 업무 중이던 30대 노동자 A씨가 의식을 잃고 동료에게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사망에 이르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마트산업노동조합(이하 마트노조)은 지난 23일 오전 10시 20분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 개최하고 고용노동부의 제대로된 재해조사 시행과 코스트코의 열악한 근로환경 개선을 촉구했다. 이날 마트노조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번 사건이 발생한 코스트코 하남점은 비슷한 매출의 상봉점보다 적은 인력을 유지하며 한 직원이 여러 업무를 돌아가며 하는 이른바 ‘콤보’라 칭하는 인력 돌려막기로 직원들을 고강도 업무에 내몰고 있다”며 “A씨 역시도 계산대 업무에 이어 카트관리 업무도 수행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인력 쥐어짜내기 문제뿐만 아니라 재해 현장에는 고온환경에 대한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휴게시간과 휴게시설, 앉을 수 없는 장시간 계산업무, (A씨) 사고 당시 적절한 응급조치 여부 등 (고용노동부) 조사를 통해 재해의 연관성을 자세히 따져보아야 할 사고 요인이 산적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하지만 이 안타까운 죽음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애매한

[코로나라이프] "코로나보다, 감염병 더 조심" 폭우·홍수지역 감염병 발생 주의
[KJtimes=김지아 기자]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지역별 집중호우로 하천 범람과 침수 등 수해 발생에 따라, 위생환경이 취약해지고 모기 등 매개체가 증가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풍수해 감염병 유행을 대비해 청장 주재로 7월 17일 오전 '호우대비 긴급감염병 현황점검' 회의를 개최해 감염병 대응상황을 점검했다. 풍수해 감염병에는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로 인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A형간염, 장관감염증 등), △모기 증식이 쉬운 환경 조성으로 인한 모기매개 감염병(말라리아, 일본뇌염), △오염된 물 등에 직접 노출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 파상풍, 렙토스피라증, 안과 질환 등이 있다. 질병관리청은 풍수해 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을 섭취하고, 손씻기 등 위생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침수지역에서 수해복구 등의 작업 시에는, 방수장갑(고무장갑)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작업 종료 후에는 반드시 깨끗이 씻을 것을 당부했다. 더불어 지자체에는 모기 등 매개체 급증을 방지하기 위한 철저한 방제를 요청했다.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수해발생 지역에서는 하수관의 범람 등으로 오염된 물을 통한 장티푸


[탄소중립+] 한국산업은행, 화석연료 산업 투자 '그린워싱' 논란…허울뿐인 '적도원칙' 가입
[KJtimes=정소영 기자]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급변하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호주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하고 있어 자금을 회수하라는 기후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주요 에너지 기업이 추진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에 현지 인허가 이슈, 호주 국회의 신규 가스전 배출량 규제 강화 등 장애물이 잇따라 등장하며 난관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가스전 개발에 핵심이 되는 설비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기후솔루션을 비롯한 8개 국제 기후환경단체는 이슈 브리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발간해 바로사 가스전 생산 설비인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이하 FPSO) 건조에 금융을 제공한 9개 금융기관을 공개하고, 해당 시설에 투자된 1조 3000억원 가량(11억 5000만달러)의 자금 마련에 참여한 금융기관들이 투자를 회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이들 금융기관 대부분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협의체를 가입한 것이 신규 가스전 개발에 어긋나며, 인허가 미취득인 현 상황에서 금융약정상 자금 회수가 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