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이지훈 기자]민영화를 추진 중인 우리은행 매각이 다음 주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3조원을 투자하면 우리은행 경영권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오는 23일 우리은행 매각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매각 방안이 나온 뒤 우리은행 매각을 위한 국내외 기업 설명회가 이뤄지며 매각 공고는 오는 9월, 입찰은 10월께 이뤄진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금융당국 관계자는 "내주 우리은행 매각 방향을 밝힐 예정으로 지분을 나눠 팔면서 콜옵션도 부여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이에 따라 정부는 예금보험공사가 가진 56.97%의 지분 중 30% 이상을 '통매각' 하는 A그룹과 10% 이하의 지분을 '분할매각'하는 B그룹으로 나눠 진행하기로 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A그룹은 경영권에 관심 있는 그룹으로 매각 시 경영권이 포함되며, B그룹은 순수 투자 목적의 그룹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우리은행은 자기자본이 19조원으로 정부 지분을 현재 시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주가순자산비율(PBR) 0.5배를 적용하면 매각액이 5조4000억원에 이른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지분 30%만 인수한다고 해도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고려하면 3조원 가량 투입해야 우리은행의 새 주인이 되는 셈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그러나 A그룹은 단독 입찰하는 등 입찰 경쟁이 되지 않으면 유효 경쟁이 성립하지 않아 입찰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현재 가장 유력한 인수 후보는 교보생명이다. 교보생명은 이미 우리은행 인수 입찰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친 상태다. 교보생명은 우리은행 인수를 통해 은행과 보험의 시너지를 높이고 금융그룹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교보생명 외에는 KB금융, 외국계 사모펀드 등이 거론되고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정부는 존속법인에 대한 고심을 하고 있다. 우리은행이 우리금융에 합병된 뒤 우리금융이 존속법인으로 남는 방안이 유력시됐으나, 우리은행이 남는 방안이 막판 변수로 떠올랐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정부는 현재 상장돼 있는 우리금융과 달리 상장되지 않은 우리은행으로 합병 시 재상장까지 1년 가까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그러나 최근 마련된 거래소의 '상장 활성화 방안'에 따라 우리은행으로 합병해도 재상장에 2~3주밖에 걸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변수가 생겼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우리은행으로 합병하면 우리금융으로 합병 시 우리은행이 체결한 계약이나 등기 명의 변경에 드는 수백억원의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endif]--><!--[if !supportEmptyParas]--><!--[endif]--><!--[if !supportEmptyParas]--><!--[end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