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일을 불평하듯이 말하는 사람, 부정적으로 말하는 사람이 있다. 음식점에 가면 “이 집은 깨끗하긴 한데, 음식 맛이 짜”, “왜 우린 빨리 안 주죠?”라며 불평하고, 회사에 출근해서는 “부장님 만 바뀌면 우리 부서는 문제가 없어”, “왜 회식 때마다 고기를 먹는 거야?”, “우리 회사는 아날로그식이야”라고 부정적인 말만 한다.
평소 생활할 때도 “오늘은 왜 이리 날씨가 화창한 거야?”, “왜 이리 뜨거워?”, “아내(남편)를 보면 짜증이 나”라며 매사에 불평만 늘어놓는 사람이 있다.
그날 상황이 좋지 못하여 불평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습관적으로 불평부터 먼저 늘어놓는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과 함께하면 괜히 옆 사람도 기분이 나빠진다. 특히 불평하는 사람이 높은 직위거나 접대해야 하는 상대라면 불평을 들었을 때 좌불안석이 되고 만다.
“왜 빨리 안 줘요?”를 “바쁘신가 봐요? 서둘러 주세요”라고 바꾸어 말하면 음식을 주는 사람도 함께한 사람도 기분이 망가지진 않을 것이다.
“이 사회가 왜 이럴까?” “회사가 내 능력을 발휘 못하게 해” 하며 불평해봤자 달라질 게 없다면 적응하며 좀 더 좋은 기회를 기다리는 게 효과적일 것이다.
계속 불평해봤자 자신만 괴롭고 의욕마저 떨어지게 된다. 오래 함께한 부부는 배우자에게 한두 가지쯤은 불평 요소를 가지고 있다.
서로 “왜 저럴까?” 불평하며 달라지길 바라겠지만, 늘 싸움의 원인만 된다면 ‘그럴 수도 있다’고 이해하는 쪽으로 생각을 바꿔 짜증과 싸움의 원인을 없애자. 서로가 상대의 불평을 이해하고 달라지려 노력하지 않는다면, 늘 쳇바퀴 돌듯 싸움과 불화가 계속된다.
어떤 사람은 “넌 할 수 없어”, “너 그러다 거지 된다”, “너 닮은 아이 낳아 고생해봐라”라고 아끼는 사람에게 부정적인 생각을 담아 말하는 습관이 있기도 하다. 그 중엔 ‘부모 때문에’, 혹은 ‘자식 때문에’라며 타인을 원망하면서 푸념을 늘어놓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부정적인 생각은 자신에게 가장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다. 아끼는 가족에게 부정적으로 말하는 것을 ‘단순히 화가 나서’ 그런다고 간단하게 생각하겠지만, 화가 난다고 누구나 극단적인 말은 하지는 않는다.
미국 존스홉킨스병원 소아신경외과 과장인 벤 카슨은 세계 최초로 샴쌍둥이 분리 수술에 성공한 의사다. 흑인 빈민가 출신 의 열등생에서 세계 최고의 소아과 의사로 성공한 그는 많은 사람에게 꿈과 희망의 모델이다.
어느 날 기자가 찾아와 “오늘의 당신을 만들어준 것은 무엇입니까?”라고 물었다. 그러자 그는 “나의 어머니 쇼냐 카슨 덕분입니다. 어머니는 흑인이라 따돌림을 당하고 꼴찌하는 내게 ‘벤, 넌 마음만 먹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어!’라며 격려와 용기를 주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만약 “네가 흑인으로 태어난 것을 어쩌겠니? 그냥 팔자려니 생각하고 살아라”라고 말했다면 벤 카슨은 어떻게 되었을까? 인종차별을 받는 사회를 원망하고 자신의 피부색을 한탄해봤자 달라질 게 없다는 것을 빨리 깨달은 덕분에 그는 성공했다.
불평과 부정적인 말을 늘어놓는 사람과 함께 있으면 짜증나고 기분까지 망친다. 혹시 타인에게 나는 그런 존재가 아닌지 생각해보자. 불평과 부정적인 생각은 부메랑이 되어 고스란히 되돌아온다는 점을 기억하자.
도서출판 ‘비전코리아’가 출간한
<착한 말, 착한 대화>
내용으로 연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