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겁고 행복함을 전달하는 말을 하는 사람이 있고, 유쾌하지 않은 말로 기분을 가라앉게 하거나 마음을 상하게 하는 사람이 있다.
이런 상반된 두 유형 중에 어느 쪽과 대화하는 게 즐거울까?
누구나 후자와 대화하고 싶을 텐데, 대부분 나는 어떤 유형인지 파악하려 하지 않는다. “생각과 말이 미래와 삶을 바꿔 놓는다”는 말이 있다. 성공하는 사람들의 사례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잘 될 거야’라는 생각과 말은 정말 긍정의 열매를 맺고, ‘내가 하는 게 잘될 수 있을 까?’라는 생각과 말은 그 염려대로 부정의 열매를 맺는다.
해! 해! 해!
지금 당장부터 행복을 부르는 생각과 말을 습관화해보자. ‘사랑해’, ‘미안해’, ‘감사해’라는 말에는 긍정의 에너지가 넘친다.
사랑해: 사랑의 표현을 하지 못하고 헤어지거나 잃고 나서 ‘사랑한다는 말을 자주 할걸’ 후회하는 사람이 있다. 연인, 자녀, 부모에게 사랑 표현을 해보자. 듣는 사람만 즐거운 게 아니라 말하는 사람도 행복과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말하는 게 쑥스럽다면 문자로라도 해보자. 뭐든지 여러 번 하다 보면 자연스러워 지는 법이다.
미안해: 친밀한 사람에게는 미안하다는 말을 못하는 사람이 있다. 굳이 말하지 않아도 마음을 알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가까운 사이일수록 그 말을 안 해서 오해가 쌓이면 나중에 더 풀기 어려워지는 상황이 생긴다. 해결하지 않은 채로 시간이 지나면 악감정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감사해: 자녀에게 고마움을 표현하는 것은 권위가 없어지는 행동이 아니라, 가슴이 넓고 인성을 갖춘 부모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감사의 표현을 듣고 자란 아이는 누군가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 존경받는 인물이 될 수 있다.
나이가 들수록 아랫사람에게 ‘미안해’, ‘감사해’라고 말하는 걸 어색해하는 사람이 있다. 작은 도움에도 감사하다고 말하는 것은 그다음에도 도움을 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하는 힘이 있다.
소! 소! 소!
‘맞소!’, ‘옳소!’, ‘좋소!’, ‘알겠소!’, ‘하겠소!’ 같은 맞장구나 동조의 말은 긍정적인 리듬을 타는 소통을 이루게 한다. 대화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므로 그것을 통해 소통의 통로를 만드는 것이고 이때 동조의 표현은 대화의 즐거운 리듬을 만든다. 이런 표현을 많이 하는 사람이 대화를 끌고 가게 된다.
또한 긍정의 동조는 보약 같은 힘이 있어서 건강한 성공의 열매를 맺게 기운을 북돋아 준다. 또한 이런 말들이 자녀에겐 희망 의 씨앗을 만들게 하는 보약이 되어준다.
도서출판 ‘비전코리아’가 출간한
<착한 말, 착한 대화>
내용으로 연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