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경남 지자체들 "일본 기업 유치하자"

최근 김해시가 일본 소프트뱅크의 데이터센터를 유치하자 경남도내 일선 시ㆍ군들이 일본 기업 유치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특히 창원시는 대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봤거나 피해가 우려되는 일본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는 등 유치활동을 가시화한다.

8일 창원시에 따르면 지난 3월 발생한 일본 대지진의 영향을 받은 일본 기업들이 우리나라로 본사 또는 자회사를 옮기려는 움직임이 많다는 판단에 따라 이달 안에 실무 TF를 구성키로 했다.

창원시는 관련 공무원을 비롯해 창원상공회의소, 마산자유무역지역관리청, 경제자유구역청 등 실무자 5명 정도로 TF를 꾸릴 것으로 알려졌다.

이 TF는 재일도민회와 상공단체 등의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해 우리나라로 이전을 타진하고 있는 일본 기업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주력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창원시는 9월경에는 도쿄(東京)와 오사카(大阪) 지역을 대상으로 기업유치 현지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일본 기업을 유치하면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조선ㆍ자동차 등 부품소재업체는 진해 남문지구에, IT업종은 창원지역 일반산업단지와 창원공단에 유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함안군도 일본 기업 유치에 관심이 많다. 함안군은 지난달 25일 일본 부품ㆍ소재업체 대표 20여명이 한국부품소재투자기관협의회(KITIA)의 초청으로 함안일반산업단지를 방문한 것을 계기로 일본 기업 유치를 위한 방법을 찾고 있다.

함안군은 KITIA 등을 상대로 우수한 교통인프라와 저렴한 분양가, 다양한 세제 혜택이 있는 함안일반산단의 장점을 홍보하고 일본 기업 유치를 타진한다는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당시 방문했던 업체 대표들이 교통 접근성이 뛰어나고 기술인력확보가 쉬운데다 분양가가 저렴한 함안산단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다"며 "일본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보고 있다"고 밝혔다.

창원시와 함안군 외에도 도내에서는 일본 기업 유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지자체가 다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일본 기업들의 경남 진출이 어느 정도 가시화될 지 주목된다.








[현장+] 30대 코스트코 노동자 일터에서 사망…노조 "3년째 열악한 근로환경 답보"
[KJtimes=정소영 기자] 지난 19일 코스트코 하남점에서 카트관리 업무 중이던 30대 노동자 A씨가 의식을 잃고 동료에게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사망에 이르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마트산업노동조합(이하 마트노조)은 지난 23일 오전 10시 20분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 개최하고 고용노동부의 제대로된 재해조사 시행과 코스트코의 열악한 근로환경 개선을 촉구했다. 이날 마트노조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번 사건이 발생한 코스트코 하남점은 비슷한 매출의 상봉점보다 적은 인력을 유지하며 한 직원이 여러 업무를 돌아가며 하는 이른바 ‘콤보’라 칭하는 인력 돌려막기로 직원들을 고강도 업무에 내몰고 있다”며 “A씨 역시도 계산대 업무에 이어 카트관리 업무도 수행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인력 쥐어짜내기 문제뿐만 아니라 재해 현장에는 고온환경에 대한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휴게시간과 휴게시설, 앉을 수 없는 장시간 계산업무, (A씨) 사고 당시 적절한 응급조치 여부 등 (고용노동부) 조사를 통해 재해의 연관성을 자세히 따져보아야 할 사고 요인이 산적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하지만 이 안타까운 죽음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애매한



[탄소중립+] 한국산업은행, 화석연료 산업 투자 '그린워싱' 논란…허울뿐인 '적도원칙' 가입
[KJtimes=정소영 기자]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급변하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호주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하고 있어 자금을 회수하라는 기후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주요 에너지 기업이 추진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에 현지 인허가 이슈, 호주 국회의 신규 가스전 배출량 규제 강화 등 장애물이 잇따라 등장하며 난관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가스전 개발에 핵심이 되는 설비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기후솔루션을 비롯한 8개 국제 기후환경단체는 이슈 브리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발간해 바로사 가스전 생산 설비인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이하 FPSO) 건조에 금융을 제공한 9개 금융기관을 공개하고, 해당 시설에 투자된 1조 3000억원 가량(11억 5000만달러)의 자금 마련에 참여한 금융기관들이 투자를 회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이들 금융기관 대부분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협의체를 가입한 것이 신규 가스전 개발에 어긋나며, 인허가 미취득인 현 상황에서 금융약정상 자금 회수가 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