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회추위, 차기 회장 인선 기준 합리성·전문성·글로벌역량

[KJtimes=이지훈 기자]KB금융지주 차기 회장 인선의 기준이 제시됐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해임된 임영록 전 회장의 후임 인선 작업을 진행 중인 KB금융지주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합리성, 전문성, 글로벌' 3대 기준을 차기 회장 요건으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리성'KB금융그룹의 장기적인 발전과 화합을 이끌 수 있는 합리적인 경영 능력을 갖춘 후보를 뽑기 위한 기준이다.

 

이는 7명의 1차 후보 모두 특별한 결격 사유가 없는 상황이어서, 차기 회장 인선에서 별다른 변수가 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전문성'은 금융권에서의 오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춰 금융그룹의 CEO(최고경영자)로서 손색이 없어야 한다는 요건이다.

 

이번 1차 후보 선정에서 '관피아(관료+마피아)' 출신이 배제된 것도 이 기준이 적용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엄격하게 적용할 경우 금융권보다는 회계법인 근무 경력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양승우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 회장 등은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글로벌'KB금융그룹을 국내에 안주하지 않는 글로벌 금융그룹으로 키울 수 있는 역량과 식견을 갖춘 후보를 뽑기 위한 요건이다.

 

이 요건은 다소 의외의 후보로 여겨지던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과 황영기 전 KB금융지주 회장이 1차 후보에 포함된 것을 설명할 수 있어 주목받는다.

 

하 행장은 글로벌 금융그룹인 씨티은행에서 1981년부터 근무했으며, 2004년부터 한국씨티은행장을 10년간 맡을 정도로 씨티그룹 내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기획재정부가 미국과의 통화스와프를 추진하며 미 최고위 당국자와의 연결 루트를 찾고 있을 때, 미 재무장관을 역임한 로버트 루빈 씨티그룹 고문을 기재부와 연결시켜준 일은 유명한 일화다.

 

황 전 회장은 삼성 재직 시절 영국 런던대 정경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뒤 프랑스 파리바은행, 미국 뱅커스트러스트 서울 및 도쿄지점 등에서 일하고 삼성그룹 비서실 국제금융팀장을 역임하는 국제금융 경력을 갖고 있다.

 

1차 후보에 오른 이동걸 전 신한금융투자 부회장도 신한은행에 있을 때 뉴욕, 로스앤젤레스(LA), 홍콩 등에서 9년간 근무했고 굿모닝신한증권 사장 때는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라오스 등 신흥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한 이력을 지니고 있다.

 

다만 회추위가 제시한 3대 기준이 실제 최종후보 선임 과정에서 별다른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결국 관치금융이나 인맥, 학연, 지연 등이 힘을 발휘해 차기 회장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는 회의론도 적지 않다.

 

이미 금융당국 수장과의 관계설, 사외이사와의 친분설, 대선 공헌도, 출신지역, 고등학교 및 대학교 학연, 노조 지원설 등 각 후보를 둘러싼 소문과 추측이 금융권에서는 무성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회추위의 입장은 단호하다.

 

KB금융 회추위 관계자는 "내부니 외부니, 관치금융이니 정피아니 하며 말들이 많지만 이는 어불성설에 불과하다""KB의 장기적인 발전과 화합을 이뤄낼 경쟁력을 가진 후보가 뽑힐 것이며, 이는 두고 보면 알 일"이라고 말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