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그룹 부채현황 알아보니 ‘헉’…여신시장 ‘빈익빈부익부’ 심화

부채액 624조원…공공기관 빚보다 ‘더 많다’

[KJtimes=김봄내 기자]국내 30대 그룹의 부채가 최근 2년 새 26조원 가까이 늘어나 600조원을 훌쩍 넘어섰다.

 

12일 금융투자업계와 재벌닷컴에 따르면 30대 그룹의 부채총계는 2013년 말 6243000억원이다. 지난 2년 전보다 257000억원(4.3%) 늘어난 셈이다. 특히 이는 같은 기간 국내 공공기관 부채인 5232000억원보다 101조원가량 많은 수치라서 충격을 주고 있다.

 

30대 그룹의 부채총액은 20115986000억원에서 20126119000억원으로 600조원을 돌파했다. 그 뒤 1년간 124000억원 늘어난 6243000억원으로 커졌다. 지난해에도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추정됐다.

 

눈에 띄는 것은 10대 그룹의 부채가 4496000억원으로 30대 그룹 총액의 72%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나마 신용도가 좋은 상위권 그룹들이 빚을 내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해지면서 여신시장에서도 빈익빈 부익부현상이 심화된 것이다.

 

20112013년 그룹별 부채를 보면 삼성그룹의 부채가 가장 많이 늘어났는데 789000억원에서 875000억원으로 86000억원 증가했다. SK그룹은 592000억원에서 673000억원으로 81000억원 증가하면서 그 뒤를 이었다.

 

롯데그룹(352000억원) GS그룹(307000억원) 한화그룹(167000억원) 현대중공업그룹(305000억원)으로 부채가 집계됐다. 이에 따라 2년 새 롯데그룹과 GS그룹은 각각 36000억원과 2조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한화그룹과 현대중공업그룹도 각각 14000억원과 9000억원 확대됐다.

 

하지만 무엇보다 일부 그룹이 구조조정에 직면하고도 오히려 빚을 늘려 재무상황이 더 나빠지고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일례로 한진그룹의 부채는 같은 기간 297000억원에서 324000억원으로 27000억원 늘어났다. 대우조선과 한국GM, OCI 등의 부채액도 같은 기간 18000억원, 8000억원, 6000억원씩 늘어났다.

 

구조조정 중인 현대그룹(540.5%)과 금호아시아나그룹(381.9%), 동부그룹(269.0%) 등 그룹의 부채비율도 여전히 높은 편이다. 부채가 줄어든 효성그룹과 동국제강그룹도 각각 220.5%, 174.8%의 높은 부채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이들 그룹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는 그룹들이 눈에 띠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같은 기간 687000억원에서 69조원으로 증가액이 그룹 규모에 비해 적은 3000억원에 그쳤다. LG그룹과 포스코그룹의 부채액은 각각 15000억원, 38000억원 감소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