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님은 지금

CJ그룹, 이재현 회장…“감염우려로 빈소는 못 지켰지만…”

아버지 두 차례 비밀 방문, 관 봉인 전 ‘눈물 터뜨리면 크게 오열’

[KJtimes=김봄내 기자]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아버지인 고 이맹희 명예회장의 마지막 길을 지켰다. 감염우려 때문에 빈소를 지키며 조문객을 맞이하지 못했지만 입관식과 발인 직전 두 차례에 걸쳐 입관실(시신안치실)을 찾아 장자로서의 도리를 다했다.

 

20CJ그룹에 따르면 이 회장은 중국 베이징에서 아버지의 시신이 운구된 지난 17일 오후 85분경 입관식 후반부에 참석했다. 또 발인 전인 19일 오후 1130분경 다시 한 번 시신 안치실을 찾아 아버지와 영원한 작별 인사를 나누었다.

 

관을 봉인하기 전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모습을 지켜보던 이 회장의 눈시울은 점점 붉어졌고 관이 끝내 닫히는 순간 참았던 눈물을 터뜨리며 크게 오열했다고 전해진다. 당초 예상보다 많은 약 17분이 흐른 뒤 그는 입관실을 빠져 암병동 입원실로 향했다.

 

이 회장은 발인일 전날인 19일 밤 1130분경 다시 장례식 지하 1층에 위치한 시신 안치실을 찾았다. 다음날 있을 발인식에 앞서 마지막으로 아버지와 시간을 보내고 싶어서였다.

 

그는 입관실내 시신안치실에 있던 아버지의 관을 수차례 쓰다듬으며 눈물을 삼켰다. 이 때도 부인과 아들 선호 등 역시 직계가족만 함께 했고 이 회장은 약 12분이 흐른 뒤 빠져나왔다.

 

고 이맹희 명예회장도 자신의 회고록 <묻어둔 이야기> 곳곳에서 아들에 대한 애틋함을 수 차례 표현한 바 있다.

 

이 명예회장은 내가 보수적인 사람이어서 그런지 모르지만 아무래도 대할 때 마음이 늘 푸근한 것은 딸보다는 아들, 그 중에서도 맏아들이라며 “‘누구의 아들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일생을 살아본 나는 재현이가 누구의 맏손자라는 이름으로 일생을 살아가게 된다는 점에서 애비로서 늘 가슴이 아팠다고 썼다.

 

CJ 관계자는 회장님이 지난 17일 입관식 때 휠체어에 의지한 채 환자복에 마스크를 쓴 차림으로 내려와 약 17분 가량 머무셨다면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의료진을 대동했고 당시 시신 안치실에는 부인 김희재 여사와 아들 선호군 등 직계가족이 함께 있었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이어 “(회장님이) 어릴 때부터 오랫동안 명예회장님과 떨어져 지내다 보니 살가운 감정이 없을 줄 알았는데 관을 부여잡고 흐느끼는 모습을 보니 마음이 짠하더라부모와 자식의 천륜은 어쩔 수 없나 보다고 전했다.

 

한편 고 이맹희 명예회장의 빈소가 서울대학교병원에 마련된 것은 아버지를 국내에 모시지 못한 것을 항상 안타까워했던 이 회장이 아버지 마지막 길이라도 가까이 하겠다는 의사를 존중한 가족들의 배려였다

 

이날 입관식에는 이인희 한솔 고문과 이명희 신세계 회장, 홍라희 삼성 리움미술관장 등 삼성가 친인척들도 함께 했다. 하지만 이 회장은 이들이 떠난 후 직계가족만 남은 상태에서 들어와 서로 마주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