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삼성전자, IoT 접목 생활가전 대거 출시...어떤 제품 있나

[KJtimes=이지훈 기자]삼성전자가 본격적인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여는 신개념 냉장고 '패밀리 허브'를 내놓았다.

 

삼성전자는 6(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CES 2016에서 IoT 기술을 접목한 생활가전 신제품을 대거 선보인다고 3일 밝혔다.

 

CES 2016 혁신상을 받은 패밀리 허브는 최적화한 식재료 보관 기능에다 쇼핑,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다양한 IoT 기기 제어 기능을 결합해 새로운 사용자경험을 제공한다.

 

주방을 식사·요리 공간을 넘어 '가족 생활의 중심'으로 변모시킨다.

 

냉장실 오른쪽 도어의 21.5인치 풀HD 터치스크린을 통해 저장실별 기능 설정, 운전모드·온도·습도 상태를 그래픽으로 한 눈에 보여준다.

 

세계 정상급 셰프들과 협업한 셰프컬렉션 앱을 통해 레시피와 제철음식 요리법도 알 수 있다.

 

냉장실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 2대로 도어를 열지 않고도 스크린을 통해 보관 중인 식품을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폰으로도 냉장고 내부를 볼 수 있어 쇼핑 때 유용하다. 디데이(D-day) 아이콘 기능으로 식품별 적정 섭취 기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전문 유통업체와 협업을 통해 할인품목 등 최신 쇼핑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보고 필요한 물품을 터치 몇 번으로 주문할 수 있다.

 

가족 스마트폰에 저장된 일정·사진·메모를 패밀리 허브에서 쉽게 공유할 수 있어 가족간 커뮤니케이션을 특화할 수 있다.

 

도어에 2개의 스테레오 스피커를 탑재해 라디오·음악을 듣고 뉴스·날씨 등 정보도 접한다.

 

조명·IP카메라 등 다른 IoT 제품의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싱스(SmartThings)' 허브가 동글로 지원된다.

 

업계 최초로 듀얼 도어를 채용해 CES 2016 혁신상을 받은 플렉스 듀오 오븐 레인지가 업그레이드 신모델로 선보인다.

 

조리실 상부만 열거나 상하부 동시 개폐가 가능한 도어로 각각 다른 온도의 조리가 가능해 하나의 오븐을 마치 3대처럼 사용할 수 있다.

 

또 오븐 하단에는 완성된 요리를 식지 않게 하는 워밍 드로워를 뒀다.

 

와이파이 연결로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으로 오븐의 전원·온도·시간 상태를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다. 쿡탑 작동 상태까지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T9000 냉장고, 패밀리 허브 냉장고, OTR(Over the Range) 전자레인지, 워터월 식기세척기 등 블랙 스테인리스 라인업을 선보인다.

 

기존 스테인리스 소재 외관에 블랙 안료를 입히고 섬세한 헤어라인 패턴을 적용한 디자인으로 일반 안료 입자 21분의 1 수준인 나노[187790] 안료를 업계 최초로 사용했다.

 

19가지 엄격한 품질 테스트를 거쳐 오랜 시간 변색·벗겨짐 없이 세련된 키친 인테리어를 유지해준다.

 

삼성전자는 실제 제품을 체험할 다양한 전시존을 마련했다.

 

셰프컬렉션 존에서는 프렌치도어 냉장고, 오븐 레인지, OTR 전자레인지 등 셰프컬렉션 제품을 경험할 수 있다.

 

키친 아일랜드 존에서는 플렉스 듀오 오븐레인지 신모델을 실제 환경에서 써볼 수 있다.

 

삼성전자는 "가족과 주방에서 보내는 시간을 더 즐거운 경험으로 변화시켜 줄 혁신적인 제품"이라고 말했다.

 

 

 

 









[코로나 라이프] 백신치료제 기업들, 코로나치료제 개발 이슈로 이득만 취해
[KJtimes김지아 기자]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국내 제약사들이 주가만 띄워 놓고 치료제 개발은 소리소문 없이 포기하는 등 이른 바 '먹튀 의혹'이 제기됐다. 백종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0일 국정감사 종합감사에서 "코로나19 백신·치료제를 개발하다가 중단한 제약사들이 혈장치료제 개발 명목으로 거액의 국비를 먹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백 의원에 따르면, GC녹십자 등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신청한 14곳의 제약사들이 정부로부터 총 1679억원에 달하는 국가 연구비를 지원받았다. 하지만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의 품목 허가 이외에 현재 신약 개발에 성공한 사례는 없다. 특히GC녹십자의 경우,세계 글로벌 제약사들도 연구 개발비 부담으로 인해 개발을 미루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코로나19 종식에 앞장 설 것을 선언하며 개발에 나섰지만 현재 임상단계(임상2a상)에서 연구를 종료했다. GC녹십자는 연구비 97억원 중 60%에 해당한 58억원을 지원받았다. 제약사들의 일반적인 신약 임상 절차에 따르면 대부분 임상2상(2a,2b)을 완료 후 식약처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한다. 하지만 GC녹십자는 국가 연구

[현장+] "산업은행 부산 이전 본격화?" 의혹 무성한 수상한 이전…노조는 결사반대
[KJtimes김지아 기자]산업은행이 지난 9월28일 '부산이전 준비단'을 발족, 이전 행보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와 관련한 무성한 '의혹'들이 관계 기업과 관계자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최근회장 직속으로 TF 팀을 구성, 전략기획팀과 인프라기획팀이 꾸려진 상태로 전해지고 있다. 전략기획팀은 동남권 영업력 강화방안 등 전략위주로, 인프라기획팀은 동남권 조직 업무 등 인프라 구축위주로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9월 2급 2명, 3급 6명, 4급 2명 등 10명으로 이전 준비단 TF 상근조직을 꾸리고 이외에도 40명을 비상근으로 더 뽑아서 50명이 실무작업에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에서도 산업은행 이전 지원협의회 형태로 공무원과 대학, 전문가, 부산상공회의소와 시민단체 등 15명 규모로 꾸며진 조직을 꾸려서 산은이전에 대한 논리를 개발, 지원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전 작업에 속도가 붙은 것과 달리, 산업은행 이전 후 서울 여의도 본사 사옥 부지를 놓고 다양한 의혹들이 거론되면서 논란이 사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핵심 논란은 '롯데패밀리'가 여의도에 쇼핑몰을 세우기 위해 전방위 로비를 펼치고 있다는 추측성 의혹

[탄소중립+] 유럽의회 총회, 산림 바이오매스 감축...재생에너지 비중↑
[KJtimes=정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에 직면한 산림 바이오매스 발전을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의회는 지난 14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축을 단행하는 내용이 포함된 재생에너지지침 개정안(RED III)을 총회에서 최종 통과시켰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45%로 올렸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RED III의 바이오매스 관련 변화는 지난 5월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채택한 권고안을 기초로 한다. 환경위는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에 대한 정의를 신설해 이것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PWB는 벌채나 자연적인 이유로 숲에서 수확·수집한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원목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유사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국내 산림이 공공연하게 벌채돼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 지침은 ▲PWB를 EU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평균 이용량에 상한을 둬 단계적 감축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고부가가치의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