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지아 기자] 코로나19를 앓고 난뒤, 후유증 때문에 진료 받은 사람들이 최근 2년간 5만400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후유증 상병코드가 신설된 지난 2020년 10월부터 2022년 7월까지 22개월간 코로나 후유증으로 진료받은 환자 수는 5만4463명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최근 2년간 코로나 후유증 환자는 꾸준히 증가했고, 증상도 다양해졌다"고 전했다.자세히는 코로나 후유증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지난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97명, 2021년 1~12월 2918명, 2022년 1~7월 5만1448명이었다.
2021년 한 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57만여 명에서 2022년 1월부터 7월까지 1914만여 명으로 약 34배 증가한 것과 비교해, 같은 기간 대비 후유증 환자 수도 약 18배 증가했다.
◆2년째 계속되는 후유증
신체적·정신적 질환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코로나후유증. 질병관리청 결과와 관련 기관들의 보고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 후유증의 주요증상으로는 피로, 기억장애, 집중력 저하, 호흡곤란, 기침, 가래, 두통, 목 안 이물감, 불면증,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이 있다.
이같은 증상이 2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많았다. 지난 2020년 2월에서 3월 대구지역 확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중간보고에 따르면, 대상자의 83%가 확진이 된 이후 2년이 지난 시점에서도 후유증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코로나 후유증 환자의 성별로는 남성이 2만1721명(39.9%), 여성이 3만2742명(60.1%)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정도 많았다. 남녀 모두 후유증 경험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60대였고, 이어 남성은 40대, 여성은 50대가 후유증 경험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1만2284명(22.6%)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8055명(14.8%), 50대 8038명(14.8%) 순서로 많았다. 특히 코로나 후유증 환자 중 12.8%는 30대, 19세 이하도 9.7%, 20대도 9.5%를 차지했다.
이에 대해 최근 국회는 코로나 후유증을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위원회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부천시정)은 "2015년 메르스 당시 생존자 중 절반 이상이 높은 수준의 정신과적 문제를 보인 만큼, 누적 확진자가 2만 중반 대에 이르는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해 철저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코로나19 후유증 치료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2025년 12월에야 완료된다"고 말했다. 이어 "신뢰할 수 있는 단기 연구들을 병행해 한국형 치료 가이드라인을 서둘러 만들고, 치료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코로나 겪은 뒤 '우울증·불안장애' 크게 증가
코로나는 사람들의 정신 건강도 저하시켰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 의원(국민의힘)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우울증·불안장애 진료환자 수는 172만명이나 됐으며, 이는 2019년 대비 14.2%나 증가한 수치다.
특히, 20대에서 42.3%인 28만명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우울증'은 우선 의욕 저하를 주요 증상으로 다양한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키고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이다. 불안장애는 이유 없이 심한 공포와 불안을 느끼는 증상이다.
백 의원은 "우울증과 불안장애는 특히 젊은층에서 환자가 많이 늘었는데, 2019년과 2021년을 비교했을 때 20대가 42.3%로 가장 크게 늘었고, 10대 이하 33.5%, 30대 24.9%, 10대 22.1%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연령별로는 지난 5년간 우울증·불안장애 환자 가운데 60세 이상이 338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난 5년간 우울증과 불안장애로 인해 치료 받은 총 환자 수는 899만명이며, 이는 전국민 5명 중 1명이 진료를 받은 것과 같다. 이 중 여성이 577만명으로 전체의 64.2%를 차지했으며, 남성(35.8%)에 비해 월등하게 높았다.
백종헌 의원은 "5년간 899만명, 전국민의 약 5분의 1이 우울·불안장애로 진료를 받았다. 젊은층에서 우울·불안증상으로 힘들어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며 "코로나로 경기침체, 과열된 입시와 스트레스, 사회 양극화 심화 등 많은 사람들이 우울감과 불안한 현실 속에 살고 있으므로 정부가 나서서 제대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겪더니... 내 친구의 성격도 바꼈다?
코로나19가 실제 인구 전반의 성격을 변화시켰다는 연구 결과도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젊은 성인은 신경증은 늘고,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제학술지 'PLOS ONE'에 최근 게재된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 의대 안젤리나 수틴 교수 연구팀의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초기에는 지금까지 나왔던 연구처럼 성격에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신경증이 미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21~2022년 데이터에서는 대유행 이전 성격과 비교했을 때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코로나19가 성격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대유행 이전에 성격 평가를 받았던 실험 참가자 7109명을 모아 다시 성격 평가를 진행한 뒤, 분석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4년 5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측정된 결과와 유행 초기(2020년 3월~12월)와 후기(2021~2022년)에 진행된 평가를 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분야로 나눠 비교 분석했다.
연구팀은 "특히 젊은 성인에서 변화폭이 컸는데, 신경증 증가와 친화성, 성실성 감소가 두드러졌다"며 "젊은 성인일수록 성격 형성이 덜 안정적이다. 동시에 코로나19는 젊은이들이 학교에 다니거나, 경력을 쌓는 등 해야 했을 일을 방해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부가 육체적 정신적 후유증을 앓고 있는 국민들을 위해 대책마련을 해야 할 것"이라며 "대책마련 없이 장기간 후유증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될 경우 국가 경제 및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도 클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