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이지훈 기자]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위안화 약세, 중국 증시 거래 중단 등의 충격이 지속된 데 따라 급락세를 나타냈다.
7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92.41포인트(2.32%) 급락한 16,514.1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7.17포인트(2.37%) 내린 1,943.0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46.33포인트(3.03%) 하락한 4,689.43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하락 출발한 지수는 장중 내내 하락 흐름을 이어갔다.
중국 위안화 가치 절하 등으로 중국 증시가 폭락세를 보인 것과 유가 하락이 지속된 것이 증시 급락을 이끌었다. 위안화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도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쳤다.
중국 증시는 두 차례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이후 장 초반 장이 마감돼 전 세계 증시 하락을 촉발시켰다.
이에 따라 이날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이하 증감회)는 제도 도입 4일 만에 서킷브레이커 발동을 잠정적으로 중단했다.
증시 안정을 위해 도입한 서킷브레이커 제도가 오히려 시장 불안을 가중시켰다는 분석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증감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제도가 예상했던 효과를 내지 못한 데다 오히려 주식 폭락을 부추겼다며 8일부터 서킷브레이커를 발동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업종별로는 중국 경기에 영향을 받는 기술업종이 3% 넘게 떨어지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에너지업종과 금융업종, 헬스케어업종, 산업업종, 소재업종도 각각 2% 넘는 급락세를 연출했다.
다우지수 구성종목은 월마트를 제외한 전 종목이 내림세를 나타냈다.
JP모건체이스와 골드만삭스가 각각 4%와 3% 넘게 떨어졌고, 애플도 4.2% 급락세를 보였다.